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동치는 재계' 서열 막전막후

2016.09.09 17:45:30 호수 0호

박근혜 정부 들어 울고 웃은 기업들

[일요시사 취재1팀] 양동주 기자 = 재계 판도가 어떻게 변할지 지켜보는 일은 나름 흥미로운 관전 포인트다. 이런 와중에 재계 서열에 균열의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건실한 성장을 거듭하는 곳이 있는 반면 내우외환에 시달리는 몇몇 기업은 뒷걸음질이 예상된다.



재계 서열재편 시나리오가 감지되는 분위기다. 당장 서열 하락이 예상되는 기업은 한진그룹, 현대그룹 등이 꼽힌다. 공통적으로 최근 부실 계열사 및 오너 일가의 비리 혐의 등으로 호사가들의 입에 오르내린 기업이다.

내우외환에
서열 뒷걸음

공정거래위원회 대규모기업집단 그룹관련현황을 보면 지난해 12월 기준 한진그룹의 전체 공정자산은 약 37조원이다. 계열사별로 살펴보면 대한항공이 23조원으로 가장 많고 한진해운이 약 7조4000억원으로 두 번째다. 만약 한진해운이 계열분리 된다면 그룹 자산은 29조원대로 주저앉게 된다.

한진해운의 계열분리는 한진그룹의 외형 축소뿐만 아니라 대외적 입지 하락으로 연결된다. 현재 한진그룹의 재계 순위는 11위. 한진해운이 떨어져 나가면 한진그룹의 재계 순위는 2계단 하락한 13위에 그칠 것으로 예상된다.

자산규모 리스크도 마찬가지다. 한진해운 법정관리 여부에 따라 대주주인 대한항공이 일정부분 손실을 감당해야 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대한항공 주가에 변동이 생기거나 글로벌 경영 환경서 최고 경영진에 대한 신뢰도에 금이 갈 수 있다.


물론 그룹의 주축은 대한항공인 만큼 재무적으로는 큰 타격이 없을 것이라는 해석도 나온다. 오히려 부실 계열사 문제를 해결하는 효과를 볼 수도 있다는 계산이다. 일단 오는 25일로 예정된 추가 자구안 내용에 따라 채권단의 승인 혹은 다시 추가 내용을 내야 할 수도 있다.

계열사 부실·오너리스크에 지각변동
내우외환 기업들 추락…탈락 조짐도

재계 5위 롯데그룹 역시 재계순위 추락 위기서 자유롭지 못하다. 그룹의 성장동력으로 추진했던 사업 상당수가 원안대로 행해지기 힘들어진 분위기 탓이다.

공정거래위원회가 4월 초 발표한 대기업집단 지정현황을 보면 롯데그룹의 자산 총액은 103조3000억원으로 105조9000억원인 4위 LG그룹을 턱밑까지 추격했다. 하지만 지난해 불거진 경영권 분쟁에 이은 롯데면세점 월드타워점 특허 상실, 호텔롯데 상장 불발 등으로 성장세가 단숨에 꺾였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롯데그룹은 호텔롯데 상장 불발로 최소 2조8800억원의 자금 조달이 무산됐다. 롯데는 이 자금 중 2조870억원가량을 해외 면세점 인수와 면세점 신규 오픈 및 확장 등에 활용할 계획이었다.

물론 롯데그룹의 재계 서열이 급격히 떨어질 가능성은 희박하다. 재계 6위인 포스코와 자산총액 격차가 20조원, 재계 7위인 GS그룹과는 40조원까지 벌어지기 때문이다. 다만 롯데그룹의 뒤숭숭한 분위기가 그룹의 위상하락에 그치지 않고 자산가치 하락으로 이어질 가능성을 완전히 부인하긴 힘들다.

부실 계열사
위상 급추락

한진그룹과 롯데그룹은 재계 순위가 하락해도 대기업이라는 지위를 누릴 수 있다는 점에서 그나마 나은 축이다. 현대그룹은 이마저도 힘든 상황이다. 1990년대 중반까지 재계 서열 1위였던 현대그룹의 위상을 생각하면 더욱 놀라운 결과다.

