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연재> 선감도 (62)염전과 영농장 경계에서

  • 김영권 작가
2025.07.28 04:00:00 호수 1542호

“정치가 자기들만의 장난은 아니어야지.” 김영권의 <선감도>를 꿰뚫는 말이다. 박정희 군사정권 시절 청춘을 빼앗긴 한 노인을 다뤘다. 군사정권에서 사회의 독초와 잡초를 뽑아낸다는 명분으로 강제로 한 노역에 관한 이야기다. 작가는 청춘을 뺏겨 늙지 못하는 ‘청춘노인’의 모습을 그려냈다.



마지막으로 몇 떨기 남아 봄 얘기를 속삭이던 복사꽃이 흙바람에 떨어져 휘날리던 날 오후, 방파제에서 좀 떨어진 바다에서 흰 옷에 치렁치렁한 머리카락을 늘어뜨린 여인이 히히 웃으며 헤엄쳐 가다가 발견되었다는 소식이 들려왔다.

그 머리 위에서 노란 나비 한 마리가 날아다녔다고 말하는 사람도 있었다.

무언의 협박

그때부터 똥파리는 용운에게 지급된 빵뿐 아니라 밥도 기회를 보아 야금야금 훌쳐 갔다.

찢어 버린다던 쪽지도 어디 감춰두었던지 용운이 좀 불만을 드러내면 슬그머니 꺼내 빚 문서처럼 보여 주며 빙글 웃으면서 무언의 협박을 하곤 했다.


무슨 빚쟁이한테 물린 것도 아니고, 전생에 악연이라도 있는 거머리같이 애를 먹이는 바람에 용운은 반쯤 미쳐 버리고 싶을 정도로 징글징글했다.

용운의 키는 자연의 섭리에 의해 조금씩 크고 있었지만 몸은 비쩍 말라 볼품없었다. 그 대신 남의 음식을 뺏아서 양껏 처먹은 똥파리는 점점 살이 올라 통통한 모습이었다. 그뿐이라면 참을 만했다.

똥파리는 어깨를 주물러 달라거나 손톱 발톱을 깎아 달라는 둥 시도 때도 없이 요구했다. 용운은 더 이상 견딜 수가 없어 무슨 수라도 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그런 어느 날. 작업 담당 구역에 도착한 원생들은 곧 임무를 할당받았다. 용운은 보릿단 운반조였다. 낫질 조가 보리를 베어 놓고 가면 그것을 다발로 묶어 건너편의 빈 논으로 옮겨다 세우는 일이었다.

한동안 보릿단과 씨름을 하다 보니 옷 속으로 꺼끄러기가 들어가 몸이 말할 수 없이 따갑고 근질거렸다. 새참 때가 되자 언제나처럼 밀빵을 한 개씩 나눠 주었다. 그걸 받아들고 풀 위를 골라 앉았다.

먼발치로 드넓은 염전의 구획선이 모형판처럼 선명하게 바라보였다. 수용소에서 고용한 부락민들과 차출된 열댓 명의 원생들이 뒤섞여 한창 고무래로 소금을 긁어 모으는 중이었다.

저수지를 통해 유입시킨 바닷물이 ‘난치’라 불리는 몇 단계의 증발지를 거치면서 농축되고, 그것이 마지막 결정지에 모여 태양열과 건조한 바람을 받고 순백색의 소금으로 탄생하는 것이었다.

동서양을 막론하고 예로부터 국가는 소금의 공급을 독점하고 소금에 대해 높은 세금을 매겼다. 소금은 아주 귀한 물건이었으므로 권력과 부의 상징이 되기도 했다.

수천 년 동안 우리나라의 소금은 바닷물을 불로 끓여 만드는 자염이었다.

이에 비해 천일염은 염전에서 바닷물을 햇볕에 말려 생산하므로 쉬운 편이었다.


일본은 천일염을 대규모로 생산할 만한 지리적 조건이 없었으므로 조선을 점령하자 서해안 지역을 점찍었다.

