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속 털리는 새마을금고 왜?

2013.08.26 16:28:36 호수 0호

도둑 제집 드나들듯…뻥 뚫린 은행

[일요시사=경제1팀] 서민금융회사에 빨간불이 켜졌다. ‘서민금융 3인방’ 중 하나인 새마을금고가 잇따른 금융사고로 속앓이를 하고 있는 것. 올 들어서 발생한 강도와 횡령 사건만 해도 무려 13건에 달한다. 모두 보안 허술이 빚어낸 예고된 사고였다. 오죽하면 새마을금고가 강도들이 털기 좋은 최적의 조건을 갖췄다는 소리까지 나오고 있다.





새마을금고 보안 시스템에 엄청난 구멍이 뚫려 있음을 보여주는 어처구니없는 일이 잇따라 터졌다. 강북구의 새마을금고 지점 두 곳에서 수 천만원이 감쪽같이 사라진 것이다. 하루새 벌어진 일인데 보안 업체가 출동하고도 도난사실을 몰랐고, 해당 새마을금고는 이틀 뒤까지 도 확인하지 못해 파장이 일고 있다.

보안에 구멍

서울 강북경찰서는 강북구 수유동에 위치한 새마을금고 수유5지점과 2지점의 금고에서 총 7700만원의 현금을 도난당했다는 신고가 접수돼 수사 중이라고 지난 20일 밝혔다.

경찰에 따르면, 지난 17일 오전 10시 11분께 5지점에서 3900만원이 도난당하고 나서 40여분 후 불과 700m 떨어진 2지점에서도 3800만원이 털렸다. 경찰은 모자와 우산을 쓴 남성 한 명이 5지점에서 현금을 갖고 나가는 모습이 담긴 폐쇄회로(CCTV) 화면을 확보해 수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2지점에서는 CCTV가 확보되지 않았지만 경찰은 수법 등을 볼 때 동일범으로 추정하고 있다. 도난 사건이 발생한 17일은 주말이어서 직원들은 출근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당시 도난 경보가 울려 보안업체 직원이 출동했지만 출입문이 정상적으로 닫혀 있는 등 별다른 문제점을 발견하지 못해 철수했다. 이틀 뒤인 월요일 직원들이 출근해 금고를 확인해보니 돈이 없어져 경찰에 신고했다.

경찰은 “출입문이 파손되지 않은 것으로 보아 범인이 만능키 등으로 문을 연 것으로 추정된다”며 “전문털이범이나 내부자 소행일 가능성도 수사하고 있다”고 밝혔다.

문제는 새마을금고에서 터진 사고가 처음이 아니라는 점이다. ‘3대 서민금융회사’라는 명성과 다르게 전국 새마을금고 지점 곳곳에서 도난, 강도, 횡령 등의 사건이 끊이지 않고 있다. 올해만 살펴보더라도 여직원 횡령사건을 시작으로 서울, 경기도, 대구, 대전 등에서 13건의 강도와 횡령 사고가 일어났다.

올 들어서만 13건…잇단 강도·횡령사고
청원경찰 없이 남녀 직원 2∼3명만 근무

지난 1월 대구 동구의 한 새마을금고에서 한 여직원이 단골 고객의 도장을 이용해 3년간 16억원의 빼돌리다 적발돼 경찰에 구속됐다. 3월에는 대구 달서구에서 고객돈을 횡령한 새마을금고 여직원과 이를 빌미로 돈을 뜯은 검사팀 직원이 검거돼 충격을 안겨줬다.

해당 여직원은 고객 예탁금을 담보로 13억7000여만원을 대출받아 가로챘고, 검사팀 직원은 이를 알고도 묵인해 주는 대가로 여직원에게 총 33회에 걸쳐 3억400만원을 받아 챙긴 혐의를 받았다.

특히, 4월에는 일주일 사이에 수도권의 새마을금고 두 곳에 강도가 들었다. 성남시 수정구의 한 새마을금고에서는 복면을 한 강도가 침입해 현금 1700여만원을 가방에 담아 달아나다 대걸레를 들고 ?아오는 시민에게 붙잡혔고, 4일 뒤 안산시 상록구의 한 새마을금고에 신원을 알 수 없는 남성 1명이 고객을 가장해 들어와 직원을 흉기로 위협한 뒤 현금 1000만원을 빼앗아 달아났다.

당시 이 남성은 금고 안에 있던 직원을 흉기로 위협, 준비한 비닐봉지에 1만원권 1000장을 담도록 했다. 다행히 고객은 없었고 남자 2명, 여자 1명의 직원이 있었지만 이 남성을 막지는 못했다.

3주 뒤 울산 남구의 한 새마을금고에서도 대낮에 강도가 침입해 현금 600만원을 빼앗아 달아났고, 8월 초 대구 동구의 한 지점에서도 강도에게 5600여만원이 털리는 등 이후에도 전국 새마을금고 곳곳에서 유사한 사건이 잇따라 발생했다. 이들은 대부분 새마을금고가 비교적 인적이 드물고 직원수가 적다는 것을 알게 된 뒤 범행대상으로 삼은 것으로 드러났다.

업계 관계자들 역시 타 금융사들에 비해 새마을금고에 강도 사건이 빈번한 이유로 허술한 보안 문제를 꼽는다. 상당수의 새마을금고 지점에서 청원경찰을 채용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현행법에 따르면 경비인력 배치는 의무가 아닌 선택 사항이다. 그렇다보니 현재 새마을금고 전체 1409개 지점 중 절반 이상이 청원경찰 없이 남녀직원 2∼3명만이 업무를 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때문에 업계 일각에서는 새마을금고가 외형 확대에만 신경을 쓸 뿐 내부 보안 등에 대해선 그 중요성을 간과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업계관계자는 “현재 새마을금고는 다양한 금융 분야 진출을 통해 수익율을 높이고 있다”며 “하지만 수익율만 높이기에 급급할 뿐 정작 중요한 소비자들의 안전은 등한시 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실제 최근 새마을금고는 MG손해보험(그린손보), MG신용정보(옛 한신평신용정보) 등 적극적인 M&A를 통해 세력을 확장해나가고 있다.

외형 확대만?

하지만 이 같은 외형 성장에도 불구하고 내부 리스크와 보안 측면에서는 제자리걸음이다. 망분리 사업과 같은 정보보안기반 환경 고도화 등에 나서고는 있지만 시스템 보안 강화일 뿐 정작 소비자들과 대면하고 있는 지점의 안전은 사실상 등한시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강도들의 표적이 된 새마을금고. ‘새마을’이 아닌 ‘헌마을’이라는 오명을 떨칠지 향후 행보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김설아 기자 <sasa7088@ilyosisa.co.kr>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