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속기획> '일감 몰빵' 기업 내부거래 실태 (68)세왕금속공업-주류업체

2012.09.12 13:41:00 호수 0호

술뚜껑 따보니…'주거니 받거니'

[일요시사=김성수 기자] 기업의 자회사 퍼주기. 오너일가가 소유한 회사에 일감을 몰아주는 '반칙'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시민단체들이 귀에 딱지가 앉도록 지적해 왔지만 변칙적인 '오너 곳간 채우기'는 멈추지 않고 있다. 보다 못한 정부가 드디어 칼을 빼 들었다. 내부거래를 통한 '일감 몰아주기'관행을 손 볼 태세다. 어디 어디가 문제일까. <일요시사>는 연속 기획으로 정부의 타깃이 될 만한 '얌체사'들을 짚어봤다.

'병뚜껑'만 전문적으로 만드는 세왕금속공업은 개인회사가 아니다. 주류업체들이 손잡고 투자한 일종의 합작사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때문에 세왕금속공업은 계열사가 없지만, 지분을 소유한 투자사들과 적지 않은 물량을 거래해 내부거래 비중이 높다.



공룡 지원군 포진

국세청은 주세 탈세를 막기 위해 주류업체가 의무적으로 납세병마개 제조업체로부터 병마개를 공급받아 사용토록 하고 있다. 국세청이 지정해 국내 병마개 시장을 독식하고 있는 두 업체 중 한 곳이 바로 세왕금속공업이다.

1985년 설립된 세왕금속공업은 소주, 맥주 등 주류 및 청량음료 병마개를 제조해 판매한다. 본사는 서울 여의도에, 경북 영천에 공장을 두고 있다. 주요 경영진은 국세청 고위간부 출신들로 이뤄져있다.

문제는 세왕금속공업의 자생력이다. 관계사들이 '힘'을 실어주지 않으면 사실상 지속이 불가능한 형편. 금융감독원 전자공시 분석 결과 80% 이상의 매출을 내부거래로 채우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를 통해 매년 300억원대 고정 매출을 올리고 있다.

세왕금속공업은 지난해 매출 376억원 가운데 328억원(87%)을 관계사와의 거래로 올렸다. 세왕금속공업에 일거리를 준 곳은 하이트진로(108억원)와 롯데주류BG(80억원), 무학(53억원), 금복주(34억원), 보해양조(21억원), 대선주조(18억원), 충북소주(5억원), 보배(4억원), 국순당(4억원), 경주법주(1억원) 등이다.


하이트진로(113억원), 롯데주류BG(60억원), 무학(35억원), 금복주(27억원), 대선주조(22억원), 보해양조(16억원), 보배(3억원), 경주법주(1억원) 등 관계사들은 2010년에도 세왕금속공업의 총매출 336억원 중 277억원(82%)에 달하는 '일감'을 퍼줬다.

세왕금속공업의 관계사 의존도는 완만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세왕금속공업이 관계사들과 거래한 매출 비중은 2001년 66%(총매출 281억원-내부거래 185억원), 2002년 69%(278억원-191억원)였다.

이후 2003년 75%(262억원-196억원)로 오르더니 ▲2004년 76%(297억원-226억원) ▲2005년 72%(305억원-220억원) ▲2006년 73%(350억원-255억원) ▲2007년 75%(364억원-273억원) ▲2008년 74%(391억원-288억원) ▲2009년 76%(401억원-305억원) 등 줄곧 70%대를 유지했다. 그리고 2010년 82%에 이어 지난해 87%까지 치솟았다.

세왕금속공업은 관계사들을 등에 업고 거둔 안정된 매출을 기반으로 꾸준히 몸집을 불려왔다. 2000년대 들어 적자 없이 매년 10억∼30억원의 영업이익과 순이익을 기록했다. 총자산과 총자본은 2001년 310억원, 250억원에서 지난해 392억원, 349억원으로 늘었다.

지분 소유한 투자 주류사에 병마개 납품
매년 300억대 거래…매출 80% 이상 충당

세왕금속공업은 이를 토대로 매년 주주들에게 배당금을 지급하고 있다. 지난해 주당 2000원씩 총 7억5600만원을 배당했다. 배당성향이 62%에 이르는 고배당이었다. 2010년에도 7억5600만원(배당성향 65%)이 주주들에게 돌아갔다. 세왕금속공업은 앞서 ▲2001년 6억4260만원 ▲2002년 6억8040만원 ▲2003년 6억4260만원 ▲2004∼2007년 각각 7억1820만원 ▲2008년 6억8040만원 ▲2009년 11억3400만원을 배당한 바 있다.

두둑한 배당금을 챙긴 세왕금속공업의 주요주주들은 주거래처인 관계사들이다. 세왕금속공업에게서 병뚜껑을 납품받고 있는 주류업체들이 다시 세왕금속공업에서 해마다 수천만원에서 많게는 수억원씩 챙기고 있는 것이다. 이는 세왕금속공업 내부거래가 도마에 오를 수밖에 없는 이유이기도 하다.

금감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세왕금속공업은 지난해 말 현재 하이트홀딩스가 24.85%(9만3920주)의 지분을 소유한 최대주주다. 이어 무학(13.15%·4만9715주), 보해양조(12.91%·4만8810주), 금복주(12.63%·4만7729주), 국순당(11.68%·4만4137주) 등이 주요주주로 있다. 진로와 롯데주류BG, 호남식품, 대선주조, 하이트주조 등도 지분을 소유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렇다면 세왕금속공업과 국내 병마개 시장을 양분하고 있는 삼화왕관은 어떨까.

삼화왕관은 유리병 제조업체인 금비가 최대주주(50.02%·107만7572주)다. 주류업체는 주주명부에 없다.


1965년 설립된 삼화왕관은 1994년 두산그룹 계열사로 편입됐다가 2010년 금비가 인수했다. 금비 오너인 고병헌 회장은 장진호 전 진로그룹 전 회장과 인척사이로, 고 회장의 부인이 장 전 회장의 사촌누나다.

그래서인지 매출이 세왕금속공업의 2배에 달하지만 내부거래는 이뤄지지 않고 있다. 삼화왕관은 2010년과 지난해 내부거래액이 '0원'이었다. 당시 매출은 각각 828억원, 913억원을 기록했었다.

매년 배당도 챙겨

인수 전인 2009년엔 매출 782억원에서 ㈜두산 등 두산그룹 계열사들과 거래한 금액이 11억원(1%)에 불과했다. 730억원, 783억원의 매출을 올린 2007년과 2008년의 경우 내부거래액이 각각 28억원(4%), 27억원(3%)이었다. 세왕금속공업과 비교하면 미미한 수준인 셈이다.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