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자의 집착·질투는 사랑표현?‘의부증’ 주의보

2010.06.22 10:24:01 호수 0호

요즘 밤잠을 설친다는 최모(43·여)씨는 “얼마전 회사 갔다온 남편의 문자를 봤는데 [오늘 미팅 즐거웠어요. 다음에 기회되면 또 뵙죠]라고 찍혀있었다”며 “남편은 단순히 거래처 사람이라고 항변했지만 남편이 그것을 빌미로 밖에서 거래처 여자와 데이트를 하는지 마음이 걸린다”고 토로했다

박모(25·여)씨는 “남자친구 핸드폰에 다른 여자친구 전화번호가 너무 많이 저장돼 있고 전화도 꽤 온다”며 “나를 만나지 않을 때 다른 여자들을 만나고 다니는 것 같다”고 의구심을 제기했다.

그러나 박씨의 말과 달리 그녀의 남자친구는 도서관에서 공부를 하거나 책을 볼 때 핸드폰을 꺼두거나 진동으로 해둬 전화를 못 받을 때가 종종 있다고 항변했다. 그리고 실제 책을 보고 있는 모습을 두 눈으로 확인했다는 박씨.

그러나 박씨는 “남자친구가 전화를 안 받을 때마다 확인하러 학교 도서관에 가서 일일이 확인할 수도 없는 노릇이다”라며 “남자친구가 내 눈을 피해서 다른 여자친구를 만나고 있는 게 틀림없다”고 토로했다.

최씨처럼 낯선 여자의 문자를 대충 넘어가거나 박씨처럼 핸드폰에 저장된 여러 명의 여자친구의 핸드폰 번호와 통화내역을 보고 쿨하게 넘어가는 여자들은 많지 않을 것이다.

남편이 나 몰래 바람피고 있다?

남편이나 배우자를 의심하는 것은 자신의 사랑이 다소 지나친 것일 뿐 지극하고 당연한 ‘사랑의 표현’일까.
배우자를 의심하는 의부증은 망상장애의 일종이다.

망상장애의 평균 발병연령은 약 40세로 여성 환자가 남자보다 약간 더 많으며 발병 연령의 범위는 19세부터 90대까지 매우 광범위하다.
의부증에 대한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으며 심리적 요인 등 다양한 원인이 복합적으로 적용돼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의부증과 관련해 색정형 망상장애와 질투형 망상장애가 가장 많이 알려졌다.
색정형의 경우 보통 영화의 스타와 같은 유명한 사람이나 유력한 사람이 환자를 열렬하게 사랑하고 있다고 믿는 망상이다. 이 경우 환자는 망상을 숨기려고 노력하기도 하지만 상대방에게 전화를 걸거나 편지, 선물을 보내고 심지어 집을 방문하거나 감시하고 끊임없이 접촉을 시도한다.

질투형의 경우 상대방의 흐트러진 옷차림이나 이불에 있는 얼룩과 같은 사소한 증거를 수집해 자신의 망상을 정당화하려고 한다.
배우자나 애인이 혼자 외출하지 못하게 하거나 말로 또는 신체적으로 학대를 하고 심지어 배우자를 살해하기도 한다. 이 경우는 배우자와 격리되거나 사망한 후에야 문제가 해소된다.

삼성서울병원 정신과 홍경수 교수는 “망상장애는 기분장애, 정신분열병, 편집증적 인격장애 등과 감별해야 한다”며 “심한 우울증상이나 조증 증상이 없고 정신분열병과 달리 망상이 기이하지 않다는 특징이 있으며 환각이 없거나 환각이 두드러지지 않게 나타난다”고 설명했다.

이어 홍 교수는 “망상장애로부터 편집증적 인격장애를 구별하는 것은 임상적으로 어려울 때가 많지만 편집증적 인격을 가진 사람은 의심이 많고 경각심이 높으나 망상적이지는 않다”며 “일반적으로 증상이 망상인지 아닌지 의심스러울 때에는 망상장애로 진단을 내리지 말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원인 가지각색…치료 어려워

의부증을 가지고 있는 경우 자신의 질병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고 자신보다 남편에게 문제가 있음을 확인하려고 들기 때문에 치료의 시작부터 어려움에 봉착하기 마련이다.

또 자신이 망상장애가 있다고 생각하기보다는 남편이 바람폈음을 주장하며자신이 잘못되지 않았음을 확인하려고 병원을 찾는 경우가 있다.
망상장애 치료는 정신분열보다 치료도 어렵고 사람마다 원인이 다르기 때문에 전문가의 진단 및 치료가 반드시 필요하다.

국립법무병원(옛 공주치료감호소) 최상섭 병원장은 “항정신병약물은 망상과 불안을 경감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는 있으나 핵심적인 망상을 완전히 떨쳐내지는 못한다”며 “약물치료, 부부상담치료, 가족상담치료, 인지치료, 행동치료 등을 복합적으로 하는 게 효과적이다”고 강조했다.
입원이 필요한 경우는 환자가 자살이나 타살과 같은 망상과 관련해 난폭한 행동을 하며 충동조절을 할 수 있는 능력이 부족하다고 판단될 때다.

또한 환자의 행동이 환자의 가족에게 고통과 괴로움을 주면서 관계가 악화되고 사회생활을 안정적으로 영위해 나갈 수 없다면 입원을 하는 게 도움이 된다.
계요병원 정신과 박주언 과장은 “항정신병약의 가장 좋은 효과는 환자와 대화를 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망상이 약해져 부드럽게 얘기할 수 있고 상대방에 대한 의심이 줄면 환자의 상태 또한 호전되는 양상을 보인다”고 말했다.

이어 박 과장은 “흔하지는 않지만 의부증과 의처증이 서로에게 있는 경우 상태의 중증도의 차이보다는 적극적으로 치료를 받으려는 의지가 있는 쪽이 먼저 치료를 받음으로써 소통의 통로를 만드는 게 중요하다”며 “배우자를 비롯한 가족 일원은 깊은 이해심을 갖고 소통을 이뤄내는 게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