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트&아트인> 소울아트스페이스 제제-최영욱

2020.08.10 10:09:25 호수 1283호

야자수를 든 어린아이와 달항아리

[일요시사 취재1팀] 장지선 기자 = 코로나19가 창궐하면서 미술계가 침체기에 빠졌다. 오프라인서 작품을 통해 관람객과 만났던 작가들은 전시 일정이 무기한 연기되는 상황과 직면했다. 최근 한창 웅크리고 있던 미술계가 최근 조금씩 기지개를 펴고 있다. 
 

▲ 최영욱 | Karma 20199-3|2019|Mixed media on canvas|165x150cm


부산 해운대구 소재 갤러리 소울아트스페이스서 두 작가의 개인전을 준비했다. 제제 작가의 ‘INTO THE NATURE- 자연 속으로’와 최영욱 작가의 ‘Reflection- 성찰’. 두 전시는 오는 25일까지 관람객들과 만난다. 

자연 속으로

제제의 INTO THE NATURE- 자연 속으로 전시는 제1전시실서 감상할 수 있다. 제제는 2018년 신진작가 지원전 ‘Rest In Peace’에 이어 2019년 ‘물질주의 가치’ 등 소울아트스페이스서 꾸준히 개인전을 열었다. 이번 개인전은 그의 작품 세계가 어떻게 변화해왔고 발전했는지를 지켜볼 수 있는 자리다. 제제는 조각 외에도 평면 회화와 대형작품 등을 관람객들에게 소개한다.

Nature는 일반적으로 자연을 의미하지만 인위적이지 않은 본성 그대로를 간직한 아이의 특성을 암시하기도 한다. 영화 <칠드런 오브 맨(Children of Man)>은 더 이상 아이가 태어나지 않아 인류가 종말에 이르는 내용이다. 아이들은 작고 힘없는 대상이지만 어느 시대에나 희망의 아이콘으로 존재해왔다. 

미술작품서 아이를 전면에 내세우는 일이 흔치 않았다. 서양에선 성모상을 통해 모자 관계 속에서, 한국화에선 단원 김홍도의 ‘서당’이나 ‘씨름’서 볼 수 있듯 마을이나 가족공동체의 일부로 등장했다. 아이들이 독립적으로 조명받기 시작한 것은 근대 이후다.  


제제는 2017년 어린아이를 단독으로 형상화한 조각을 처음 발표했다. 이를 매개로 자신의 생각과 현대적 관점을 반영한 작업을 이어가는 중이다. 어린 조카에게 영감을 얻었다. 

아이들은 희망의 아이콘
독립적인 주체로 조각해

어린아이가 어른의 세계를 동경하듯 시간이 흘러 무의식 깊은 기억 속으로 사라져버린 순수한 세계를 접한 어른은 낯섦과 경이를 느낀다. 백지처럼 편견 없는 상태서 세상의 상황을 유연하게 흡수하고, 때론 예측불허의 반응을 보이는 어린아이를 통해 받는 감동은 여느 예술작품이 주는 것보다 클 수 있다. 

제제의 조각은 볼수록 다른 느낌을 준다. 첫 눈에는 귀여운 느낌이지만 자세히 살펴보면 혈색 없이 굳게 다문 입술, 무표정한 얼굴에 어떤 특정 동작을 취하고 있지도 않다. 일반적으로 아이 캐릭터가 큰 눈으로 감정을 드러내는 데 반해 그의 작품 속 아이는 눈이 크게 묘사돼있지도 않다. 또 아이들은 대부분 오드아이다. 

피부는 주로 블랙이나 화이트, 옷이나 머리카락은 다양한 색을 사용하는데, 표면을 긁어낸 질감을 그대로 남겨뒀다. 단단한 표면 위에 그린 낙서와 드로잉은 시대와 환경에 영향을 받고 살아가는 현대인들 내면에 부유하는 가치충돌을 즉흥적으로 나타낸 부분이다. 
 

