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초대석> ‘충무로 기대주’ 구교환

2020.07.27 10:34:26 호수 1281호

반도에 휘몰아친 완성형 신인

[일요시사 취재2팀] 함상범 기자 = “강동원 보러 갔다가 구교환에게 ‘입덕’했다.” 영화 <반도>를 본 일부 여성 관객들의 반응 중 하나다. 아직은 대중적으로 잘 알려지지 않은 그는 <반도>를 통해 자신의 능력을 단숨에 증명했다. 그야말로 ‘미친 연기력’을 선보인 구교환을 직접 만났다. 쑥스러움과 수줍음이 매력인 그는 연기와 자신은 뗄 수 없는 관계라고 정의했다. 
 

▲ 배우 구교환 ⓒNEW


<반도> 제작발표회 당시, 연상호 감독은 구교환의 첫 촬영분을 보고 “<조커>의 호아킨 피닉스를 보는 것 같았다”고 말했다. <반도> 첫 촬영이 <조커> 개봉 전이었던 점이, 진실하고는 거리가 있지만 그만큼 구교환의 연기가 그만큼 인상적이었다는 걸 의미한다. 

한국의 조커

첫 촬영이었던 <반도> 서 대위의 등장 장면은 엄청난 압박감이 있다. 등장만으로, 또 얼마 되지 않는 대사만으로 극의 분위기를 완전히 환기시킨다. 도저히 끝을 알 수 없는 인간이라는 느낌을 단숨에 전한다. 마치 서 대위로 살아온 인물처럼 연기하며, 그 압도적인 힘은 영화가 마무리될 때까지 이어진다. 

이 영화를 위해 구교환이 얼마나 많이 고민하고 인물을 몸에 녹여냈는지 그 노력이 가늠하기 어려울 정도다. 

“연상호 감독님을 처음 뵀을 때 감독님이 보여준 서 대위의 얼굴이 있었다. 일반적인 청년인데 눈이 붕괴돼있었다. 보고 있으며 마음이 미묘해지는 눈이었다. 그 눈을 생각하며 이미지 시뮬레이션을 많이 하긴 했다.”


가끔 배우들에게서 인물을 완벽히 만들기 위해 모든 간절함을 쏟아부은 것이 보일 때가 있다. <타짜>의 ‘아귀’(김윤석 분)나 ‘정 마담’(김혜수 분)이 그랬고, <화차>의 ‘강선영’(김민희 분), <밀양> ‘신애’(전도연 분), <암살>의 ‘염석진’(이정재 분), <동주> ‘송몽규’의 역의 박정민이 그랬다. 서 대위도 이러한 캐릭터들과 비슷한 궤를 그린다. 

“기본적으로 인간에 대한 궁금증과 호기심이 많고, 시나리오를 잘 옮겨야겠다는 생각으로 연기한다. 감독님의 의도를 파악해서, 원하는 인물을 그려내려고 노력했다. 전사가 분명하지는 않지만, 곳곳에 서 대위라는 인물에 대한 힌트는 놓여있었다. 그것들을 바탕으로 만든 인물이다.”

구교환의 연기를 향한 열정은 특별하다. 그를 백상예술대상 남우신인상으로 이끈 <꿈의 제인> 촬영 전, 스태프들에게 트랜스젠더인 제인을 소개하기 위해 여장한 채로 회식에 참가한 일화는 유명하다. 인물을 온전히 표현하기 위해 절실한 노력을 갖춘 그에게 <반도>는 작품의 참여를 넘어, 경제적 혜택의 차원이 달라질 수 있는 절호의 기회이기도 하다.

첫 상업 영화 진입을 앞두고도 간절함은 더욱 배가되지 않았을까.

