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닫는 청량리정신병원 ‘소문과 진실’

2018.03.26 10:59:53 호수 1159호

제2의 곤지암정신병원 되나?

[일요시사 취재1팀] 장지선 기자 = 국내 1호 정신의료기관인 청량리정신병원이 이달 말 문을 닫는다. 1945년 8월 해방과 동시에 설립된 지 73년 만이다. 현재 청량리정신병원의 폐업을 두고 뒷말이 무성하다. 혐오시설 논란, 인력난, 경영난 등 온갖 설이 제기되고 있다. <일요시사>는 병원 내부 관계자에게 청량리정신병원의 속사정을 들어봤다.
 



서울 동대문구 청량리동에 소재한 청량리정신병원은 1945년 8월 청량리 뇌병원으로 처음 문을 열었다. 1980년 지금의 이름으로 바꿨고, 1981년부터 500병상 규모의 병원으로 운영돼왔다. 화가 이중섭이 1956년 입원했다가 당시 원장이던 고 최신해 설립자에게 정신 이상이 아니라는 진단을 받고 퇴원한 곳이기도 하다. 시인 천상병도 이 병원에 입원한 경험이 있다.

정신병원 산 역사

1980년대 이전 해방과 6·25를 거치면서 거리의 정신질환자들이 청량리 정신병원으로 몰렸다. 입원 환자가 급증하고 면회 오는 가족들이 병원 주변서 생활하면서 마을이 형성되기도 했다.

최근 한국 정신병원의 산 역사로 불리던 청량리정신병원이 이달 말 폐업한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청량리서 한 평생을 산 60대 남성은 “청량리정신병원은 청량리 588(집창촌)과 함께 청량리 명물 아니었느냐”고 말했다.

당초 의료계에 따르면 장동산·최문식 청량리정신병원장은 직원들에게 이달 말까지만 병원을 운영한다고 공지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병원 내부 관계자의 말은 달랐다. 청량리정신병원 내부 관계자는 “원래 폐업 시기는 2월 말이었던 것으로 안다. 경영진은 일부 직원들에게 1월 말 ‘2월 말에 병원 문을 닫는다’고 통보했다”며 “전 직원이 알게 된 것은 2월 초쯤이었다”고 말했다.

이중섭·천상병 입원 국내 1호 정신병원
70년 역사 뒤로 하고 급작스런 폐업 결정

폐업 시기가 2월 말에서 3월 말로 밀린 이유로는 해고 예고 기간을 맞추지 못해서인 것으로 파악됐다. 근로기준법 26조 ‘해고의 예고’에 따르면 사용자가 근로자를 해고하려면 적어도 30일 전에 예고해야 하고, 30일 전에 예고하지 않았을 때는 30일 분의 통상임금을 지급해야 한다고 돼있다.

의료법 시행규칙 제30조 3 ‘폐업·휴업 시 조치사항’에도 의료기관 개설자가 의료업을 폐업하는 때에는 신고예정일 30일 전까지 환자 또는 그 보호자에게 직접 안내문의 내용을 알려야 한다. 

청량리정신병원은 지난달 28일 병원장 명의로 “당 병원 사정으로 인해 2018일 3월31일자로 폐원하게 되었음을 알려드리니 환자 및 보호자 여러분께서는 이점 양지해 주시기 바랍니다”는 내용의 공지문을 병원 내에 붙였다.

청량리정신병원의 폐업 이유는 ▲혐오시설 논란 ▲인력난 ▲경영악화 등으로 알려져 있다. 정신병원을 혐오시설로 바라보는 주민들의 시선을 끝내 바꾸지 못했고 인력을 구하기 어려웠으며 더 이상 운영이 어려울 정도로 경영이 악화됐다는 것. 

하지만 이 역시 내부 관계자의 주장과는 다소 거리가 있었다.

내부 관계자는 “우리 병원을 혐오 시설로 보고 주민들이 민원을 넣는 일은 최근 들어서는 거의 없었다. 10∼15년 전이라면 그 말을 이해할 수 있지만 지금은 아닌 것으로 알고 있다”고 털어놨다. 
 

