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시사 취재1팀] 장지선 기자 = 적금은 스테디셀러다. 목돈을 만들려는 사람이 가장 쉽게 접할 수 있는 상품이 바로 적금이다. 비트코인이나 주식처럼 한방은 없지만 시간을 들인 만큼 보상이 돌아온다는 장점이 있다. <일요시사>가 시중서 판매 중인 혜택 많은 적금 상품들을 살펴봤다.

적금 금리는 점차 떨어지고 있다. 적금만 잘 부어도 집을 살 수 있었다는 이야기는 그야말로 옛말이다. 우리나라가 경제 호황을 누리던 1980년대에는 20%대의 고금리 예·적금 상품이 존재했다. 저축만 잘해도 목돈 마련이 가능했던 시기다.
목돈 만들기
현재 시중은행의 예·적금 상품 금리는 2∼3%대에 머물고 있다. 시중은행보다 금리가 높은 저축은행 예·적금 상품들도 각종 우대금리를 더해야 5% 안팎이다. 적금으로 돈을 모으는 사람들은 금리가 조금이라도 높은 상품을 찾으려 한다.
SK텔레콤은 지난 5월 ‘T high 5’ 적금을 내놨다. 금리 1%가 아쉬운 시대에 최대 5%의 혜택을 주겠다고 나섰다. T high 5 적금은 만 19세 이상 SK텔레콤 이용 고객이라면 누구나 가입할 수 있다. 스마트폰에 핀크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받은 후 T high 5 적금 상품을 선택하면 가입이 가능하다.
T high 5 적금 가입 고객은 기본 금리 2%에 SK텔레콤 우대금리를 제공, 최소 4%의 금리를 받을 수 있다. 여기에 5만원 이상 요금제를 이용할 경우 1% 캐시백이 추가된다. 실제 납부액이 5만원 미만이라도 할인 전 요금이 5만원 이상이라면 1% 추가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월 불입 금액은 5만원, 10만원, 15만원 중 선택이 가능하고 만기 역시 1년과 2년 중에 선택할 수 있다. 지난 7월 T high 5 적금은 출시 40일 만에 5만명을 돌파하는 등 높은 관심을 받았다. 20∼30대가 전체 가입 고객의 65%에 육박했고, 이중 여성 비율이 전체의 60%를 차지했다.
금리 점차 낮아지는 추세
깜짝 고금리 상품 인기↑
‘토스 무제한 적금’도 인기다. 토스는 지난 7월 KEB하나은행과 손잡고 제휴적금을 출시했다. 토스 무제한 적금은 가입자들에게 연 3%대의 금리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토스 무제한 적금서 내놓은 혜택이 가입자들의 눈길을 끌고 있다.
이들은 기존 이용자들이 토스 미가입자를 초대할 경우 1% 이자를 추가로 제공한다. 현재 홈페이지 내 게재된 리스트 속 1등 이용자는 무려 215명을 초대해 연 215%의 추가 이자 혜택을 앞두고 있다.(8월23일 기준) 지인이 많을수록 더 많은 혜택을 누릴 수 있는 구조다.
광주은행서 지난 1월 내놓은 ‘하면돼지 적금’도 인기다. 광주은행은 2019년 황금돼지해를 맞아 이 상품을 내놨다. 공인증서나 애플리케이션 설치 없이 모바일웹 뱅킹서 간편하게 가입할 수 있고 추가 우대금리 제공으로 높은 금리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인기를 누리고 있다.