강동원 보러 갔다 발견한 ‘미친 연기력’ 
“익숙한 것에서 낯선 것을 만들고 싶다”

“간절함은 언제나 똑같다. 대자본 영화나 독립영화를 분류하지 않고 연기하려고 한다. 배우가 ‘상업영화’와 ‘독립영화’를 규정하고 달라지는 모습을 보이는 건 배우로서 좋은 태도가 아닌 것 같다. 좋은 이야기를 찾아다니고 선택받길 기다리는 것이 좋은 배우의 덕목이라 생각한다. 내게 가장 중요했던 건 나의 호기심을 채우는 것이다.”

당초 연 감독의 <부산행>을 비롯한 수 없이 많은 작품을 좋아했고, <부산행>과 이어지는 세계관도 궁금했던 그다. 아울러 예측할 수 없는 광기를 보이는 서 대위가 궁금했다고 했다. 그리고 그 호기심은 촬영장서 채웠다. 

“글만 읽고서는 이 인물이 처한 상황이나 느낌을 정확히 모른다. 그곳에 있는 세트와 미술, 의상 등을 환경 속에 내가 서 대위로 놓여 대사를 할 때 비로소 안다. ‘김 이병’과 ‘황 중사’(김민재 분)와 셋이서 대화를 할 때 황 중사의 대사를 통해 비로소 ‘아! 이런 관계였구나’를 깨닫는다. 이 글이 어떻게 구현될까에 대한 궁금함을 채우고 싶은 강한 열망이 있었다.”
 

▲ ⓒNEW

그 열망이 언제나 새롭고 진취적인 캐릭터를 만드는 것은 아닌가 궁금했다. 어디에도 존재하지 않을 것 같은 미스터리한 제인(<꿈의 제인>)이나, 나라 사랑이 도가 지나쳐 ‘헬조선’을 외쳐댔던 백수 청년(<우리 손자 베스트>), 싱크홀을 막으면서 하루 하루 돈을 버는 것에 만족하는 20대 청년(<메기>)까지, 구교환이 연기한 인물들은 전형성을 탈피한다. 

그가 표현한 인물에게서는 어디서도 본 적 없는 독특한 향기가 난다. 익숙한 것에서 낯선 것을 표현하고 싶다는 그의 욕망이 언제나 묘한 색감을 만드는 듯했다.


“연기관이라고 말하기엔 너무 거창하지만, 내가 느낀 그대로를 연기하고 싶은 마음이다. 일상에 붙어있는데, 가끔 낯선 것들을 만들어내고 싶다. 이 같은 낯선 것은 시나리오를 비롯해 많은 제작진의 노력으로 찾아오는 것 같다. 감독님의 의도와 디렉션을 비롯해 수많은 현장의 도구와 환경으로 낯선 것이 만들어진다고 생각한다. 그 환경서 나도 용기를 내서 연기를 하는 것 같다.”

일각에선 그를 두고 ‘완성형 신인’이라고 한다. 독특한 마스크와 음색, 매력적인 연기와 연기에 대한 올바른 태도를 갖춘 그에게 남은 건 대중적인 성공이라고 확신하는 사람들이 적지 않다. 실력파 신인의 탄생으로 바라보는 시선이 적지 않다. 하지만 구교환이 바라보는 곳은 평온한 일상이다.

“욕심 없다”

“앞으로 바라는 건 그저 ‘하루하루 잘 살았으면’이다. 큰 욕심 안 부리고 하루 하루 잘 지내고 싶다. 영화를 찍을 때면 무사하게 촬영을 마치는 것, 오늘 특별히 좋지 않았다고 하더라도 아쉬우면 아쉬운 대로 잘 보내는 것. 그렇게 살다 보면 어떤 기적 같은 일이 있지 않을까 싶다. 어차피 구교환과 연기는 분리되지 않고 살아갈 것 같다. 좋은 연기를 하고, 그날 밤에 편하게 맥주 한잔 하면서 편히 잘 수 있는 인생을 살고 싶다. 상상하니까 되게 행복하다. 그 삶을 기다리고 있다.”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