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석증은 간, 담도, 담낭(쓸개)에 돌이 발생하는 질환으로 위치에 따라 간내 담관에 결석이 있는 경우 ‘간내담석’, 총담관에 결석이 있는 경우 ‘총담관결석’, 담낭에 결석이 있는 경우 ‘담낭결석’으로 구분할 수 있다.
국민건강보험공단 빅데이터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담석증 질환으로 진료를 받은 환자는 2012년 12만7000명에서 2017년 16만3000명으로 평균 연 5.1% 증가했다고 밝혔다.
16만3000명
진료인원을 성별로 나누어 보면 2012년부터 2017년까지 여성이 남성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평균 증가율은 남성 5.2%, 여성 연평균 5.1%로 남성이 높았고, 여성이 차지하는 비율은 52% 이상으로 나타났다.
2017년 기준 연령대별 진료현황을 살펴보면, 70대 이상(4만6000명, 28.1%)이 가장 많았고, 그다음 60대(3만5000명, 21.3%), 50대(3만4000명, 20.9%)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50대 이상이 전체환자의 70.3%(11만5000명) 점유율을 보였다.
남성은 70대 이상(2만2000명, 28.1%)이 가장 많았고, 60대(1만8000명, 23.1%), 50대(1만6000명, 21.2%) 순이며, 여성은 70대 이상(2만4000명, 28.1%)이 가장 많았고, 50대(1만8000명, 20.6%), 60대(1만7000명, 19.6%) 순으로 나타났다.
질환자 연 5.1% 증가
여성이 남성보다 많아
이진호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외과 교수는 50대 이상 환자가 많은 이유에 대해 “담석증 발생의 간접 영향지표인 콜레스테롤 포화지수는 대부분 연령이 높아질수록 상승하는 경향을 보이며, 이러한 현상으로 인해 고령층에서 담석증의 발생빈도가 높아진다고 볼 수 있겠다”라고 설명했다.
담석증 질환을 치료하지 않고 방치 시 문제에 대해서는 이렇게 밝혔다. “담낭결석 환자 중에서 증상을 경험하는 환자는 10∼25%이며 대부분은 증상이 없다. 그러므로 증상이 없는 담석증 환자의 예방적 담낭절제술은 권고되지 않는다. 그러나 통증 등의 증상이 있는 담석증의 경우 담낭절제술과 같은 근본치료를 시행해야 하며, 담낭암의 발생 위험이 증가한다고 알려진 3cm 이상의 큰 결석, 췌담관합류 이상을 동반한 경우, 1cm 이상의 담낭용종과 동반된 경우, 석회화 담낭 환자는 담낭절제술을 시행해야 한다. 그리고 이식 환자, 만성 용혈성 증후군, 총담관 담석을 동반한 경우 등에서는 발병 중 합병증이 생길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예방적 담낭절제술을 시행하는 것이 좋겠다”라고 말했다. 또한, 다른 연령대 보다 70대 이상 노인환자가 많은 이유에 대해서는 “신체가 노화되면서 담낭 운동력이 감소하고 저항력이 떨어지면서 면역력 저하로 이어지는 것이 원인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콜레스테롤 음식 섭취 줄이고
단백질·비타민 적절히 먹어야
담석증의 원인, 위험인자로는 나이, 성별, 비만, 급속한 체중감소, 고지혈증, 식습관, 유전적 요인, 기저질환, 약물 등이 있다. 유병률은 특히 40세 이후에 급격하게 증가하며 담석에 의한 증상도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잘 발생한다.
여자가 남자보다 더 높은 유병률을 보이는 데 이는 여성 호르몬에 의한 담즙분비 억제 및 담낭 수축 기능 억제에 의한 담석 형성 촉진에 의한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담석증 질환의 내과적 치료 방법은 크게 담석을 약물을 통해 용해시키는 방법과 담석을 분쇄하는 방법, 경피담낭담석 제거법으로 나눌 수 있다.
외과적 치료는 담낭을 제거하는 절제술이 있으며 수술 방법으로는 개복 또는 복강경이 있다. 최근에는 로봇으로 수술을 시행하고 있으며 점차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예방을 위한 식이요법을 살펴보면 일반적으로 콜레스테롤, 지방, 탄수화물이 많이 함유된 음식은 콜레스테롤 담석 발생의 위험도를 높이는 반면 불포화지방, 식이섬유, 비타민C, 칼슘 등은 위험도를 낮춘다고 보고되고 있다.
40세 이후↑
따라서 평소 고콜레스테롤 음식의 섭취를 줄이고 단백질과 비타민 등을 적절히 섭취하는 식습관이 필요하고, 급격한 다이어트보다는 꾸준한 운동으로 적절한 체중을 유지하는 것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