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별로 정리한 ‘2019 신조어’

2019.10.07 10:59:28 호수 1239호

세종대왕도 놀랄 ‘요즘 말’

[일요시사 취재1팀] 구동환 기자 = 전 세계를 통틀어 대한민국에만 존재하는 국경일이 있다. 바로 ‘한글날’이다. 한글의 우수성과 독창성을 널리 알려 문화민족으로서 국민의 자긍심을 일깨우려는 것을 목적으로 제정된 날. 한글이 창제된 지는 수백년이 지났지만 매년 새로운 단어가 탄생한다. 
 



한국인들끼리 한글로 의미를 전달해도 의사소통이 원활하지 않을 때가 있다. 세대별로 사용하는 단어가 다르기 때문이다. 1020세대는 급변하는 시대에 발맞춰 시대상에 맞는 새로운 단어를 만들어내고 있다. 

언어파괴

신조어란 시대의 변화에 따라 새로운 것들을 표현하기 위해 새롭게 만들어진 말이다. 신조어가 생산될 때마다, 표준어와 한글의 근간을 흔드는 언어파괴라는 지적부터 같은 세대들끼리의 유대감을 형성시키는 수단이 된다는 의견까지 다양하게 제시된다.  

또 신조어에 반응하지 못하는 중장년층은 세대 간 격차를 줄이기 위해 인터넷 검색 등의 고군분투를 감당하기도 한다. 언어학적인 측면으로 바라보면 신조어의 탄생과 소멸은 자연스러운 흐름이다. 새로운 단어가 생기고 없어지는 건 비단 어제오늘일이 아니다. 

1920년대 사전에도 모던보이를 뜻하는 ‘모뽀’, 모던걸을 뜻하는 ‘모껄’이라는 말이 있었다. 요즘 흔하게 쓰이는 ‘빽’ ‘전업주부’ ‘신세대’ 같은 말도 마찬가지로 1950년, 1960년대, 1990년대에 등장했던 단어다. 2019년 유형별로 신조어를 정리해봤다. 


첫 번째, 긴 단어를 간편하게 줄인다. 젊은 세대일수록 얼굴을 마주 보는 대화보다 SNS, 카카오톡 메신저 등 최대한 짧은 단어로 간단명료하게 의미를 전달하는 것을 선호한다. 인터넷 문화가 발전하면서 쓰였던 신조어로 안습(안구에 습기가 찼다), 지못미(지켜주지 못해 미안하다) 등이 있었다. 

세대의 가치관을 보여주는 긴 문장들을 3∼4자 이내로 줄여서 표현한다.

예를 들면 내로남불(내가 하면 로맨스, 남이 하면 불륜), 가성비(가격 대비 성능을 추구하는 소비 형태)와 비슷한 가심비(가격 대비 만족도를 추구하는 소비 형태)가 있다. 또 소확행(소박하지만 확실한 행복), 소확횡(소박하지만 확실한 횡령), 취존(취향을 존중해달라), 취저(취향을 저격했다) 등이 있다.

이외에도 카공족(카페에 공부하는 족), 갑분싸(갑자기 분위기가 싸해졌다), 이생망(이번 생은 망했다), 극혐(극도로 혐오스럽다), 인싸(인기인), 아싸(소외자), 별다줄(별걸 다 줄이네) 등 다양한 형태로 글자 수를 줄인 단어들도 있다.

간편하게 줄이고 비틀고 생기고
사회상 반영한 새로운 단어 출연

두 번째는 야민정음이다. 야민정음이란 한글을 비틀어 비슷한 다른 글자로 보이게 응용하거나 단어의 각도를 틀어 유사한 단어로 읽히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 한 커뮤니티서 시작한 야민정음은 한글을 여러 가지로 변형시키며 노는 문화를 보여줬다. 한글의 특성을 활용해 기상천외한 신조어들이 생산됐다. 

댕댕이(멍멍이), 댕청이(멍청이), 띵작(명작), 커엽다(귀엽다), 팡주팡역시(광주광역시), 곰국(논문)이 이 같은 예다. 지난 2월 팔도에서는 한정품으로 ‘괄도네넴띤’을 선보였다. 기존 ‘팔도비빔면’을 비슷한 형태의 다른 글자로 바꿔 내놓은 것이 작명 마케팅에 성공했다. 
 

세 번째는 영어를 섞어 새로운 단어를 탄생시킨다. 꼰대 문화를 싫어하는 젊은 세대들은 꼰대와 꼼데가르송을 합친 ‘꼰대가르송’이란 말을 만들었다. 30∼40대 등 젊은 꼰대를 지칭하는 말이다. 꼰대들이 자주 하는 말 중 하나인 ‘나 때는 말이야~’를 비꼬아서 만든 ‘라테 이스 호~스(Latte is horse)’가 있다. 꼰대들의 언어를 비꼬아서 만든 말이다. 

