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나 소나’ 의원님의 유튜브 대해부

2019.04.29 10:42:27 호수 1216호

0부터 10만까지…각양각색 여의도 채널

[일요시사 정치팀] 김정수 기자 = 내년 총선서 여러 선거 전략 가운데 가장 적극적으로 활용될 매체는 유튜브다. 그간 총선 출마자들은 신문과 방송 등 기존 미디어에 집중했지만, 유튜브가 미디어 시장을 빠르게 잠식하면서 이전과 다른 진풍경을 연출할 전망이다. 현역 국회의원들의 유튜브 활용이 이를 방증한다. 전체 300명의 의원 중 유튜브 채널을 개설한 이들만 250명에 육박한다. <일요시사>는 총선을 1년 정도 앞둔 상황서 의원들의 유튜브 현황을 조사해봤다.
 

▲ ▲(사진 왼쪽부터)박용진(더불어민주당)·손혜원·이언주(무소속) 의원


전수조사는 지난 23일 실시했다. 실시간으로 구독자 수 등이 변화하는 까닭에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전수조사는 현직 국회의원들의 유튜브 채널의 개설 여부에 중점을 뒀다. 몇몇 의원들은 유튜브 채널을 개설했지만 오랜 시간 운영하지 않기도 했다. 다만 총선을 앞두고 재개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해 배제하지 않았다. 전수조사 결과 상당수 의원들이 유튜브 채널을 보유하고 있었다. 전체 의원 300명 중 248명이었다.

현직 의원
대다수 보유

더불어민주당(이하 민주당)은 총 128명의 의원 중 19명을 제외한 109명이 유튜브 채널을 개설했다.

자유한국당(이하 한국당)은 총 114명의 의원 중 24명을 제외한 90명의 의원이, 바른미래당(이하 바미당)은 총 28명의 의원 중 6명을 제외한 22명의 의원이 채널을 개설했다. 민주평화당(이하 평화당)은 총 14명의 의원 중 2명을 제외한 12명이, 정의당은 총 6명의 의원 모두 유튜브 채널을 개설한 것으로 확인됐다. 의석수가 각각 1석인 대한애국당과 민중당 의원은 모두 채널을 개설했고, 무소속의 경우 총 8명의 의원 중 1명을 제외한 7명이 채널을 확보한 상태였다.

유튜브 채널을 만들었다고 해서 모두가 많은 구독자를 보유한 것은 아니었다. 이른바 ‘구독자 양극화’가 선명했다. 구독자가 아예 없는 의원들은 5명이었고, 한 자릿수 구독자를 보유한 의원들은 56명, 두 자릿수는 96명이었다. 이들만 하더라도 157명이다. 전체 국회의원의 절반을 넘긴 수다.


세 자릿수를 넘는 의원들은 모두 39명이었다. 세부적으로 100명을 넘긴 의원들은 16명, 200명을 넘긴 의원들은 8명, 300명을 넘긴 의원들은 6명, 400명을 넘긴 의원들은 4명이었다. 이어 500명을 넘긴 의원은 1명이었고, 600명을 넘긴 의원은 1명, 700명을 넘긴 의원은 3명이었다.

세 자릿수에 이어 네 자릿수 구독자를 확보한 의원들은 모두 23명이었다. 1000명을 넘긴 의원들은 9명, 2000명을 넘긴 의원들은 3명, 3000명과 4000명을 넘긴 의원은 각각 2명과 1명이었다. 5000명을 넘긴 의원은 3명이었고, 6000명을 넘긴 의원은 없었다. 7000명을 넘긴 의원은 1명이었다. 8000명과 9000명을 넘긴 의원들은 각각 2명이었다.

