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형선 박사의 토지투자 정복기<14>

2010.06.01 10:20:50 호수 0호

비판기사 제대로 캐면 ‘황금알’

국내 굴지의 대기업에 다니는 전모(47)씨는 요즘 마음이 무겁다. 지난 2009년 하반기 2010년 토지보상금이 40조원을 넘을 것이란 전망과 함께 부동산 폭등이 재현된다는 보도를 접하고 망설이다가 땅을 사들였기 때문이다. 당시 노무현 정부 시절 혁신도시 등의 개발 사업으로 풀린 보상금이 부동산 시장에 유입돼 가격 폭등에 일조한 현상이 재현될 수 있다는 분석까지 나오면서 신뢰를 가지고 투자에 임했다.

전씨가 투자한 돈은 3억원. 나름 머리를 쓴다고 삼각형 투자법에 의거해 1억원씩 도로변 땅과 임야, 전답 등에 나눠 투자를 했다. 보상금 유입으로 땅값이 치솟으면 시세차익을 얻으려는 목적이었다. 그런데 2010년에 들어서면서부터 조짐이 좋지 않았다. 언론에서 일단 땅값이 요동칠 수 있다고 문제를 제기하고 비판기사를 내보냈다. 다른 매체에서는 토지보상금이 최대 변수가 될 전망이라면서도 그 규모는 제한적일 것 같다는 내용을 담았다.

토지시장에서 중요한 변수인 기업수요가 많지 않고 기업도시나 혁신도시와 같은 개발재료가 나올 만큼 다 나온 상황이어서 실제 보상금 유입은 제한적일 것으로 보인다는 설득력 있는 내용도 곁들여졌다. 이 같은 보도가 계속 나오자 전씨의 마음은 불안하기만 하다. 자칫하다가 정부가 나서 규제대책이라도 내놓으면 시세차익은커녕 낭패를 볼 가능성도 배제할 수만은 없는 상황이다. 그렇다고 해서 각종 매체에게 ‘그만 좀 하라’고 탄원을 할 수도 없는 입장이다.

전씨는 성급한 자신을 원망하고 있다. 언론을 맹신한 것도 잘못이지만 언론의 특성을 너무 몰랐던 것을 이제야 인식한 것이다. 사실 언론은 공익적 성격이 강하다. 따라서 땅값이 폭등할 경우에는 비판적인 시각에서 접근할 수밖에 없다. 독자 입장에서 접근하여 가격이 폭등하면 비판을 하는 것은 언론의 기능이다. 때문에 이를 감안하지 않고 기사를 읽는 것은 투자자의 잘못이라고 할 수 있다.

실제 언론의 비판기사가 계속되면서 정부가 움직이고 있다. 정부가 보상비 급증에 따른 부동산가격 폭등 위험이 높다고 판단하고 현금 대신 채권과 대토 보상 비중을 높일 방침을 검토하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정부가 채권과 대토 보상 활성화를 위해 마련한 ‘공익사업을 위한 토지 등의 취득 및 보상에 관한 법률’ 개정안이 국회에 계류 중에 있다.

그런가 하면 정부 일각과 일부 언론에서는 시장 안정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개발 속도 조절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그러자 상승세 바람이 일던 땅값이 주춤거리고 있다. 그도 그럴 것이 정부가 어떤 정책을 내놓는가에 따라 치명적인 타격을 입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가령 전씨의 경우 치명적인 타격을 입는다면 낭패를 볼 것은 뻔하다. 땅값이 떨어지게 되면 투자이익은 고사하고 손해 볼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그러면 사려는 사람은 줄어들게 되고 팔려는 사람들만 늘어나게 되는데 이는 땅값의 폭락을 가져올 수 있다. 자칫하면 ‘던지는 매물’로 팔 수 밖에 없는 상황을 마주할 수 있다. 그렇게 되면 한 번의 실수로 상당한 금액을 날리게 된다. 비판적 기사를 접할 때는 그 속에 담긴 의미를 파악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가장 좋은 방법은 비판적 기사가 집중적으로 나올 경우 투자를 조금 더 미루고 관망하는 것이다.

정부에서 무엇이든 대책이 나올 것을 염두에 두고 그 추이를 지켜보라는 얘기다. 분명 가격폭등에 대한 비판기사는 악재다. 정부의 대책을 요구하기 때문이다. 이럴 경우에는 정부의 대책이 무엇인지 꼼꼼히 살펴보아야 한다. 땅값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여부도 분석해야 한다. 그렇지 않고 이를 무시한 채 투자에 나섰다가는 큰 낭패를 볼 수 있다.

한 가지 더 얘기한다면 기사를 액면 그대로 믿어서는 곤란하다. 간혹 화려한 표제를 달 수 있는 게 기사다. 예컨대 ‘땅값폭등’이란 머리기사가 나오면 이미 투자자들의 움직임이 반영됐다고 보고 땅을 사는 것보다는 가지고 있는 것을 파는 것이 현명하다. 반면 ‘땅값 하락, 투매’란 머리기사가 나오면 땅을 사기 위한 방법을 찾아야 한다.

www.rserom.co.kr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