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 칼럼> ‘인동초’는 졌지만 ‘행동하는 양심’은 살아있다

2009.08.25 09:09:13 호수 0호

2009년 대한민국은 어느 해보다 슬프고 가슴 아픈 한 해가 아닐까 싶다. 한 명도 감당하기 힘든데 불과 몇 달 사이에 두 명의 전직 대통령을 안타깝게 떠나보내야만 했기 때문이다. 지난 5월 고 노무현 전 대통령이 서거한 지 3개월여 만에 김대중 전 대통령이 지병을 이기지 못하고 향년 86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DJ라는 별칭으로 불리며 격동의 대한민국 반세기 정치사에 실로 헤아릴 수 없는 족적을 남긴 김대중 전 대통령. 생전에 그의 일거수일투족은 언제나 뉴스의 중심이었고, 한마디 한마디는 대한민국의 역사 속 어록으로 길이 기록될 것이기에, 이제 다시 볼 수 없고 느낄 수 없음에 국민들은 가슴이 시리고 아프다.

섬에서 빈농의 아들로 태어나 상고를 졸업하고 일국의 최고지도자 자리에 오르기까지 김 전 대통령의 삶은 참으로 고단하고 부침이 심했다. 오죽하면 혹독한 겨울을 견뎌내고 꽃피우는 ‘인동초’에 비유되었을까. 특히 김 전 대통령 생전에 늘 지울 수 없는 꼬리표로 따라다녔던 지역갈등과 색깔 논쟁은 지금에 와서 돌이켜봐도 너무도 억울하고 어처구니없는 보수들의 음해였음이 자명하다.

암울했던 군사정권 시절 ‘40대 기수론’을 들고 영구집권을 획책했던 박정희정권에 대항하다 대통령 낙선은 물론 망명·납치·투옥·가택연금을 당해야만 했고, 전두환 신군부정권 하에서도 어이없는 ‘내란음모죄’로 군사재판에 회부돼 사형선고까지 받았으나 천신만고 끝에 무혐의로 풀려나 또다시 망명생활을 해야만 했다.

이 땅에 진정한 의회민주주의를 정착시키고자 도전했던 국회의원선거에서 세 번의 낙선 끝에 6선 의원을 지냈고, 민족의 인권과 한반도 평화통일을 위해 그렇게도 염원했던 대통령의 꿈 역시 3전4기 만에 이뤄냈으나 IMF(국제통화기금)사태로 초반부터 가시밭길을 걸어야만 했다.

하지만 국민의 처절한 고통분담과 탁월한 위기관리능력을 바탕으로 불과 1년 반 만에 IMF체제를 조기 졸업했음은 물론, 햇볕정책을 통해 꽁꽁 얼어붙었던 ‘동토의 땅’ 북한을 녹여 분단 반세기 만에 남북정상회담을 성공적으로 개최하기도 했던 민족의 지도자 김 전 대통령.


그 결과 그는 국력이 뒷받침되지 않고서는 명함조차 내밀 수 없는 최고 권위의 노벨평화상을 수상하며 일약 세계의 인권민주지도자 반열에 오르는 영예를 누리기도 했다.

이쯤에서 필자와의 개인적인 인연도 조용히 되짚어 볼까 한다. 필자가 노태우정권 시절이던 1989년 처음 기자 생활을 시작했을 무렵, 김 전 대통령은 여소야대 정국에서 평민당 총재로 13대 국회를 이끌고 있었다.

그 전까진 단지 이름 석 자만 알고 있었을 뿐 관심조차 없었던 김 전 대통령과의 직접적인 인연은 특별대담 배석기자로 비롯돼, 나중에 한 번의 직격 인터뷰를 하면서 감히 내면세계에까지 접근할 수 있었다. 20여년 기자 생활 가운데 수많은 정·재계 인사들을 만나 얘기를 나눠봤지만 김 전 대통령만큼 해박한 식견과 투철한 민족관을 가진 이는 일찍이 찾아볼 수도 없었고 기억나지도 않는다.

97년 대선을 앞두고 모 잡지사 편집장으로 재직할 당시엔 김 전 대통령의 색깔론을 부각시킨 이른바 ‘DJ X파일’ 보도와 관련해 발행인과 대립하다 실직자가 되기도 했으며, 이후 타블로이드신문으로 전향해 김 전 대통령이 대통령에 당선되던 날 역사의 현장인 일산자택 좁은 주방에서 새우잠을 자던 기자들에게 고추장과 참기름 넣고 비벼준 비빔밥 맛은 지금도 잊을 수가 없다.

국민의 정부가 출범하던 날 대통령 취임식장은 물론 사상 처음 주간지 기자로서 청와대 대통령 취임 100일 기자회견에 몇몇 주간지 기자들과 함께 참석하기도 했다. 주변의 몇몇 지인들은 ‘이제 DJ가 대통령이 되었으니 자리 하나쯤 주지 않겠느냐’란 농을 건네기도 했으나, 그렇지도 않았을 뿐더러 혹여 그런 제의나 기회가 와도 솔잎을 먹는 송충이가 되겠다던 그 시절.

남북정상회담을 위해 평양을 방문한 김 전 대통령이 순안공항에서 비행기 트랩을 내려올 땐 벅찬 감동에 이내 눈시울이 뜨거워졌고, 노벨평화상을 받을 땐 하염없이 기뻐 열띤 박수갈채를 보냈다. 당신은 기억도 못하는 서푼어치 친분을 지닌 기자로서가 아니라 대한민국의 국민된 입장에서 느낀 당연한 감동과 기쁨이었다.

하지만 이제 국민들은 그런 그를 영원히 떠나보내야만 하는 안타까운 현실에 직면했다.

특별히 어떤 역할을 해서가 아니라 그냥 숨을 쉬고 곁에 있다는 자체만으로도 존재의 가치와 의미가 충분한 그이기에 더욱 가슴이 허하고 머릿속이 하얗게 비는 느낌은 비단 필자의 느낌만은 아니리라. 이제 그는 우리 곁을 떠났지만, 그의 사려 깊은 ‘행동하는 양심’은 국민들 마음에 올곧게 뿌리박고 남았다. “민주주의는 절대 공짜로 얻어지지 않는다”던 그의 ‘행동하는 양심’에 진 빚을 갚기 위해서라도 우리는 그가 못다 이룬 뜻을 받들어 진정한 민주주의와 민족통일을 일궈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