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 특별한 올림픽 기억

2020.08.10 09:53:59 호수 1283호

높이뛰기를 뒤집다

▲ 딕 포스베리

[JSA뉴스] 역대 올림픽의 결승전들은 감동과 드라마, 그리고 아름다운 순간들로 가득차 있다. 그러나 1968년 10월19일과 20일 사이 멕시코시티올림픽의 유니버시티 올림픽스타디움서 치러진 남자 높이뛰기에 미국대표로 출전한 ‘딕 포스베리(Dick Fosbury, 1947∼)처럼 종목 전체를 영원히 바꿔버릴 정도의 혁신은 흔치 않은 일이다.



놀림

그가 당시에 선보였던 높이뛰기의 ‘플롭(Flop, 배면뛰기-몸을 뒤로 눕혀 등 뒤로 뛰어넘는 기술)’은 높이뛰기의 혁명을 일으키며 지금 거의 모든 선수들이 시도하는 당연한 기술이 됐다.

육상의 필드 종목 중 하나인 높이뛰기는 1986년 제1회 그리스의 아테네올림픽부터 정식종목으로 채택돼 올림픽의 역사와 함께 한 경기종목이다. 도움닫기부터 시작해 도약과 점프를 통해 정해진 높이의 바(Bar)를 넘는 경기다.

포스베리의 올림픽 출현  이전까지의 높이뛰기는 앞을 보고 도약해 몸을 옆으로 돌리면서 바(Bar)를 넘는 ‘스트래들(Straddle)’기술이나 아니면 상체를 꼿꼿이 세운 채 도약해 다리를 벌려 넘는 ‘가위뛰기(Scissors)’기술이 주를 이루고 있었다.

미국 남자 높이뛰기 ‘딕 포스베리’
최초로 선보인 ‘플롭’ 기술 ‘발칵’


그러나 포스베리는 193cm의 큰 키 때문에 스트래들 기술이나 가위뛰기 기술로는 큰 성공을 거둘 수가 없었고, 고등학교 선수 시절에는 높이뛰기 종목 지역 팀에도 선발되지 못했다.

하지만 그는 포기하는 대신 1963년부터 높이뛰기의 새로운 기술을 연구하기 시작한다. 높이뛰기 종목에 대한 접근법 자체를 영원히 바꿔버리게 되는 기술, ‘포스베리 플롭(Fosbury Flop)’이 만들어지기 시작한 것이다.

그리고 1968년 멕시코 올림픽 출전 자격을 획득하며 무명의 포스베리는 자신의 특이한 기술을 전 세계에 소개할 기회를 얻게 된다. 도움닫기의 방향을 대각선으로 시작해 도약시 몸을 180도로 뒤틀어 등 뒤로 점프한 다음, 등을 뒤로 젖히며 바를 넘는 포스베리의 새로운 기술은 그 당시에 이미 정형화 돼버린 높이뛰기 기술의 근본을 완전히 뒤집어놨다.

동일한 신체조건서 배면뛰기는 안정된 자세로 더 높이 도약할 수 있으며 공중서 무게중심을 너 낮게 가지고 갈 수 있다는 인체역학적인 이점을 가지고 있었다.
높이뛰기 종목의 보조 환경 변화도 그의 기술적인 혁신을 도와줬다.

원래 높이뛰기 종목에선 바를 뛰어 넘은 선수들의 부상을 방지하기 위해 착지하는 부근에 모래나 톱밥 등의 완충제 역할을 하는 물질들을 뿌려 놓는다. 그러나 이 같은 충격 완충제들은 2미터 정도의 높이서 발이나 혹은 손과 발로 동시에 착지하는 선수들만을 보호할 수 있을 뿐이고, 포스베리처럼 배면뛰기 후 머리와 상체부분으로 착지하는 선수들의 부상을 막을 수는 없었다. 

그런데 1960년대 중반 무렵에 고무재질에 공기를 불어넣어 만든 ‘고무매트’가 선수들의 안전장치로 출현한 것이다. 이 매트의 출현으로 인해 높이뛰기 점프 후 선수들은 신체의 어느 부분으로 떨어져도 부상을 방지할 수 있는 부상방지용 완충제를 접할 수 있게 되고, 포스베리는 이러한 환경변화에 맞춰 과감한 혁신을 시도하게 된다.

