단심장도 뛰게 한다‘진화’하는 심장병 수술

2008.09.22 16:05:39 호수 0호

20~30년 전까지만 해도 ‘선천성심장병’은 불치병으로까지 여겨지며 평생 안고 가야 할 큰 짐으로 생각되고는 했다. 물론 지금도 ‘선천성심장병’은 심장 자체가 우리에게 심장이 주는 의미만큼이나 그 무게가 버겁지만 의학의 발달로 희망의 빛도 밝아지고 있다.
실제로 심장병 치료에 대한 큰 진보가 있어서 대부분의 심장병이 치료가 가능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비수술적 치료도 가능해 심장병 수술하면 떠오르는 가슴의 큰 흉터도 가지지 않는 환자도 늘어나고 있다.
여기에 이제는 수혈을 하지 않는 소아심장 무혈수술도 안전성을 인정받고 있으며 선천성심장병 중에서 가장 심한 기형에 속하는 심장이 반쪽밖에 형성되지 않은 경우에도 조기에 진단하고 단계적으로 수술하면 정상적인 삶을 살 수 있다는 연구결과까지 나오고 있는 등 심장병 수술이 그야말로 ‘진화’를 거듭하고 있다.
심장병을 대표하는 선천성 심장병은 태어날 때부터 심장 내에 불필요한 구멍이나 통로가 뚫려있거나 열려 있어야 할 통로가 좁아지거나 막혀 생기는 병이다.
특히 과거에는 대부분 가슴을 열고 심장을 절개한 후 문제되는 부분을 교정하는 대형 수술이 필요해 환자나 가족의 심리적 부담감이 마치 ‘암’에 비유될 정도로 컸었다.
하지만 의학이 발달하면서 심장병 치료기술도 발달해, 이제는 가슴에 흉터가 없는 비수술 치료도 등장했다.
세종병원 소아청소년과 김수진 과장은 “선천성 심장병의 치료는 불필요한 구멍이나 통로를 막아주고, 좁아지거나 막혀있는 통로를 넓혀 주는 것”이라며 “지금까지 이러한 치료는 대부분 가슴을 열고 심장을 절개한 후에 그 문제되는 구조를 눈으로 직접 보면서 교정해 주었지만 심도자술에서 사용되는 카테타의 발달과 숙련된 기술로 선천성 심장병을 수술하지 않고도 치료하는 방법들이 점점 개발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심장병에 대한 중재적 심도자술은 크게, 불필요한 심장내의 구멍이나 통로를 막아주는 시술과 좁아지거나 막힌 통로를 넓히고 뚫어주는 시술로 나눌 수 있는데 물론 모든 심장병을 수술하지 않고 치료하지는 못한다.
수술하지 않고도 치료가 가능한 심장병은 좌심방과 우심방사이의 경계를 지어주는 심방 중격에 구멍이 뚫려 있는 경우인 심장 중격 결손이 대표적이다.

가슴 흉터 없는 심장 치료,
심장 중격 결손 등 가능

그동안 심방 중격 결손을 막아주기 위해서 직접 가슴을 열고 그 결손을 막아 주는 개흉술만이 유일한 치료였지만 최근들어 심방 중격 결손을 막아 주기 위한 여러 기구들이 개발됨으로 심방 중격 결손의 비수술적 치료가 가능하게 됐다.
김수진 과장은 “수술과 비교할 때 기구를 이용한 비수술적 폐쇄의 장점은 심장을 정지시키지 않고 심방중격결손을 폐쇄하고 수혈이 거의 필요하지 않으며 통증이 미미하고 입원기간이 짧으며 흉터가 없다는 점 등을 들 수 있다”라며 “그렇지만 심방 중격 결손의 크기가 너무 크거나 결손의 위치가 부적당할 경우에는 기구를 이용한 폐쇄가 부적당할 수도 있다”고 조언했다.
이와 함께 대동맥과 폐동맥간에 통로가 뚫려 있는 동맥관 개존증도 지금까지 치료의 표준이 동맥관을 결찰하고 분리시키는 수술적 방법이었지만 최근에는 작은 동맥관에서부터 큰 동맥관에 이르기까지 대부분의 동맥관 개존증도 비수술적 치료가 가능하게 됐다.
동맥관 개존증의 경우 일부 기구를 제외하고 대부분 보험이 적용되고 있어서 환자의 본인부담도 수술시 보다 적은 장점도 있다.
다만 심방 중격 결손의 비수술적 치료는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보험이 적용 되지 않아 비급여 대상이므로 환자의 본인 부담금이 수술시보다 많다
폐동맥 판막 협착도 좁아진 폐동맥 판막에 풍선을 넣은 다음 이를 부풀려서 폐동맥 판막 협착을 완화시켜 주는 비수술적 치료도 가능하다.
선천성심장병의 비수술적 치료가 좋은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지만 일부 경우에만 가능한 만큼 아직도 선천성심장병에서의 수술적 치료는 가장 중심에 서 있으며 수술적 치료의 발달로 가장 심한 기형에 속하는 때에도 단계적 해결이 가능하게 됐다.
예컨대 얼마 전 세종병원 소아청소년과 김수진 과장과 서울대학교병원 흉부외과 김웅한 교수는 공동연구를 통해 1996년부터 2006년까지 심장외부 도관을 이용하는 폰탄(Fontan) 수술을 시행한 2백명(수술당시 평균나이 3.4세)의 생존율과 생존자의 심장 기능 상태를 추적한 결과, 단심실인 선천성 심장병이 있는 경우, 심장외부 도관을 이용한 폰탄수술 후 10년 생존율이 92%를 넘었으며 생존자 중 95%이상이 정상생활이 가능할 정도로 건강상태가 양호했다고 밝힌 바 있다.
폰탄 수술뿐 아니라 선천성심장병 수술은 병의 종류만큼이나 수술법도 다양해 수정대혈관전위증에서는 이중치환(Double switch)수술이 사용되며 폐동맥의 발달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선천성심기형에서는 블레록토씨단락(Blalock-Taussig Shunt)수술이 시행된다.
또한 우심실과 좌/우 폐동맥을 연결시켜주는 주폐동맥이 생기지 않은 기형에서는 선천성심장병의 수술방법-라스텔리(Rastelli)수술, 완전대혈관전위 환자에서는 대동맥치환술(Jatene)수술, 좌심형성부전의 치료를 위해서는 노우드(Norwood)수술 등이 필요하다.

폰탄수술부터 노우드(Norwood)
수술까지 심장병 수술, 종류도 다양

무엇보다 근래에는 수혈을 하지 않고도 심장수술을 하는 방법까지 연구돼 시행되고 있다. 세종병원 심장센터팀은 1995년부터 2005년까지 소아심장환자 23명(0세~14세)을 대상으로 시행한 소아심장 무혈수술이 1백% 수술성공률을 보였고 보편적으로 수혈을 받는 경우 보다 수술예후도 좋았다고 밝혔다.
세종병원 심장센터팀은 “수술 전에 조혈호르몬(EPO)이나 철분제를 사용해서 몸의 적혈구가 증가하도록 하고 수술시에는 지혈제 사용 및 수술 도중 나오는 혈액을 걸러서 다시 사용하는 자가수혈 방법을 사용한다”라며 “수술 후에는 빈혈이 있는 경우, 철분제를 사용해 우리 몸의 적혈구 생성을 도와, 소아심장 무혈수술이 안전하게 시행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조고은 <메디컬투데이> 기자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