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 내린 박삼구 전 금호아시아나 회장 파란만장 경영사

2021.08.04 13:50:54 호수 1325호

19년 희로애락 씁쓸한 마무리

[일요시사 취재1팀] 김태일 기자 = 박삼구 전 금호아시아나 회장의 끝은 초라했다. 금호아시아나그룹 역사상 최초로 구속 수감된 회장이라는 불명예를 안았다. 박 전 회장이 형들의 뒤를 이어 회장에 취임한 것은 2002년. 박 전 회장은 어떤 일들을 겪었을까. 박 전 회장의 19년을 되짚어본다.  



지난 5월10일 서울중앙지검 공정거래조사부는 독점규제법 위반 및 배임 등의 혐의로 박삼구 전 금호아시아나그룹 회장에게 구속영장을 청구했다. 같은 달 13일에는 계열사 부당지원 등의 혐의로 구속영장이 발부됐다. 박 전 회장은 금호아시아나그룹 역사상 최초로 구속 수감된 회장이라는 불명예를 안게 됐다.

나락으로

박 전 회장은 1945년 3월19일 전라남도 광주에서 출생했다. 금호그룹 창업주인 아버지 박인천 전 회장과 어머니 이순정씨 사이의 7남매(4남3녀) 중 다섯 째이자 3남이다. 1964년 광주일고를 졸업하고 1968년 연세대학교 경제학과 학사를 졸업했다.

20대의 이른 나이에 금호타이어에서 근무를 시작해 금호그룹 전무이사, 부사장을 거쳐 1980년 (만 35세) 금호실업 대표이사 사장이 됐다. 1991년 아시아나항공 사장, 2001년 아시아나항공 대표이사 부회장을 맡은 후 2002년 둘째 형인 박정구 회장이 폐암으로 사망하자 금호아시아나그룹 회장직에 취임했다. 

2009년 금호아시아나그룹이 워크아웃에 빠지며 회장에서 물러났다가 2010년 11월1일 전문경영인 신분으로 논란 속에 회장직으로 복귀했다. 그러나 2019년 3월28일 다시 회장직을 사퇴했다.


업계 내에서 박 전 회장의 평판은 그리 좋지 않다. 아버지와 형들이 일궈놓은 잘나가던 금호아시아나를 위기로 몰아넣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특히 그의 회장직 취임 후 그룹은 공격적 M&A의 여파로 자금난을 겪었고 해가 갈수록 위기는 더욱 심각해졌다. 

한때 M&A를 통해 7위까지 올린 재계 서열도 25위로 하락했다. M&A의 부작용으로 인한 동생 박찬구 금호석유화학 회장과의 경영권 다툼이 시작됐다. 금호석유화학을 포함한 석유화학 부문 자회사들의 계열 분리, 급기야 2019년 결국 그룹 매출의 70%를 담당하는 핵심 계열사인 아시아나항공 및 그 자회사를 매각했다.

아시나아항공은 HDC그룹이 인수하기로 했지만 이듬해 전 세계적으로 발생한 코로나19로 인해 인수가 최종 무산됐고 산업은행의 주도하에 대한항공에 매각하는 것으로 결론이 났다. 인수합병이 완료되면 금호그룹은 재계순위 60위권 밖의 중견기업으로 추락하게 됨과 더불어 사명도 변경될 예정이다. 

금호그룹은 캐시카우인 생명보험과 타이어, 항공사, 석유화학, 부동산 자산과 국내 최대의 고속버스 시장 점유율을 갖춘 금호고속까지 자산과 현금이 풍부한 구성을 갖추고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아버지 박인천, 첫째 형 박성용, 둘째 형 박정구 전 회장은 금호아시아나그룹을 재계서열 10위권 내로 진입시켰다.

내부 부당거래 혐의 구속 불명예
취임부터 걸어온 자갈밭의 연속

박 전 회장은 창업주 박인천 전 회장의 작고 이후 그룹의 전통이었던 형제 경영도 깨뜨렸다. 다른 대기업과는 달리 금호아시아나그룹의 2세 형제들은 65세가 되면 다음 동생에게 회장직을 물려주기로 했었는데, 원칙대로라면 박 전 회장의 나이 65세인 2010년에 동생 박찬구 회장에게 경영을 승계했어야 했다. 

