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절벽’ 뜨는 직업 지는 직업

2019.05.07 13:06:53 호수 1217호

학생 줄어드니 교수님 ‘울상’

[일요시사 취재1팀] 구동환 기자 = 아기 울음소리가 노인들의 곡소리로 바뀌고 있다. 출산율은 점점 떨어지는데 고령화현상까지 맞물리면서 인구절벽 위기에 봉착했다. 이에 따라 다양한 직업들의 명암이 엇갈릴 전망이다. <일요시사>가 산업변화에 따른 직업 전망에 대해 알아봤다.
 

▲ 노령인구가 늘어나면서 미래 유망직종으로 예상되는 사회복지사


낮은 출산율에 고령화현상까지 가속도가 붙었다. 저출산과 고령화로 인해 생산연령 인구가 50년 뒤 현재인구에 절반에도 미치지 못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통계청은 베이비붐 세대가 고령인구로 진입하는 2020년대에는 생산연령인구가 연평균 33만명 감소하고, 2030년대에는 연평균 52만명 감소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역삼각형 인구분포

한국금융연구원은 1일 ‘출생아 수 변화요인 분석과 장래전망’ 보고서를 통해 출생아 수가 2017년인 35만7000명에 비해 2042년에는 23만5000명까지 줄어들 것이라고 전망했다. 통계청서 발표한 가장 보수적인 장래인구전망 저위추계보다도 낮은 수준이다. 

출산율 급감으로 인해 고령화 속도도 더욱 빨라지고 있다. KDB 미래전략연구소는 최근 ‘더욱 빨라지고 있는 고령화 속도’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 보고서를 통해 KDB 미래전략연구소는 한국의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향후 13년간 연평균 4.8%높은 증가세를 보인다고 밝혔다.

오세진 KDB미래전략연구소 미래전략개발부는 “65세 이상 인구는 2019년 현재 768만명으로, 전체 인구의 약 14.9%를 차지하고 있다”며 “이미 14.3%를 점유한 2018년에 우리나라는 고령사회에 진입했다”고 분석했다. 


우리나라 인구 분포가 오각형서 역삼각형으로 바뀌고 있다. 50년 뒤 한국은 유소년 인구 1명당 노인이 5.7명이 넘는다. 생산연령인구 100명이 부양해야하는 인구는 2017년 36.7명서 2067년 120.2명이 된다. 

인구절벽현상으로 인해 수요변화가 예상되는 직업군이 있는데 저출산·고령화로 인해 건강·복지에 관한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보인다. 한국고용정보원에 따르면 보건·의료·생명과학, 법률, 사회복지, 산업안전, 항공, 컴퓨터네트워크·보안 관련 분야서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보건·의료·생명과학 분야 취업자 수가 늘어나는 직업은 간병인·간호사·간호조무사·물리 및 작업치료사·생명과학연구원·수의사·의사·치과의사·한의사 등이다. 다만 출산율 저하로 인해 산부인과 의사는 취업자수가 줄어들 전망이다.

보건·의료 등 수요 증가 증가세
셀프계산대 등 기계가 대체

또 전통 기법으로 한옥, 궁궐 등 건축물을 신축하거나 보수하는 한식목공이 건물 보수 예산 및 한옥 신축 증가 등의 요인으로 혜택을 볼 수 있다.

반면 취업자 수가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는 직군도 있다. 낙농업·어업·작물 재배 종사자다. 낙농업은 저출산과 고령화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기 때문이다. 영유아 인구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에다 아몬드 우유, 귀리 우유와 같은 식물성 대체품도 확산되고 있기 때문이다.

급격한 고령화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관측된다. 현재 낙농업 경영주 가운데 절반 이상이 60세 이상이다. 배를 타는 선원들도 평균 50대 중반이 훌쩍 넘는다. 연령대가 높다보니 경쟁력서 떨어지고, 이를 대체할 신규 인력이 유입되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자동화에 따른 인구 대체가 가능한 계산원, 판매원, 세탁원 및 다림질원, 악기 제조원, 텔레마케터 등도 감소될 것으로 관측된다. 현재 유통업계는 대형마트서 셀프 계산대를, 패스트푸드점서 주문결제시스템을 도입하는 등 빠르게 기계가 사람을 대체하고 있다. 

학령인구의 감소로 인해 교육계 직종도 어두울 전망이다. 저출산으로 인해 지방 대학교는 문을 닫고 있다. 전문가들은 대학교수의 일자리 증가는 한계에 봉착했다고 바라보고 있다. 또 대학졸업이 취업을 보장하는 시대가 지났다고 생각하는 분위기 형성돼 대학진학에 대해 회의적으로 생각하는 청소년의 비율이 높아지고 있다. 학생의 수가 줄어들면서 대학교수 뿐 아니라 학원·학습지 강사의 전망 역시 어둡다.
 

▲ 취업박람회

이외에도 내 집 마련의 어려움, 자녀 교육비 지출 등을 부담스럽게 여기는 풍토로 인해 결혼상담원 및 웨딩플래너들의 수가 줄어들 전망이다. 


고용정보원이 일자리 증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전문가 심층면접 등을 통해 핵심 키워드를 분석한 결과 스마트 자동화 기술, 저출산 고령화, 경쟁 심화, 환경 등이 꼽혔다. 

희소성 고려

조영태 서울대 보건대학원 교수는 여성잡지 <퀸>과의 인터뷰서 “미래직업 가치를 좌지우지 할 핵심은 희소성. 거기에 전문성 실력까지 겸비해야 한다”며 “이 세 가지가 잘 맞아야 떨어져야 좋은 직장을 얻고 안정성이 보장되며, 경제적인 보상도 높일 수 있다”고 말했다.


<9dong@ilyosisa.co.kr>

 

<기사 속 기사> 유럽의 저출산 대책

유럽 역시 저출산 현상에 시달리고 있다. 북유롭은 물론 유럽 내 출산율 1위인 프랑스도 아기울음소리가 점점 작아져 대책 마련에 열을 올리는 중이다.

저출산은 노동력 감소로 이어져 경제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유럽 각국들은 출산율을 높이기 정책 마련에 열을 올리고 있다. 나라마다 저출산 타개책 마련에 고심중인 가운데 크게는 이민과 순혈주의가 맞붙는 양상이다.

이 중 이민정책은 서유럽이 주목하는 스웨덴식 모델이다. 스웨덴은 적극적인 이민정책으로 인구 증가에 성공한 사례다.

이민·난민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인 스웨덴은 2017년 인구 1000만명 시대를 맞이했다. 스웨덴에서는 이민자 가정의 출산율이 토박이 가정보다 높다.


반면 반이민 색채를 보여 온 극우성향의 헝가리 정부가 내놓은 저출산 대책은 ‘순혈주의’다. 헝가리는 애국주의에 호소하는 출산정책을 제시하며 순혈주의를 고집하고 있다. 오르반 빅토르 총리는 국정연설서 “우리는 숫자가 필요한 게 아니라 헝가리 아이가 필요하다”며 네 자녀 이상을 낳은 헝가리 여성에게 평생 소득세 면제 등 파격적인 정책들을 발표했다.

한편 유럽의 저출산 원인에 대해선 다양한 해석들이 나오고 있다. 가임여성의 감소, 핵가족의 가속화, 높아진 결혼연령대를 비롯해 주거비용의 상승 등이다.

<로컬프랑스> 보도에 따르면, 프랑스는 2008년 금융위기 이후 공공부문에 투입하는 예산이 감소하면서 줄어든 수당 등 육아환경이 예전만 못하다. <환>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