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트&아트인> 민중미술작가 홍성담

2018.07.30 11:15:17 호수 1177호

세월호 그리고 촛불집회

[일요시사 취재1팀] 장지선 기자 = 가나문화재단은 지난 20일부터 민중미술작가 홍성담의 개인전을 소개하고 있다. 이번 전시는 홍 작가의 최근작 60여점을 선보이는 자리다. 세월호 참사, 일본군 위안부, 독재정권의 억압 등을 주제로 한 작품을 통해 홍 작가의 시대정신과 독창적인 조형세계를 감상할 수 있다.
 



1980년대 초반부터 작품 활동을 시작한 홍성담 작가는 현재까지 일관적으로 사회참여의식을 드러내왔다. 가나문화재단은 그의 이러한 참여의식을 고려, 지하 1층부터 지상 3층까지 총 4개의 전시장을 사회정치적 이슈에 따라 소주제별로 나눴다.

지하 1층에는 세월호 참사를 다룬 ‘세월호 4년의 기다림’, 1층에는 ‘세월오월과 촛불’ 작품이 걸린다. 2층 전시장에는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다룬 ‘봉선화’ 그리고 3층 전시장은 박정희정권의 사회 정치적 억압을 고발한 ‘간고쿠야스쿠니-고속도로’ ‘삶과 죽음의 역사’로 구성했다.

만화적 기법

판화연작 ‘오월’은 5·18광주민주화운동을 소재로 했다. 홍 작가는 1979년 동료 예술인과 광주자유미술인협회(이하 광자협)를 결성해 증언과 발언의 힘을 갖는 미술을 추구할 것을 다짐했다.

이후 그는 광자협 동료들과 함께 광주민주화운동에 동참했고, 참담했던 5월의 현장을 판화역작과 걸개그림 형식으로 담아냈다. 횃불을 들고 시위하는 시민, 군인에 의해 과잉 진압 당하는 시민 등 광주민주화운동 당시 모습을 강렬한 흑백 대비와 만화적 인물 표현으로 적나라하게 묘사했다.


일본군 위안부, 독재정권
그림으로 사회 고발

박근혜 전 대통령을 허수아비로 표현한 게 문제시돼 결국 전시에 걸리지 못한 ‘세월오월’도 이번 전시서 감상할 수 있다. 세월오월 걸개그림은 2014년 광주비엔날레 특별전 ‘달콤한 이슬’의 화제작이었다. 

국가적 재난인 세월호 참사, 4대강, 촛불 집회, 대북 관계 등 다양한 정치적 이슈를 녹였다.

작품은 시민들의 참여로 완성됐다. 시민들은 5분 발언을 통해 걸개그림에 들어갈 내용을 건의하면서 그림의 구상부터 스케치, 채색의 모든 과정에 동참했다. 그런 점에서 이 작품은 공동 창작의 원리를 충실하게 구현한 작업으로 볼 수 있다.
 

‘통일대원도’는 이번 전시서 처음으로 선보이는 홍 작가의 최근작으로, 남과 북의 화합과 평화통일에 대한 염원을 표현한 그림이다. 그림 중앙의 14종류의 새는 평화를 상징한다. 서로를 바라보며 진지하게 대화를 나누는 두 진영의 원수들은 만화처럼 생동감 있게 묘사돼있다. 그림 외곽에는 통일에 기뻐하는 민중의 모습이 판화 형식으로 그려졌다.

이 작품은 내용과 형식적인 면에서 균형있게 조화를 이룬 홍성담 화법의 진수를 드러낸다. 

현실문제에 대한 비판의식을 특유의 걸개그림과 판화 양식으로 구현하는 홍 작가의 화법은 작품 오월서 시작돼 박정희 정권의 고속발전과 자유억압을 표현한 ‘바리깡’ 연작, 2008년 이명박정권의 4대강 사업 이야기를 소재로 한 ‘4대강 레퀴엠’ 그리고 세월오월을 넘어 2018년 촛불 집회를 담은 ‘학익진’, 통일대원도까지 이어졌다.

홍 작가는 사회참여적인 메시지를 강조하기 위해 일반적인 회화 형식에 구애받지 않는 독창적인 조형언어를 구사해왔다. 예를 들어 판화 특유의 도상을 차용해 굵고 각진 외곽선이 있는 형상을 그렸는데, 이는 통일대원도와 ‘김기종의 칼질’ 연작에 나타나 있다.

박근혜 전 대통령 논란
‘세월오월’도 볼 수 있어

또 걸개그림의 화면 구성 방식을 작업에 적용해 만화와 같이 한 화면에 여러가지 이야기를 등장시키기도 했다. 이러한 방식은 만화적 기법으로 이어져, 인물의 표정을 과장되게 묘사하거나 비현실적인 상황을 연출했다. 세월오월 ‘우먼록밴드’ ‘제주 4·3고’ 등의 작품에 이런 특징이 잘 나타난다.


이뿐만 아니라 홍 작가는 1979년부터 3년간 배운 불화를 재해석해 강렬한 원색의 사용, 중요도에 따른 인물의 크기 배치 등의 독창적인 표현 기법을 창출했다.
 

윤범모 미술평론가는 “홍성담은 근래만 해도 세월호 사건서부터 광화문 촛불혁명에 이르기까지 역사의 뜨거운 현장을 직시하면서 자신의 작업으로 연결했다”며 “21세기 벽두 한국사회에서 촛불의 의미는 남다르다. 촛불은 자신의 몸을 살라 어둠을 쫓아낸다. 촛불정신은 홍성담 예술의 원형”이라고 설명했다.

촛불정신 담아

인사아트센터 관계자는 “세월호, 일본군 위안부, 박정희정권의 독재 등을 소재로 한 각각의 작품들은 관람객들이 민중미술이 사회고발의 한 방편이었음을 이해하도록 유도할 것”이라며 “현실 문제를 받아들이는 새로운 시각을 인식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기대감을 드러냈다.

전시는 다음달 19일까지.
 

<jsjang@ilyosisa.co.kr>

 

[홍성담은?]

1955 전남 신안 출생

▲학력


조선대학교 졸업(1979)

▲주요 전시

‘홍성담 오월판화 한마당’ 메이홀, 광주(2018)
‘세월오월’ 광주시립미술관, 광주(2017)
‘판화, 시대를 담다’ 서울시립북서울미술관, 서울(2015)
‘멀티로그: 온 프린트전’ BMOCA 블루메미술관, 파주(2014)
‘홍성담 개인전’ 스페이스99, 서울(2013)
‘홍성담 개인전’ 광주시립미술관, 광주(2010)
‘천년의 색 레드전’ 가나아트센터, 서울(2004)
‘홍성담 개인전’ 학고재, 서울(2004)
‘회화의 복권’ 국립현대미술관, 과천(2001)

▲수상

대한민국미술전람회, 입선(1997)
윤상원 오월상(1990)
중앙미술대전, 입선(1976)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