하지만 아들 박세창 사장에게 경영권을 넘겨주려 했고 2006년 대우건설, 2008년 대한통운 인수 과정에서 무리한 인수를 강력히 만류하는 박찬구 회장과 틀어지게 됐다.

결국 박찬구 회장은 금호아시아나그룹에서 석유화학 부문을 계열분리해 완전히 독립했다. 그 과정에서 치열한 법적 공방을 벌이기도 했다. 이른바 7년이나 진행 됐던 형제의 난이다. 

두 형제간의 경영 스타일도 극과 극으로 다른데 박 전 회장은 외형 확장을 중시했고 박찬구 회장은 보수적이고 내실을 중시했다. 2016년 형제의 난은 종결됐고 표면상 화해는 했지만 남보다도 못한 앙숙 관계가 돼버렸다.

업계 내에선 대한통운 인수건은 그나마 긍정적으로 평가된다. 당시 대한통운은 현금흐름이 상당히 좋은 우량기업이였고 육상·항만 물류 기업을 갖추고 있었다. 주력 계열사인 아시아나항공을 합쳐 종합 물류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했다.


하지만 대한통운을 인수하기에 앞서 이뤄진 대우건설 인수가 발목을 잡았다. 인수자금에만 6조6000억원, 여기에 대한통운까지 포함하면 총 10조원이 넘는 금액이 계열사 동원·교환사채·인수금융 등을 통해 투입됐다. 그룹 내부에서도 막대한 자금을 소모하는 무리한 기업 규모 확장에 대한 우려가 상당했다. 

무리한 차입의 결과 2008년 대침체가 터지자 그룹 전체가 유동성 위기를 맞게 됐다. 그룹의 모태 기업인 금호고속, 지주회사 격인 금호산업, 주요 계열사인 금호타이어, 금호생명이 주채권은행인 한국산업은행으로 넘어갔다.

금호고속과 금호산업의 경영권은 되찾았으나 금호렌터카는 KT에, 금호타이어는 중국의 더블스타에 매각됐고 금호생명은 1조원 가까운 공적자금이 투입된 후 지금까지 산업은행의 애물단지로 남아 있다.

박 전 회장은 경영권을 되찾는 과정에서도 여러 문제를 일으켰다. 그룹 재건을 목적으로 금호기업이라는 회사를 만들어 부동산 가치만 1조원가량이 되는 금호터미널을 아시아나항공으로부터 2700억원이라는 헐값에 인수했다.

이후 금호기업과 금호터미널을 합병시킨다. 

설상가상으로 2018년 7월에 아시아나항공 기내식 공급부족 사태까지 터졌다. 박 전 회장이 금호타이어의 경영권을 되찾기 위한 자금을 투자받을 목적으로 무리해서 기내식 업체를 교체했기 때문이다.

당시 수많은 승객, 승무원, 하청업체 직원들까지 고통을 겪었고 하청업체 사장이 스스로 목숨을 끊기도 했다. 

박 전 회장의 경영권 회복에 동원된 아시아나항공의 부채비율은 무려 715%에 달한다. IFRS 국제회계기준을 적용하면 1153.3%나 된다. 항공업의 특성상 항공기 구입 비용을 모두 지불하기 어려워 리스로 항공기를 운영하는 경우가 많다.

이 때문에 일반적으로 부채비율이 높은 건 사실이지만 업계 내에서도 상당히 심각한 수준이라는 목소리가 나온다.


박 전 회장과 관련한 ‘미투’가 터져나와 논란이 되기도 했다. 당시 피해자들은 매달 여승무원(스튜어디스)들을 방문해 껴안거나 손을 주물렀다고 주장했다.

미투까지

한 아시아나항공 관계자는 “박 회장은 스튜어디스들을 만나면 ‘내가 기 받으러 왔다’는 말을 스스럼없이 했다”면서 “본관 1층에서 여승무원들을 불러놓고 20~30분 동안 껴안은 뒤에는, 20대 초반의 갓 입사한 승무원 교육생들이 머무는 교육훈련동으로 가서 시간을 보낸다”고 폭로했다. 2019년 1월9일, 해당 사건은 무혐의 처분을 받았지만 이미 대대적으로 언론에서 기사화된 이후로 본인과 기업 이미지에 큰 타격을 받았다.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