▲ 제 제 _ eye in the sky _ 2020 _ Acrylic on F.R.P. _ 27x28x73cm

전시 제목과 걸맞게 이번 전시에 등장하는 인물들 곁에는 야자수와 같은 열대식물들이 함께 자리한다. 높은 온도서 자라 키가 크고 여러 진귀한 잎과 꽃모양을 이루는 열대식물처럼 제제의 나뭇잎은 초록을 기본으로 다채로운 색을 더하고 기형적 형태를 표현했다. 

순수한 아이의 형상에 텍스트나 드로잉으로 강한 메시지를 전했듯, 신작서도 대립적 요소를 배치했다. 스틸로 나무를 표현해 산업화된 사회와 자연을 대비시키고, 숲의 존재를 긍정적으로 인식해 가까이 두면서도 두려운 대상으로 여기는 인간의 모순적 모습을 형상화했다. 

제제는 이번 전시에 여성만 등장시켰다. 그는 “아이를 낳고 자식을 키우는 모성이 마치 자연이 우리에게 행하는 희생과 닮아 있다고 느꼈다”고 전했다. 이어 “지키고 보호해야 할 대상으로서의 자연은 신비하고 위대한 존재지만 고도의 산업화와 경제개발에 밀려나는 현실을 생각하면 잔혹함과 격렬함이 떠오른다”고 말했다. 

입시학원 운영하다 훌쩍
뉴욕 미술관에서 매료돼

소울아트스페이스 관계자는 “거칠지만 인위적이지 않은 자유로움을 가진 자연과 아이의 공통된 특성처럼 어른들의 무의식 속 잠재된 순수함을 새롭게 발견하는 전시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전했다.


제2, 3 전시실에는 최영욱의 전시 Reflection- 성찰이 준비돼있다. 100호 이상 대작을 중심으로 15점 내외의 작품들로 구성됐다. 

한국은 서방과 아시아가 만나는 접점에 자리한 지리적 위치, 남북으로 갈려 있는 정치적 상황 등으로 인해 내재된 갈등이 많은 나라다. 강한 열방의 다툼 속에 살아온 우리 선조들은 달항아리처럼 소박하고 평화로운 삶을 끊임없이 염원했다. 

최영욱은 “사회적 역할을 고심하면서 강렬한 메시지를 담는 작품보다 달항아리가 주는 미감과 같이 있는 듯 없는 듯 그저 바라보는 것만으로도 마음이 편안하고 위로가 되는 작품을 그리고 싶었다”고 말했다. 
 

▲ 최영욱|Karma 20199-2 |2019|Mixed media on canvas |165x150cm

그는 유명 미대 합격생을 다수 배출한 입시학원을 운영하다가 전업 작가가 되겠다고 결심한 후 150개의 캔버스를 챙겨 돌연 미국으로 떠났다. 그를 매료시킨 것은 뉴욕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한국관에 전시된 달항아리. 표면의 작은 흠과 변형된 색, 비정형의 형태를 지닌 존재는 최영욱을 강하게 끌어 당겼다. 그는 “푸근하고 소박하면서도 기품이 있는 게 속으로 내공을 감추고 있는 듯했다”고 전했다. 

성찰

달항아리는 조선시대 후기에 만들어진 백자대호의 또 다른 이름이다. 윗부분과 아랫부분을 따로 만들어 붙인 부정형의 곡선이 여러 감식가와 애호가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다. 소박하면서도 당당한 기품은 작가가 추구하는 인생 철학과 닮아있다. 

소울아트스페이스 관계자는 “(최형욱이) 대학 때부터 좋아한 흰 색, 그의 아내와 함께 인사동서 구입한 작은 달항아리 한 점, 뉴욕서 새롭게 만난 달항아리, 한국서 아버지가 사온 달항아리를 보고 자란 빌 게이츠와의 만남 등 계산되지 않은 우연성, 새로운 인연이 그의 작품 카르마를 풍성하게 만들고 있다”며 “이번 전시는 삶의 위로와 성찰, 화해와 명상을 제안하는 시간을 선사할 것”이라고 기대를 드러냈다.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