경영 악화에 대한 부분도 “말 그대로 경영이 악화되고 있을 뿐 손해는 아니다”고 주장했다. 내부 관계자는 70년 넘는 역사를 가진 병원이 불과 세 달 새 ‘번갯불에 콩 구워 먹듯이’ 폐업하는 이유에 대해 “도무지 모르겠다”고 토로했다.

23일 기준으로 청량리정신병원에 남아있는 입원환자는 90여명이다. 일부 환자들은 30∼40년 동안 청량리정신병원에 입원과 퇴원을 반복해왔다. 일생의 대부분을 청량리정신병원서 보낸 일부 환자들의 아쉬움은 이루 말할 수 없을 정도다. 


한 환자 가족은 병원 폐업 소식이 전해지자 반대 탄원서를 낼 생각도 했다고 한다.

환자들은 이제 다른 병원을 알아봐야 한다. 보호자가 없는 환자들은 이미 전원을 마친 상태다. 아직 남아있는 환자들은 마지막 날까지 청량리정신병원서 입원 치료를 받고 싶다는 입장을 보인 것으로 알려졌다.

병원과 깊은 인연을 맺은 것은 환자뿐만이 아니다. 청량리정신병원에 소속된 70여명의 직원 가운데는 20∼30년씩 근무한 사람들도 있다. 직원들은 처우나 복지가 좋아서 병원에 남아있던 게 아니라고 입을 모았다. 

이들에 따르면 간호사를 제외한 대부분 직원들의 월급은 장기간 그대로였다.
 

그렇다고 병원 시설이 좋았느냐면 그것도 아니다. 실제 청량리정신병원을 방문했던 몇몇 환자들이 남긴 후기를 보면 “수용소 같다”는 묘사가 등장한다. 

그동안 외벽 공사를 한 차례 진행하고, 고장 난 부분을 조금씩 수리한 것을 빼면 청량리정신병원은 지난 20∼30년 동안 리모델링 한 번 없이 유지됐다.

‘이러쿵저러쿵’ 뒷말 무성
내부인이 전한 속사정은?

열악한 근무환경과 처우였지만 직원들은 “가족적인 분위기가 좋았다”고 말했다. 병원서 함께 근무하는 동안 직원들끼리 쌓인 정, 환자와의 유대관계 등이 일의 강도나 월급을 잊게 해줄 정도로 괜찮았다는 뜻이다.

처음에는 아쉬움을 표하던 직원들도 이제 하나둘씩 새로운 일자리를 찾아 나서고 있다. 근무기간은 수십 년이었지만 떠나는 데는 채 3개월도 걸리지 않았다. 


내부 관계자는 대화 도중 “우리 병원은 역사를 간직한 병원이고…”라는 말을 여러 차례 반복했다. 겉으로 보이는 건물은 노후했지만 환자에 대한 의료의 질은 최고였다고 자부심을 드러내기도 했다.

일주일 후면 70여년 역사를 간직한 청량리정신병원은 사라진다. 일부 사람들의 시선은 병원 폐업 이후로 조준돼있다. 5400㎡(1600여평)의 병원 부지가 어떻게 활용될 지 관심을 갖고 있는 것.

지난 13일 동대문구의회서 진행된 제277회 임시회서 이영남 동대문구의원은 “정부나 서울시서(청량리정신병원의) 토지매입 방안을 모색할 수 있었으면 한다”며 “매입 후 지역 복지, 문화시설을 건설할 수 있는지”에 대해 구청장에게 물었다.
 

유덕열 동대문구청장은 “부지활용에 대한 구체적 계획은 정해진 게 없다”면서도 “가능하다면 동대문 지역 청소년들을 위한 테마파크 설립도 의미가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청량리정신병원 부지의 땅값이 약 300억원 정도가 될 것으로 예상한다며 관련사업 추진을 위한 약 800억원의 국·시비 확보가 숙제라고 언급했다.

부지 활용은?

한 청량리 주민은 “(내가 듣기론)병원 부지를 3년 정도 묵혀뒀다가 사람들 기억서 잊힐 때쯤 대형마트가 들어온다던데…”라며 “이미 여러 건설업체가 그 부지에 눈독을 들이는 걸로 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청량리정신병원 측은 “언론의 취재에 따로 응하고 있진 않다”면서도 폐업 시기가 2월 말에서 3월 말로 바뀌었다는 주장에 대해서는 “처음부터 3월 말이었다”고 답했다.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