총선 활용가치 상승 전망
300명 중 248명 방송 개설

만명 단위의 구독자를 보유한 의원들은 7명이었다. 1만명을 넘긴 의원들은 3명이었고, 2만명과 3만명을 넘긴 의원은 없었다. 4만명을 넘긴 의원은 2명이었고, 5만명을 넘긴 의원과 6만명을 넘긴 의원은 각각 1명이었다. 10만명을 넘긴 의원은 2명에 불과했다. 한편 구독자 수를 공개하지 않은 의원들도 더러 있었다. 구독자를 미공개 처리한 의원들은 모두 20명이었다.

초선 의원 총 139명 중 29명을 제외한 110명의 의원이 유튜브 채널을 개설했다. 재선 의원의 경우 총 66명 중 9명을 제외한 57명이, 3선 의원은 총 46명 중 8명을 제외한 38명이 채널을 보유한 상태였다. 4선의 경우 총 33명 중 4명을 제외한 29명이, 5선의 경우 총 9명 중 1명을 제외한 8명이, 6선의 경우 총 5명 중 1명을 제외한 4명이 채널을 개설했다.

7선과 8선 의원인 민주당 이해찬 대표와 무소속 서창원 의원 역시 채널을 보유하고 있었다.

유튜브서 정치 경력은 크게 중요하지 않았다. 당선횟수와 이용자의 호응도는 비례하지 않았던 것. 구독자 수 1위부터 10위까지는 대부분 초·재선 의원으로 8명에 달했다. 세부적으로 초선 5명, 재선 3명, 3선과 4선은 각각 1명씩이었다.
 

▲ 전희경 자유한국당 의원

구독자 수 1위는 무소속 이언주 의원의 차지였다. 이 의원의 유튜브 채널 <이언주TV>의 구독자는 19만명을 넘겼다. 2위는 한국당 전희경 의원이었다. 전 의원의 채널 <전희경과 자유의 힘>은 10만을 넘겼다. 이 의원과 전 의원은 각각 재선, 초선 의원이다.

10만 구독자
0명 구독자

3위는 민주당 박주민 의원의 <박주민TV>가, 4위는 민주당 박용진 의원의 <박용진TV>가 차지했다. 두 의원 모두 초선 의원이다. 이들은 각각 6만명과 5만명의 구독자 수를 넘겼다. 5위와 6위는 무소속 손혜원 의원과 바미당 하태경 의원이었다. 손 의원의 <손혜원TV>와 하 의원의 <하태경TV>는 모두 4만명을 넘겼다. 손 의원은 초선, 하 의원은 재선 의원이다.


대한애국당 조원진 의원과 한국당 김현아 의원이 7위와 8위로 그 뒤를 이었다. 조 의원의 <조원진>과 김 의원의 <김현아의 정다방TV [20대 국회의원 김현아]>는 모두 1만명을 넘겼다. 조 의원은 3선, 김 의원은 초선 의원이다. 9위와 10위는 한국당 장제원 의원과 바미당 유승민 전 공동대표였다. 장 의원의 <장제원TV>는 1만명을 넘겼고, 유 전 공동대표의 <유승민 공식채널>은 9000명을 넘겼다.

초선 의원들 중에서 가장 적은 구독자를 보유한 의원은 한국당 강석진 의원의 <강석진 의원실>, 한국당 윤상직 의원의 <윤상직>, 민주당 강훈식 의원의 <hoonsik kang>이었는데 이들의 구독자는 한명도 없었다. 재선 의원 가운데 가장 구독자 수가 적은 채널은 한국당 김도읍 의원의 <김도읍>, 한국당 정양석 의원의 <정양석>으로 이들 역시 구독자가 0명이었다.

동영상 906개
동영상 1개

3선에서는 민주당 백재현 의원의 <재현백>과 한국당 이진복 의원의 <이진복>이 가장 적은 구독자를 기록했는데 이들의 구독자는 1명이었다. 4선 의원 가운데 평화당 조배숙 의원의 <조배숙>이 구독자 1명으로 가장 적었다. 5선 의원 중에는 민주당 박병석 의원의 <박병석> 구독자가 6명으로 가장 적었다.