국뽕(국가와 히로뽕의 합성어)은 국수주의와 자국 우월주의, 극단적인 민족주의 등 부정적인 형태로 나타낸 것이다. 비정상적이고 비합리적인 수준으로 자국을 옹호하며 당연시하는 태도를 뜻한다. 

이외에도 나일리지(나이와 마일리지의 합성어), 국룰(암묵적인 규칙), 팩트폭력(fact와 폭력의 합성어), 뇌피셜(근거 없는 생각)이 있으며 비슷한 의미로 지피셜(지인에게 들은 이야기)이 있다.


네 번째는 접두사 신조어다. 2015년 상술된 무개념 엄마들이 저지르는 온갖 ‘막장 행태’를 보고 네티즌들은 ‘맘충’이라는 단어를 만들었다. 이후 일베충(일간베스트라는 커뮤니티 유저), 한남(한국남자를 비하하는 말)충, 급식(초·중·고등학생들을 비하해서 부르는 말)충, 틀딱(노인들을 비하해서 지칭하는 말)충 등 다양한 단어뒤에 벌레를 뜻하는 ‘충’ 신조어가 생겼다.

진지충(지나치게 진지한 사람), 훈수(훈수를 계속하는 사람)충, 흡연(애연가)충 등 아무 어휘에다 ‘충’이라는 글자만 붙이면 파생어가 계속 생길 수 있다. 충(蟲)이 한자로 벌레를 지칭하기 때문에 부정적인 뉘앙스가 담긴다. 

신조어가 생길 때마다 맞춤법, 외래어 등 한글 파괴에 대해 문제로 삼는 목소리가 나오곤 한다.

시대상?

이 같은 현상에 대해 조승연 작가는 JTBC <비정상회담>에 출연해 “오히려 세종대왕이 한글을 만든 이유는 백성들이 일상적으로 매일 쓰는 이야기를 그대로 적지 못해서였다. 1446년 한글창제 이후 500년이 지났다. 휴대전화, 컴퓨터가 생기고 시대가 많이 변했음에도 이 변화가 여전히 한글로 표현될 수 있다. ‘내가 진짜 글자 하나는 잘 만들었다’라고 생각하시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이어 “한글의 위대함은 유연성이며 시대의 변화에도 끄떡없이 사람들이 말하는 소리를 그대로 쓸 수 있는 과학성에 있다”고 강조했다.
 

<9dong@ilyosisa.co.kr>

 

▲ 팔도 네넴띤

<기사 속 기사> 신조어 마케팅 열풍

팔도는 지난 2월 ‘괄도네넴띤’을 출시했다. 이 제품은 팔도비빔면 35주년을 기념해 기존 제품보다 5배 매운 한정판으로 출시했다.


이 괄도네넴띤은 야민정음을 활용해 만든 상품명으로 1020세대를 겨냥했다고 해도 무방하다.

이 제품이 출시되면서 포털사이트 검색어 순위 1순위를 차지할 만큼 큰 인기를 모았으며, 각종 SNS와 유튜브 등에서 구매 인증사진이나 후기 등이 업로드됐다.

실제로 괄도네넴띤은 출시 5일 만에 1차 온라인 판매 물량 7만5000개가 완판됐으며, 이후 한 달 만에 준비한 물량 500만개마저 완판되기도 했다.

또 편의점 CU를 운영하는 BGF 리테일은 2017년부터 대표적인 청소년들이 쓰는 언어와 야민정음을 붙인 디저트 제품을 출시하면서 소셜미디어 상에서 큰 반향을 일으켰다.

▲쇼콜라 생크림 케익에는 ‘ ㄱㄹㅇㅂㅂㅂㄱ(이거 레알 반박 불가란 뜻으로 부정할 수 없다)’▲쿠키&생크림 케익은 ‘ㅇㅈ? ㅇㅇㅈ(인정? 어 인정)’ ▲밀크카라멜 생크림 케익에는 ‘ㄷㅇ? ㅇㅂㄱ(동의? 어 보감)’ 등 학생들의 언어를 제품명으로 활용한 것이다.

이 밖에도 ▲롯데면세점 ▲위메프 ▲LG ▲삼성멤버스까지 다양한 기업들이 신조어를 사용하며 젊은 세대들의 문화를 이해하고 그들의 언어로 소통하려는 노력을 보이고 있다. <구>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