하면돼지 적금은 광주은행 신규고객이나 돼지띠해 출생 고객에게 각각 0.5%포인트, 추천코드를 통해 지인과 함께 가입하면 함께하는 계좌 수에 따라 0.3%∼1.5%포인트까지 추가로 제공한다. 2년을 기준으로 최고 연 4.5%까지 받을 수 있다.
디비 저축은행의 ‘DreamBig정기적금’은 8월3주차 저축은행 정기적금 최고 우대금리를 자랑하고 있는데 무려 연 6.9%에 달한다. 금융감독원 금융상품통합 비교공시에 따르면 195개 저축은행 정기적금(12개월 기준) 중 최고우대금리가 가장 높은 상품은 DreamBig 정기적금이다.
DB손해보험 인터넷 자동차 보험과 연계된 이 상품은 적금 가입 이후부터 만기 30일 이전까지 DB손해보험 다이렉트 인터넷 자동차 보험을 인터넷으로 1년 이상 가입한 회원들이 혜택을 받을 수 있다. 기본금리 3.1%서 보험 신규 가입 혹은 갱신으로 적금 만기까지 보험 계약을 유지하면 3.8%의 우대 금리를 제공한다.
통신·자동차보험 가입
우대금리 조건 완화돼
웰컴저축은행은 지난달 23일 최고 연 6% 적금 상품인 ‘웰컴 첫 거래 우대 정기적금’을 출시했다. 1만명 한정 판매 상품이다. 매월 납입금액은 최저 1만원부터 최고 30만원까지 선택할 수 있다. 가입기간은 12개월이며 이자는 만기에 일시 지급한다. 기본 금리는 3.2%이며 우대금리 조건을 충족하면 연 6%까지 금리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웰컴저축은행 입출금통장서 8회 이상 적금계좌로 자동이체할 경우 1%의 우대 금리를 받을 수 있고 적금 신규일부터 만기일 전일까지 웰컴 저축은행에 개설된 자유 입출금 계좌 내 평균 잔액을 50만원 이상 유지하는 조건으로 1.8%의 추가 우대금리가 주어진다.
신한은행은 첫 급여이체 고객이 적금에 가입할 경우 추가 우대금리를 제공하는 ‘신한 첫 급여 드림(Dream) 적금’을 판매하고 있다. 이 상품은 새내기 직장인뿐만 아니라 급여이체 계좌를 신한은행으로 옮긴 고객에게도 우대금리를 제공한다.

기본 금리는 2%이며 급여이체 실적에 따라 스텝업 방식으로 우대금리가 적용된다. 스텝업 방식은 급여이체 실적이 누적될수록 우대금리 역시 증가하는 방식이다. 급여이체 실적이 3개월 이상일 경우 입금분부터 1%포인트, 6개월 달성 시 2%포인트, 9개월 달성 시 3%포인트가 각각 적용된다. 적금 가입 후 9개월 급여이체 실적을 보유한 고객은 다음 달 입금분부터 3개월간 최고 5%의 금리를 받을 수 있다.
혜택 팡팡
연 5%대의 장병내일준비적금도 있다. 장병내일준비적금은 장병들의 목돈마련 지원을 강화하기 위해 기존 적금상품을 확대·개편한 것이다. 국내 시중은행 14곳서 가입이 가능하다. 15개월 이상 가입 시 기본금리가 5% 이상 제공되며 이자소득과 비과세 등 인센티브가 주어지는 게 특징이다. 적립한도는 은행별로 20만원, 병사 개인별로는 40만원이다. 지난해 8월 출시 이후 20만명이 넘는 장병이 가입했다.
<jsjang@ilyosisa.co.kr>
<기사 속 기사> 고금리 예적금 완판 행렬
지난달 SBI저축은행이 모바일 채널인 사이다뱅크서 선착순 5000명 한정으로 판매한 연 10% 금리를 주는 정기적금이 2시간 만에 완판됐다.
모바일에 익숙한 20∼30대 중심으로 상품 오픈 전부터 접속자가 폭주했다.
대략 4만∼5만명 가량이 상품 가입에 몰렸지만 한정 수량이기에 상당수는 다음 기회를 기약해야 했다.
카카오뱅크가 1000만 계좌 돌파를 기념해 연 5% 금리로 특별 판매했던 정기예금은 무려 1초 만에 마감됐다.
카카오뱅크에 따르면 지난달 22일 오전 11시에 시작한 100억원 규모 특별 정기예금 판매가 거의 개시와 동시에 끝났다. 이 상품은 카카오뱅크 1년 만기 예금의 2.5배인 연 5% 이자를 주기로 했다. 가입금액은 100만∼1000만원이다. <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