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트&아트인> 2021년 신축년 ‘띠 그림전: 소’

2021.02.08 09:35:52 호수 1309호

‘뚜벅뚜벅’ 소처럼 나아가자

[일요시사 취재1팀] 장지선 기자 = 이천시립월전미술관이 2021년 신축년, 소의 해를 맞아 첫 기획전으로 ‘띠 그림전: 소’ 전시를 준비했다. 8명의 작가들이 소를 주제로 다양하게 표현한 작품 21점을 소개한다. 코로나19로 힘들었던 지난해를 딛고 소처럼 힘차게 앞으로 나아가길 바라는 마음을 담았다. 
 

▲ 안호균_鬪牛(BullFighting) 91x117Cm, 지본묵채, 2012


소는 농경문화를 대표하는 동물로서 인간과 오랜 역사를 함께해왔다. 우리나라에서 소가 등장한 시기는 기원전 100~200년으로 추정된다. 문헌상으로는 <삼국지 위서 동이전>에 처음 등장한다. <삼국사기>에도 소를 농경에 이용했다는 기록이 있다. 소는 인간에게 노동력뿐만 아니라 뿔과 고기, 우유 등을 아낌없이 제공해왔다.  

인간의 친구

소는 인간과 친근한 동물로 다양한 설화에 등장한다. 소의 온순하고 우직한 성질은 친근함과 성실함으로 표현됐다. 소싸움 등에서 볼 수 있는 강렬하고 역동적인 성질 역시 소의 대표적인 이미지다. 반면 고집스럽고 어리석은 이미지로 그려지기도 한다. 

이번 전시에는 밭갈이를 하는 모습처럼 농경사회에서 그려지는 소의 이미지뿐만 아니라 사람과 교감하는 존재로서의 소, 역동적이면서 힘이 넘치는 소 등 저마다의 다양한 시각으로 소를 해석한 작가들의 작품을 선보인다. 

오태학·김진관·임만혁 작가는 어린아이와 소의 교감을 작품으로 표현했다. 순수한 아이들과 소가 어우러진 모습은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동심의 시간을 떠올리게 한다.


오태학 작가는 아이들이 나팔과 피리를 불며 소 위에 올라탄 모습을 그렸다. 아이들의 순수함과 소의 다양한 표정에서 마치 친구들과 어울려 놀 때의 즐거움이 느껴지는 듯하다.

오 작가는 어릴 적 공출 당한 소가 눈물 흘리던 모습을 기억 속에 간직하고 있다. 그에게 소는 그저 인간이 기르는 가축이 아니라, 추억 안에 살아 숨 쉬는 소중한 친구와 같은 존재라는 점을 작품에 드러냈다. 

인간과 오랜 역사 함께한
아낌없이 내준 고마운 동물

김진관 작가의 작품은 다양한 설화에 등장하는 소의 이미지에서 시작한다. 그는 소가 우직한 성정으로 인간에게 도움을 주는 귀한 존재라는 점에 착안했다. 설화에서 모티브를 얻어 소의 이미지를 재구성해 다채로운 화면 구성을 보여주고 있다. 

임만혁 작가는 작품 ‘소와 가족’을 통해 가족인 네 사람이 흰 소를 타고 같은 곳을 바라보는 장면을 표현했다. 한곳을 바라보는 단란한 가족의 모습에서 앞으로 나아가고자 하는 희망이 느껴진다.

임 작가의 작품에서는 소가 인간과 함께 어울려 있는 장면을 자주 볼 수 있다. 소를 단순한 동물이 아닌 인간과 교감하고 함께 걸어가는 상징적인 존재로 그렸다. 
 

▲ 김대원, 한유閒遊, 130x90cm, 화선지에 수묵담채, 1988

사석원·안호균 작가는 소의 강인한 면모를 부각했다. 소는 아주 강인한 육체를 가진 동물이다. 두 작가는 생동하는 소의 기운을 화폭에 담고자 했다. 

사석원 작가는 화려한 색채를 통해 우화적인 방식으로 황소를 표현했다. 쌓아 올린 물감과 강한 붓칠을 통해 역동성을 강조했다. ‘왕벚꽃동산의 황소’는 피어나는 꽃들 속에 소가 튀어나올 듯한 운동감이 느껴지도록 마티에르를 살린 작품이다.

화려한 채색과 대비되는 ‘황소’는 먹을 강하게 찍어 그린 작품이다. 강한 필묵과 황소의 해학적인 얼굴에서 마치 사람과 같은 표정이 느껴진다. 

안호균 작가의 ‘투우’는 소의 진격 장면을 화면에 담은 작품이다. 근육의 세밀한 표현과 운동감에서 강한 에너지를 느낄 수 있다. 세밀하면서도 강렬한 표현으로 마주보고 있는 소 사이의 긴장감이 화면 밖으로도 느껴진다.


장우성·김대열·김대원 작가는 소를 통해 당시 상황이나 스스로의 현실을 돌아보고자 하는 의도를 작품에 담았다. 

장우성 작가의 ‘광우병에 걸린 황소’는 2001년 광우병 파동에 관한 이야기를 수묵으로 표현한 작품이다. 당시 광우병으로 인해 불안했던 시기의 한 단면을 보여주려 했다.

8명의 작가가 각자 방식으로
우직함 강인함 역동성 친근함

장 화백은 ‘광우병에 걸린 고씨네 황소 2001년 신사년 여름날 반벙어리 월전 노인이 그리다’라는 구절과 황소의 뒤틀린 표정을 통해 당시 상황의 답답함을 표현했다. 

김대열 작가의 ‘심우’는 선종에서 자신의 본성을 발견하기 위해 야생의 소를 길들이는 과정을 담은 심우도에서 시작한다. 웅크리고 앉아 화면을 응시하는 소의 깊고 어두운 눈을 통해 자신의 깊은 내면을 바라보는 불성을 그리고 있다. 깊은 눈을 바라보며 자신을 통찰하고자 하는 작가의 의지가 투영돼있다. 
 

▲ 임만혁, 소와소년18-1,  87x132cm 한지에 목탄 채색, 2018

김대원 작가는 전통적으로 농경사회에서 소가 밭을 갈거나 풀을 뜯는 모습을 화폭에 담았다. ‘귀가’는 밭갈이를 마치고 돌아가는 농부와 소의 뒷모습을 그린 작품으로 노동의 가치와 소의 전원적인 풍경을 그렸다.

일을 끝내고 앞장서 돌아가는 소의 모습과 농부의 뒷모습이 길을 따라 멀어지며 붉은 빛의 자연풍경이 따뜻하게 표현돼 포근함을 느낄 수 있다. 

박경희 이천시립월전미술관 학예연구사는 “오늘날 소는 과거와 달리 식료품 중 하나로 인식되는 편이다. 또 예전에 비해 소는 쉽게 만날 수 없는 동물이 됐다. 그러다 보니 소를 그린 그림이 줄어들고 있다”고 설명했다. 

식료품으로…


이어 “그럼에도 우리 시대 작가들은 소의 온순하고 천진하며 무욕적인 태도와 역동적이고 활기찬 이미지를 자신만의 특색으로 그려가며 소 그림의 지평을 묵묵히 넓혀가고 있다. 다양한 소 그림을 보면서 지난해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묵묵히 앞으로 나아가는 소와 같은 해가 되기를 소망해본다”고 말했다. ⓒ이천시립월전미술관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