지난달 5일 현대상선은 신주 상장을 완료하고 주채권은행인 산업은행 자회사로 편입됐다. 현대상선은 고 정몽헌 회장이 1981년부터 1988년까지 약 8년간 국내 최대 종합해운업 기업으로 급성장시킨 기업이다. 

하지만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로 물동량이 감소하면서 현대상선의 경영에도 위기가 찾아왔다. 이 과정서 현대그룹은 연이은 계열사 매각을 통해 끝까지 현대상선을 붙잡고자 했지만 결국 떠나보내야 했다. 


현대상선을 잃은 현대그룹은 현대엘리베이터, 현대아산, 현대유엔아이 등 남은 계열사 10개를 포함 자산 2조7000억원 수준의 중견기업으로 새 출발한다. 대기업집단의 기준이 되는 자산총액 10조원 기준에 턱없이 미달하는 셈이다.

재계에선 현대엘리베이터와 현대아산을 중심으로 사업 포트폴리오가 재편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새로운 먹거리를 찾기 위해 적극적으로 나설 것이란 전망이다. 현대엘리베이터는 국내 1위 엘리베이터 제조업체로 지난해 연결 기준 매출 1조4487억원, 영업이익 1565억원을 기록하며 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현대아산의 경우 최근 국내 건설·토목 분야 수익성 회복에 집중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재계 관계자는 “대기업집단 기준이 자산 10조원 이상으로 조정되며 현대그룹이 재계 순위에서 빠지는 것은 기정사실화됐다”며 “주요 계열사 부실에 따른 사세위축은 뼈아픈 결과지만 현대엘리베이터 중심으로 사업구조가 재편되면 실속은 챙길 수 있다”고 말했다.

쪼그라든 사세
빛 바랜 옛 영광

한진그룹, 롯데그룹, 현대그룹이 위상 하락을 걱정하는 사이 하림그룹은 내년부터 대기업으로 분류될 가능성이 한층 커졌다. 그간 하림그룹은 연이은 인수·합병(M&A)을 통해 덩치를 키웠다. 지난해 6월 팬오션을 인수한 뒤 자산 규모는 9조9000억원으로 늘었다. 자산을 1000억원 늘리면 대기업집단에 소속된다.

인수 첫 해 팬오션은 매출 1조7606억원, 영업이익 2298억원을 기록했다. 2014년도와 비교하면 매출은 13.22%, 영업이익은 7.07% 증가했다. 올해 1분기 들어서도 팬오션은 398억원의 영업이익을 냈다. 증권업계는 벌크 마진 회복을 이유로 하반기 실적도 양호할 것으로 기대하는 모양새다.

하림그룹의 사업 부문에서 해운이 차지하는 비중은 28%로 가장 높다. 다음이 사료 23%, 양돈 15%, 유통 7% 등으로 다각화됐다. 이는 그룹 내부서도 팬오션에 거는 기대가 크다고 해석할 수 있다.

순식간에 중견그룹으로 내려앉아
덩치 불려 속속 안착…진입 눈앞도

재계 순위 20위인 금호아시아나그룹은 향후 재계 순위를 뒤흔들 복병으로 분류된다. 일단 금호타이어 인수 여부가 회사의 순위를 가늠하는 나침반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간 금호아시아나그룹은 금호타이어를 인수해 그룹 재건에 방점을 찍겠다는 의지를 누차 보여줬다. 금호아시아나그룹은 금호홀딩스를 통해 금호타이어 인수에 집중할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금호타이어 채권단이 보유한 지분은 42.1%, 인수 가격은 약 1조원으로 추정되는데 박삼구 금호아시아나그룹 회장은 금호타이어 우선매수권을 가지고 있다.

덩치 불리는
숨겨진 복병들

금호타이어를 인수하게 되면 금호아시아나그룹의 자산총액은 20조원 이상으로 늘어난다. 금호타이어는 6월 말 기준 자본금 7899억원, 자본총계 1조2086억원, 부채총계 3조9436억원, 자산총계 5조1522억원의 재무구조를 갖고 있다. 현재 금호아시아나그룹의 자산총계는 약 15조원 규모다.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