다만 이들은 꽤 오래전부터 활동을 하지 않았다. 해당 채널에 게재된 동영상은 대부분 1년서 5년 사이 등록됐다. 개설만 했을 뿐 이후 특별한 활동을 지속하지 않은 것이다. 활동 재개 여부에 따라 구독자 수가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
 

▲ 하태경 바른정당 의원

유튜브 채널에 동영상을 많이 게재한다고 해서 반드시 구독자가 많은 것도 아니었다. 자신의 채널에 가장 많은 동영상을 올린 의원은 평화당 정동영 대표다. 정 대표는 906개의 동영상을 게재했다. 구독자는 2000명을 넘겼다. 정 대표 다음은 민주당 표창원 의원이었다. 표 의원은 692개의 동영상을 등록했고, 구독자는 7000명을 넘겼다.

뒤이어 한국당 심재철 의원과 민주당 한정애 의원은 각각 587개, 580개의 동영상을 채널에 올렸다. 심 의원과 한 의원의 구독자는 각각 1000명과 100명을 넘겼다. 민주당 이종걸 의원과 바미당 주승용 의원, 한국당 장제원 의원이 그 뒤를 이었다. 이 의원은 551개, 주 의원은 526개, 장 의원은 519개의 동영상을 공유했다. 이들의 구독자 수는 순서대로 1000명·50명·1만명을 넘겼다.

선수·게시물 수…구독자와 관련 없어 
운영 중단된 채널, 재개 가능성 주목

한국당 윤상현 의원과 민주당 추미애 전 대표, 한국당 김학용 의원이 그 뒤를 이었다. 윤 의원은 516개를, 추 전 대표는 385개를, 김 의원은 371개의 동영상을 게재했다. 이들의 구독자 수는 각각 100명·9000명·100명을 넘겼다.


의원 겸직 장관들도 유튜브 채널을 보유하고 있었다. 유은혜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의 <유은혜>는 구독자 200명을 넘겼다. 진선미 여성가족부장관의 <진선미>는 구독자 400명을 넘겼다. 김현미 국토교통부장관은 <Hyunmee Kim>, 박영선 중소벤처기업부장관은 <Youngsun Park>으로 각각 구독자 수 80명과 1000명을 넘겼다. 진영 행정안전부장관과 이개호 농림축산식품부장관의 경우 유튜브 채널을 확인할 수 없었다.

의원들의 채널 이름은 대부분 자신의 한글이나 영어 실명인 것으로 확인됐다. 실명 앞뒤로 자신의 지역구나 ‘TV’ 등을 붙였다. 민주당 전재수 의원의 <부산북·강서갑 전재수>, 민주당 김경협 의원의 <김경협 국회의원 부천시 원미구>, 한국당 민경욱 의원의 <자유한국당 인천연수을 국회의원 민경욱>, 한국당 이양수 의원의 <속초고성양양 국회의원 이양수> 등이 대표적인 사례다.

TV라는 단어는 의원의 실명과 함께 쓰였다. 민주당 금태섭 의원의 <금태섭TV>, 한국당 최연혜 의원의 <최연혜TV>, 바미당 박주현 의원의 <박주현TV>, 바미당 유의동 의원의 <유의동TV> 등이 그 예다. 한편 평화당 황주홍 의원은 자신이 속한 국회 상임위원회의 이름을 차용했다. 황 의원의 채널 이름은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장 황주홍>이다.

실명으로
별명으로

한편 몇몇 의원들은 채널 이름을 개성 있게 표현하기도 했다. 민주당 권칠승 의원의 <권칠승사이다>, 민주당 노웅래 의원의 <국회의원 노웅래의 온에어[ON AIR]>, 민주당 박범계 의원의 <뿜계TV>, 한국당 신상진 의원의 <신상진의 소통과 만남>, 한국당 송희경 의원의 <4차산업혁명 전도사 국회의원 송희경>, 바미당 오신환 의원의 <오신환TV 신환은행>, 평화당 정인화 의원의 <사람꽃> 등이 대표적이다.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