천일염은 음식의 간을 맞출 뿐만 아니라 펄프 제조, 석유 정제 등 군수산업에도 필요했다.

일본은 1907년 인천 주안에 최초의 천일염전을 만든 이후 경기도와 전라도, 평안도 등지에 대규모 염전을 조성했다. 천일염이 대량으로 생산 판매되면서 전통적인 조선의 자염은 점차 사라지고 말았다.

염전과 영농장 경계쯤에서 쉬고 있는데 똥파리가 실실 웃으며 다가왔다. 용운은 입맛을 다시며 빵을 내밀었다.

살쪄가는 똥파리
밥 대신 다른 부탁

그런데 웬일인지 똥파리는 고개를 흔들었다.

“그건 네가 먹어. 난 이미 굶진 않으니까 걱정을 말고 말여. 그 대신 다른 부탁을 좀 들어 주면 좋겠어.”

“뭔데?”

똥파리는 은밀한 미소를 지었다.


“있잖아, 넌 몸이 야들야들해서 여자 같은 느낌이 들어. 그래서 얘긴데…….”

“뭐?”

“놀라긴 뭘 놀라. 절름발이 여자를 백곰이랑 둘이서 같이 하나는 짝사랑하고 하나는 풋사랑했던 모양인데, 이젠 죽어 버렸으니 아무 소용없잖아. 그러니 그 정을 그냥 나에게로 돌리지 그래, 응?”

똥파리는 유들유들 웃으며 지껄였다.

“뭐라구?”

용운은 부르르 떨더니 저도 모르는 새 벌떡 일어나 똥파리에게 주먹을 날렸다. 똥파리의 코에서 불그죽죽한 피가 뚝뚝 떨어졌다.

“이 개새끼가!”

피를 본 똥파리는 상을 일그러뜨리더니 괴성을 지르며 용운에게 달려들었다. 용운은 슬쩍 피하면서 그의 팔을 잡아 엎어치기로 메어꽂았다.

그러곤 쓰러진 똥파리 놈 위에 걸터앉아 양 뺨을 이리저리 갈겼다.

“이 개새끼 차라리 죽어!”

원생들이 하나 둘 와 둘러서서 구경을 했다. 편 가르기 좋아하는 치들은 벌써 응원을 시작했다.

“영농반 이겨라!”

“염전반 이겨라! 어서 힘내!”

똥파리는 볼때기가 시뻘게진 채 발버둥을 치다가 일순 용운의 손을 나꿔채 아귀처럼 깨물었다. 용운은 아픈 줄도 모른 채 씩씩거리며 한쪽 손으로 놈의 목을 꽉 눌렀다.

그때 왕거미가 성큼성큼 걸어오더니 용운의 뒤통수부터 냅다 후려쳤다.

“이 쌍놈들이 비싼 밥 처먹고 무슨 개쌈질이야! 즉시 떨어져서 꿇어앉아!”

사장은 둘의 귀싸대기를 한 차례씩 오달지게 올려붙이고 나서 재우쳐 물었다.

“무슨 일이야?”

똥파리가 코피를 훔치며 능청맞게 주워섬겼다.

“이 자식이 탈출 음모를 꾸미고 있기에 그러지 말라고 좋게 충고를 했더니 냅다 폭행을 했습니다.”

“뭐라구? 너 이 개새끼, 정말이야?”

탈출 음모

“저, 그게 아닙니다. 저는 이제 탈출이라는 말만 들어도 치가 떨립니다.”

“거짓말이에요! 제게 증거가 있는걸요.”

“뭐야? 두 놈 다 당장 따라와. 야, 스라소니, 끌고 와!”

사장은 씹어뱉듯 명령한 뒤 본부 건물 쪽으로 걸음을 옮겼다. 용운은 음흉스레 빙긋 웃음을 날리는 똥파리를 암담한 눈으로 바라보았다.


<다음 호에 계속됩니다.>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