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연재> 대통령의 뒷모습 ㉚불구자 향한 동병상련 감정

  • 김영권 작가
2023.04.26 08:56:50 호수 1424호

김영권의 <대통령의 뒷모습>은 실화 기반의 시사 에세이다. 박근혜 전 대통령의 재임 시절을 다뤘다. 서울 해방촌 무지개 하숙집에 사는 이들의 이야기를 듣고 있노라면 당시의 기억이 생생히 떠오른다. 작가는 무명작가·사이비 교주·모창가수·탈북민 등 우리 사회 낯선 일원의 입을 통해 과거 정권을 비판하고, 그 안에 현 정권의 모습까지 투영한다.



피에로씨는 꼽추 하씨에게 넉살 좋게 접근해 성공학과 통일대박론을 설파해서 성공통일교의 신도로 포섭해 보려 애썼으나 별 효과가 없자 무시해 버렸다. 

그저 하나의 괴물 인간, 자신보다 훨씬 더 불구인 존재, 육체뿐만 아니라 마음마저 변질된 불구자로 판단한 모양이었다.

아마 처음엔 좀 도와주려는 일종의 동정심이 발동했던 듯싶은데, 뜻대로 되지 않자 자기 자신의 무의식적인 불구 열등감까지 덤터기로 더해서 경원시하고 비웃는 것 같았다.

어린 철학자

나로서는 드러내 놓고 호기심을 보이진 않았지만 꾸준히 관심을 지니고 있었다. 인간의 육신과 정신은 어떤 관계인지, 무슨 상호작용을 하는지 늘 궁금증을 가진 채 살았다고 할까.


난 어릴 때 서혜부 탈장 증세가 있어 힘을 좀 주면 한쪽 붕알이 커지곤 했다. 불편하기도 했으나 동무 녀석들이 놀려대는 통에 더 괴로웠었다.

작은 점 하나 갖고도 사람을 병신으로 만들어 버리는 게 순진한 어린애들이지만, 특히 미지의 성과 관련된 부위라서 더 극성스러웠고 나 자신도 실제보다 더 과장되게 받아들여 수치심에 젖었던 듯싶다.

덕분에 어린 철학자가 돼 홀로 인생과 인간에 대해 이모저모 생각해 보았었다. 

‘사람은 천사보다 악마에 더 가까운 게 아닐까? 아! 과연 몸의 작은 부분 때문에 마음이 이토록 서글퍼져야만 하는가?’ 

사춘기에 접어들 무렵엔 고민과 자괴감이 한층 심해져 어둡고 폐쇄적인 성격으로 변했던 것 같다. 어느 방학 때 엄마를 졸라 결국 수술을 받아 ‘정상인’이 되긴 했지만, 그리하여 마치 삶을 다시 얻은 듯 기뻤지만…

내 마음속 한 귀퉁이엔 아직도 그때의 슬픈 기억이 잠재돼 있는 것 같고, 아마 그런 까닭에 꼽추 아저씨뿐만 아니라 불구자를 보면 동병상련의 감정을 느끼는지 몰랐다.

어느 토요일 저녁녘, 방을 나와 기지개를 켜며 식당으로 내려가려는데 꼽추씨가 계단을 오르다가 잠시 멈춰 섰다. 나를 가만히 바라보더니 입을 열었다.

“식사하러 가세요?” 

“아, 네…. 이제 오세요?”

“혹시 맥주 한잔 어떠세요, 안줏감도 좀 사왔는데….” 


“아 네, 좋지요.” 

난 선뜻 응낙했다. 그리고 그의 뒤를 따라 3층으로 향한 계단을 올랐다. 

사실 그의 제안은 꽤 의외였다. 무슨 변덕인가, 혹은 어떤 필요 때문일까? 나로서는 짐작하기가 어려웠다. 그래서 그냥 간단히 생각기로 했다. 술친구로서의 역할이랄까. 그게 마음 편했다. 

토요일이나 일요일 등 공휴일엔 하숙생들이 하숙집 식당에서 밥을 잘 먹지 않는다. 특히 점심과 저녁이 그렇다.

식당이 문을 닫는 경우라도 밥을 안 주는 건 아니건만 회피하는 경향을 보인다. 늙은이보다 젊은이들이 더….