1968년 올림픽의 높이뛰기 경기가 시작됐을 때만 해도 포스베리는 메달권과는 거리가 먼 선수로 여겨졌다. 당시 포스베리는 트랙 앤 필드 뉴스가 “올림픽 타이틀을 놓고 펼쳐지는 가장 치열한 경쟁”이라고 묘사했던 1968 멕시코시티 올림픽의 높이뛰기 무대에 참가한 무명 선수에 불과했을 뿐이다.

포스베리는 그런 평가에 구애받지 않고 자기 할 일을 해나갔고, 모든 점프를 1차 시기서 성공시켜버린다. 바가 2.18m 높이까지 올라갔을 때, 경쟁서 살아남은 선수들은 포스베리를 포함해 단 5명뿐이었다. 이어 2.18m도 첫 번째 시도서 넘어버린다.
 

▲ ▲1968년 멕시코올림픽서 최초로 배면뛰기를 선보이는 딕 포스베리

포스베리와 미국의 에드 카루더스, 소련의 발렌틴 가브릴로프 등 3명이 남게 된 2.20m. 세 사람 모두 첫 번째 시도에서 넘었다. 이 시점서 포스베리의 메달 획득은 이미 확정됐다. 하지만 메달의 색이 남아 있었다.

2.22m서 3번의 시도를 모두 실패한 가브릴로프가 먼저 탈락하며 동메달이 정해졌다. 그리고 포스베리는 다시 한 번 첫 번째 시도서 2.22m를 넘는다. 남은 것은 카루더스와 포스베리 두 사람. 바의 높이는 올림픽 기록인 2.24m까지 올라갔다.


첫 시도서 포스베리는 등을 완전히 젖힌 뒤에 다리를 차올리며 바를 넘었고, 그것으로 올림픽 신기록과 함께 올림픽 금메달을 확정했다. 새로운 역사의 탄생이자 높이뛰기 종목의 완전한 변화가 시작된 순간이었다.

스포츠서 포스베리가 멕시코시티올림픽서 보여줬던 정도의 영향을 미친 선수는 거의 없었다. 비록 포스베리 본인은 출전 자격을 얻지 못했지만, 1972 뮌헨올림픽에선 높이뛰기 종목 출전 선수 40명 중 28명이 ‘포스베리 플롭’으로 바를 넘었다. 그 후로 1988 서울올림픽을 마지막으로 스트래들 기술은 올림픽 무대서 완전히 사라졌다.

68년 멕시코 올림픽 처음 소개
종목 전체 바꾼 혁신으로 평가

멕시코서 올림픽 금메달을 뒤로 하고 포스베리는 육상계서 모습을 감췄다. 하지만 지워지지 않는 자신의 흔적을 남겨놨고, 1993년에는 미국 올림픽 명예의 전당에 헌액된다. 포스베리는 높이뛰기 종목에 혁신을 가져온 포스베리 플롭 기술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배면뛰기 동작은 가장 자연스러운 동작이라고 본다. 나는 그걸 제일 먼저 찾아냈을 뿐이다.”

높이뛰기의 역사는 포스베리의 배면뛰기가 출현한 1968년 이전과 그 이후로 양분된다고 한다. 다른 선수들이 관성에 젖어 기존의 기술만을 답습하고 있을 때, 포스베리는 높이뛰기에 관해 그동안 그가 배우고 습득했던 모든 지식과 기술을 버리고 홀로 독자적인 기술을 고안해 습득했다. 

멕시코올림픽서 그가 처음 배면뛰기를 선보였을 때, 그는 수많은 혁신가들이 새로운 것을 보여줬을 때면 늘 그랬듯이, 그 또한 세상으로부터 무수한 비난과 조롱을 받아야만 했다. “물고기가 배 위에서 팔딱 뛰는 것 같다”는 놀림이었다.

시초

그럼에도 불구하고 포스베리의 배면뛰기는 높이뛰기의 역사를 바꿔 놓았다. 이제 1년 앞으로 다가온 도쿄 2020에서도 높이뛰기 종목의 모든 선수들은 당연히 포스베리의 이름이 붙은 그 기술로 영광에 도전할 것이다.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