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삼기의 시사펀치> 장영실 정신, 경주 APEC에 뿌려라

2025.09.19 09:16:56 호수 0호

조선시대 과학자 장영실은 백성을 위한 발명으로 조선을 과학 강국의 반열에 올린 인물이다. 자격루, 앙부일구, 측우기와 같은 그의 발명품은 국가 행정을 체계화하고 농업과 세금 제도를 공정하게 운영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



600년 전 “과학은 인간을 위한 것이어야 한다”는 장영실 정신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유효하다. 그의 업적은 단순히 뛰어난 발명품에 그치지 않는다. 그것은 과학이 지닌 본질적 의미와 우리나라 과학의 발전 방향을 압축적으로 보여준다.

그의 업적은 세 가지 정신으로 요약된다.

첫째, 과학은 인간과 사회를 위한 도구라는 점, 둘째는 인재 발굴과 제도적 지원이 뒷받침돼야 한다는 점, 마지막 셋째는 과학 발전은 시대를 넘어 이어지는 연속적 흐름이라는 점이다.

지금 우리는 AI와 같은 첨단 과학기술의 한가운데 서 있다. 이 기술이 인간의 삶을 더 나은 방향으로 이끌 수 있을지, 아니면 통제 불가능한 위험을 낳을지는 결국 우리가 장영실 정신을 어떻게 적용하느냐에 달려 있다. 과학의 사회적 책임, 열린 인재 등용, 국가적 지원이라는 세 가지 가치가 다시금 중요해지는 이유다.

장영실 정신을 계승하고자 1969년 설립된 (사)과학선현장영실선생기념사업회(이하 장영실기념사업회)는 장영실의 업적을 기리고, 과학기술인의 위상을 높이며, 과학 문화 확산에 힘써왔다. 지난 56년 동안 장영실기념사업회는 전시회, 과학기술전국대회, ‘장영실의 날’ 지정, 장영실 동상 제막, 장영실 국제과학문화상 시상 등을 통해 과학이 국가 발전의 뿌리라는 메시지를 널리 전해왔다.


필자는 내달 31일부터 이틀 동안 경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는 우리나라가 세계 무대에서 과학기술·혁신 국가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 중요한 기회라고 생각한다. 경주는 신라 천년의 역사를 간직한 도시이자, 이제는 미래를 이야기할 무대로 떠오르고 있다.

이 곳에서 장영실기념사업회가 역할을 한다면 더욱 빛을 발할 것이다.

마침 장영실기념사업회가 경주 APEC 기간 동안 장영실 정신을 알리기 위해 전시회와 중국 기업 초청 및 장영실 국제과학문화상 대회를 함께 추진한다고 한다. 장영실상은 실용성과 혁신성을 중시하는데, 이는 APEC이 강조하는 디지털 전환, 기후 변화 대응, 혁신 성장의 가치와 맞닿아 있다.

김규석 장영실기념사업회 이사장은 “이번 대회가 우리나라 과학의 뿌리와 미래를 동시에 세계에 보여줄 수 있을 것”이라며 “과거 장영실이 조선시대를 빛냈듯, 우리 과학자들이 경주에서 세계와 함께 우리나라의 미래를 밝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김 이사장은 “장영실기념사업회와 경주 APEC의 만남은 단순한 기념과 외교행사를 넘어 과학의 사회적 책임을 일깨우고, 인재 발굴과 국제 교류를 촉진하며, 지역과 국가 발전의 동력을 만들어낼 수 있는 기회”라고 강조했다.

장영실상은 과학기술인의 사기를 높이고 인재 발굴을 촉진하기 위해 제정됐다. 신분의 한계를 뛰어넘어 세종에게 발탁된 장영실처럼, 오늘날의 과학자는 연구 성과를 통해 평가받고 사회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다. 이는 과학자가 더 큰 도전에 나설 수 있는 동기를 제공한다.

무엇보다 장영실상은 한국 과학 발전의 연속성을 상징한다. 반도체, 우주 탐사, 인공지능, 바이오 등 첨단 분야에서 한국이 세계적 경쟁력을 갖춘 것은 과거 장영실이 보여준 “과학은 백성을 위한 것”이라는 정신이 이어졌기 때문이다.

한국 과학의 뿌리에는 ‘장영실 정신’이 있으며, 이는 오늘날 우리나라 과학 발전의 기반이 됐다. 덕분에 연구실에만 머물러 있지 않고 국제무대에서 사회와 인류에 기여할 비전을 제시하면서 과학 강국이 될 수 있었다.

경주 APEC 정상회의에 트럼프 미국 대통령도 참석이 예정돼있다. 이번 기회에 왜 우리나라가 전자, 자동차, 조선 분야에서 세계 최고의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지 확실히 각인시켜줘야 한다. 그런 의미에서 경주 APEC 정상회의가 열리는 곳에서 장영실기념사업회가 전시회와 함께 전 세계 과학자와 기업에 장영실 국제과학문화상을 수여하는 대회를 갖는다는 건 잘한 일이다.

APEC 21개 회원국 정상이 참가하는 이번 정상회의 기간엔 회원국의 장관, 기업가, 기자 등 2만여명도 함께 경주를 찾는다. 이번 기회에 우리 과학의 뿌리를 이들에게 보여줘 우리나라가 역사와 전통이 있는 과학 강국이라는 사실을 전 세계에 알려야 한다.


또 장영실상이 세계적인 권위 있는 상이 될 수 있도록 정부도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국내총생산(GDP) 대비 연구개발(R&D)비 비중이 5%를 넘어 세계 2위의 우리나라 과학 위상에 맞게 정부가 적극적인 지원을 통해 장영실상을 노벨과학상에 버금가는 수준으로 만들어야 한다.

장영실기념사업회는 초대 회장 안호상 박사를 비롯해 조순, 이수성, 정근모 박사 등이 역대 회장을 지냈고, 현재는 전남도지사 출신 박준영 회장이 협회를 이끌고 있다.

역대 장영실 국제과학문화상 수상자로는 줄기세포 황우석 박사, 뇌과학자 조장희 박사, UN본부 유네스코 과학분과위원장 이이청 박사, 중국 장영옥 교수, 일본 나카마스 요시로 박사 등이 있다.

이번 경주 APEC 정상회의 기간 동안 “과학은 인간을 위한 것이어야 한다”는 장영실 정신이 널리 알려져, 전 세계가 장영실을 기억하고 그의 정신을 따르는 계기가 되기 바란다.

아울러 국제적인 기후 관련 행사를 할 때마다 1442년 세계 최초의 통일된 강우량 측정 기구인 측우기 외 해시계·자격루·혼천의 등 기후 관련 기구를 발명한 장영실의 기후에 대한 기여와 그 가치도 함께 기억되길 바란다.

대한민국 해군은 19일, 국내 독자 기술로 설계 제작된 3600톤급 2세대 거북선 잠수함 이름을 ‘장영실함’으로 정했다고 밝혔다. 이는 조선시대 최고의 과학자인 장영실을 기리고, 장영실함이 우리나라 독자적인 과학기술로 만든 최첨단 잠수함임을 알리는 것이다.

장영실기념사업회가 경주 APEC에 참가한 외국인들에게 장영실함을 소개하는 것도 좋을 것 같다.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