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나코 이민' 박주영의 찝찝한(?) 동메달

2012.08.20 10:00:16 호수 0호

“메달 못 땄어도 어차피 군대는 안 간다?”

[일요시사=김설아 기자] 런던올림픽 남자축구 동메달 결정전. 이 경기는 상대가 숙적 일본이라는 것도 흥미로웠지만, 경기 외적인 문제로도 대중의 촉각을 곤두세웠다. 메달획득 시 선수들에겐 ‘병역혜택’이라는 달콤한 포상이 주어지기 때문. 결국 한국축구는 일본을 꺾고 올림픽 동메달을 획득했고, 선수들의 병역의무는 사라졌다. 그중에서도 이번 혜택이 가장 크게 와 닿는 선수는 그간 군문제로 스캔들을 겪어온 박주영이다.



박주영(27)은 군대 갈 나이가 이미 지났다. 그간 병역혜택이 걸린 국제대회에 네 번이나 출전했지만 연거푸 고배를 마시면서 늘 병역과 관련된 논란에 휘말려 왔다. 3전4기 끝에 도전한 이번 올림픽은 사실상 박주영에게 마지막 카드였다. 

런던올림픽 출전여부를 두고 우여곡절도 많았다. 2008년 AS모나코에 입단했던 박주영은 지난해 9월 영주권제도가 없는 모나코공국으로부터 10년 이상 장기체류자격을 받았다. 37세까지 병역 연기 혜택을 받은 것인데 이를 두고 사실상 군대를 안가기 위한 편법 아니냐는 논란이 일었다. 

입대 거부슛?

병역법시행령 제146조 및 병역의무자 국외여행업무처리규정 제26조에 따르면 ‘영주권제도가 없는 국가에서 무기한 체류자격 또는 5년 이상 장기체류자격을 얻고 해당 국가에서 1년 이상 거주한 사람은 37세까지 국외여행기간연장 허가를 받을 수 있다’고 명시돼 있다. 현행 병역법에서는 35세까지 현역 입대, 36~37세는 보충역인 공익근무, 38세 이후에는 면제 처분을 받는다.

당시 박주영은 비난이 일 것을 대비해 병무청에 ‘35세 이전에 현역병으로 병역을 이행하겠다’는 각서까지 써냈다. 그러나 그를 둘러싼 ‘병역 꼼수’ 논란은 좀처럼 가라앉지 않았다. 특히 국민여론을 무시할 수 없었던 최강희 A대표팀 감독의 해명 권유에도 공식적인 의사표현을 하지 않아 여론은 더욱 악화됐다.


논란은 이번 올림픽대표팀 선수 선발 때까지 이어졌다. 한 포털사이트에서는 "박주영의 국가대표 자격을 박탈해야 한다"는 서명운동이 진행됐고 "박주영은 유럽의 모나코공국으로 이민 간 사람이다. 한국을 대표해 태극마크를 달 자격이 없다"는 주장 등이 거세게 쏟아져 나왔다. 대표팀의 주장까지 했던 그가 법의 맹점을 이용해 개인의 이익을 추구했다는 게 주된 이유였다. 사실상 대표팀 퇴출 위기까지 몰렸지만, 대표팀의 ‘와일드 카드’로 그를 포기할 수 없었던 홍명보 감독의 권유로 결국 마음을 돌렸다.

박주영은 지난 6월 기자회견을 통해 “국민의 한 사람으로서 현역에 입대해 국방의 의무를 반드시 이행할 것”이라는 대국민 약속을 했다. 이어 메달을 따내게 되면 병역면제가 되는 부분을 고려하고 있지 않느냐는 질문에는 “메달 이런 부분(병역면제)에 대해서는 전혀 생각하지 않고 있다”며 강하게 부정했다.

기자회견을 마친 뒤 박주영은 뒤늦게 대표팀에 합류했다. 그리고 결국 그는 홍 감독의 기대에 부흥하면서 런던올림픽이 낳은 스타로 부상했다. 오랫동안 그를 짓눌러온 병역문제에 대한 압박에서도 일본과 열린 동메달전에서 ‘입대 거부슛’을 날리며 마침내 해방됐다.

2022년까지 장기체류권…병역법 맹점 이용했다는 비난
메달 땄어도 이어지는 병역문제 딜레마…그의 선택은?

그렇지만 여전히 그를 곱지 않는 눈으로 보는 세인의 시선도 있다. 군대를 가야할 의무는 사라졌지만 그의 행보를 둘러싼 논란은 앞으로도 생각해볼 만한 숙제를 남겼다. 더구나 지난 14일 국방부 측이 올림픽 메달리스트도 병역이행 방법이 다를 뿐 병역을 면제받는 것이 아니라 예술요원이나 체육요원으로서 공익근무요원 복무를 하는 것이라는 원칙 홍보에 나서면서 그의 병역문제는 다시금 선택의 기로에 놓였다.

국방부에 따르면 올림픽 메달리스트는 병역면제가 아니라 공익근무요원 중 체육요원이나 예술요원으로 편입되어 4주간 기초군사훈련을 받고 34개월간 해당분야에서 선수나 지도자로 복무해야 한다. 물론 명목상 공익근무요원이나 사실상의 병역면제라 할 수 있는 상황이지만 박주영에겐 의미가 다르다. 그는 이제 동메달리스트로서 공익근무요원으로 복무할지, 모나코공국 10년 거주권자로서의 자격을 유지할지를 결정해야 한다. 이 과정에서 여차하면 다시 한 번 국민정서상 반감을 불러올 수도 있다.

이와 관련 한 네티즌은 “연예인에게는 병역이 인기와 돈의 문제이지만 운동선수에게는 선수생명 자체의 문제다. 그래서 병역에 대해서 연예인보다는 운동선수에게 좀 더 관용의 마음을 가져야 한다”면서도 “지금 당장 군대 가라는 것도 아니고 선수생활을 할 만큼 하고 가는 것, 즉 스스로 축구를 잠시 떠나 좀 더 시선을 키운다는 생각이라면 나쁠 것 같지도 않다”고 말했다.

이어 이 네티즌은 “그리고 이게 지금까지 군문제로 본인을 논란거리로 삼던 이들에게 ‘내가 가기 싫어서 미루다 면제 받고 안 가는 게 아니라 당장 못 갈 상황이니 미룬 거고 나는 면제 받았어도 간다’라며 시원하게 후려치는 반격이라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딜레마 여전

반면 또 다른 네티즌은 “모르기는 하지만 박주영의 병역을 시비하는 사람들의 대부분 아니 적지 않은 분은 배가 아파서다. ‘나는 군대 가서 2년 혹은 3년을 썩었는데 왜 너는 돈도 많이 벌고 유명한데 안가냐’는 식”이라며 “유명인의 약점을 꼬투리 잡아서 비난하고 매장시키기를 즐겨하는 사회분위기 자체가 문제라는 생각이 든다”고 꼬집었다. 


한편 군 관계자는 “박주영의 병역논란은 병역이 의무이면서도 굴레일 수밖에 없는 한국 운동선수들의 딜레마를 보여준다”며 “결국 선택은 자신의 몫”이라고 말했다. 물론 국민들은 앞으로 또 다시 제2의 박주영이 나오지 않기 위해서라도 그를 둘러싼 어지러운 논란들이 해피엔딩으로 끝나기를 고대하고 있다.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