인간의 육신과 정신 상호작용
꼽추 하씨 방에서 맥주 한잔

평일 아닌 휴일에 젊은 사람이 데이트하러 나가지도 않고 하숙에서 어정대다가 한 끼니를 얻어 먹는 게 겸연쩍은지 모른다. 사실은 그럴 필요도 없으련만…. 

한국 사회가 만들어 놓은 진풍경이라면 어폐가 있을까? 그래서 그런지 어쩐지 휴일엔 꼭 어떤 외식 약속이 없더라도 혼자 밖에서 먹고 들어오든가, 혹은 음식을 사서 자기 방에 앉아 조용히 해결하는 경우가 많았다.

물론 그렇잖은 사람도 있다. 평일이든 휴일이든 아무 부끄럼 없이 자기 형편에 따라 찾아 먹기도 하고 며칠씩 코빼기도 안 보이는 사람은 조금쯤 우대를 받기도 했다. 


꼽추 아저씨는 이쪽도 저쪽도 아니었다. 일찍 출근해 늦게 퇴근했기 때문에 간혹 밤중이라도 아주머니가 보면 밥상을 차려 주었다. 너무 배가 고픈데 그런 사실도 모른 채 들어왔을 경우…. 

이번엔 어떤 경우일까? 계단을 올라가며 나는 그냥 떠오르는 대로 생각해 보았다. 때론 토요일엔 호젓이 한잔 하고 싶을 때도 있지.

밖에서 친구나 연인과 함께 지내면 물론 좋겠지만 그런 형편이 아니라면 하숙방에서 홀로 고독을 음미하는 맛도 괜찮아. 특이한 추억의 향연이 될 수도 있고. 식당 밥을 꾸역꾸역 삼키는 것보다….

그런데 왜 나를 초대하는 걸까? 심심풀이 술 상대가 되고 싶진 않은데 말야. 음, 적어도 그런 것 같진 않군. 아무튼 10분쯤 후면 알게 되겠지. 

3층 복도 한구석은 이미 저녁 어스름이 스며들어 어둑했다. 고지대라 그런지 창문으로 서쪽 하늘을 물들이다가 차츰 스러져 가는 노을이 아름답고 애잔스레 보였다.

아아, 조선 말기와 일제 식민지 시대 그리고 해방 후 가난한 마을을 이루고 산 사람들도 아마 저 노을을 바라보았으리라. 저마다 무슨 생각을 했을는지…. 

꼽추 사내가 문을 열었다. 그리고 안으로 들어서며 전등을 켰다. 방은 상상했던 만큼 그닥 넓지 않았다. 공간적으로는 내가 쓰는 합숙방에 비해 퍽 좁은 편이었지만 조용히 홀로 지낼 수 있다는 게 부러웠다.

나에겐 하나의 습관이 있다. 일단 남의 방에 들어가면 나 자신의 주관을 버리고 가능하면 객관적으로 바라보는 것이다.

내가 뭐 대단히 이지적이라서 그런 게 아니라, 오래도록 누추한 자취방 혹은 하숙에서 살아오다 보니 방과 나(또는 방과 타인)를 동일시하기가 싫었다고나 할까.

‘방은 그 사람이다’라는 속담을 가능하면 거부하고 싶었다. 물론 맞는 점도 있지만 부적절한 면도 많은 것 같았다. 표피적으로만 그럴 뿐 내면의 실상은 정반대가 아닐까 싶기도 하다.

혹은 속담 자체가 진실을 담지 못한 채 시대착오적인 객담을 내세워 사람 마음을 우롱했달까. 미래엔 어떨지 모르되 현재도 그렇고 과거에도 그랬던 것 같다. 

사상누각

방이 인간의 삶 또는 초상을 대변한다는 이상 아마 방에도 진실이 있을 터이다. 즉, 방은 내밀한 공간이기도 하면서 남에게 보이기 위한 일종의 전시장인 셈이다.

다른 나라는 모르겠지만 한국에서 방은 암묵적으로 다른 사람의 평가를 받기 위한 사상누각이 아닐까?

서구 유럽 사람들의 눈엔 지옥으로 보일 수 있을 텐데, 한국인들은 시멘트 성냥곽 혹은 관 같은 아파트에서 방을 자신의 궁전이라 여기며 허장성세로 꾸며댄다.

자기 집을 한 채 가졌다고 자랑스레 떠벌이고 치장하는데 과연 그게 집다운 집인지 의심스럽다. 아마 본인도 그렇게 생각할 것이다. 


<다음호에 이어집니다>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