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화가 터줏대감’ 뷰티 로드숍의 몰락, 왜?

2019.03.04 10:16:59 호수 1208호

간판 내리는 화장품 가게

[일요시사 취재1팀] 김태일 기자 = ‘K-뷰티 신화’를 이끌었던 화장품 로드숍들이 잇따라 간판을 내리고 있다. 소비 채널의 온라인·모바일 전환, 편집숍·복합쇼핑몰 등 새로운 유통채널의 발달, 중국인 관광객 등의 감소가 몰락의 이유다. 이에 화장품 브랜드들은 각자 살길 찾기에 나섰다.
 

▲ 본 사진은 특정기사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음


불과 1∼2년 전까지 서울 명동과 강남역 일대를 비롯해 전국 번화가서 가장 임대료가 높은 점포를 차지했던 더페이스샵, 이니스프리, 네이처리퍼블릭, 미샤 등 화장품 가게들. 하지만 지금은 K-뷰티 열풍을 이끌었던 화장품 로드숍(원브랜드숍)을 찾기 쉽지 않다. 

업계 1위도 적자

‘1세대 로드숍’의 대표주자였던 스킨푸드가 기업회절차(법정관리)에 돌입했고 업계 1, 2위인 이니스프리와 더페이스샵도 ‘몸집 줄이기’에 나서는 등 로드숍 몰락이 현실로 나타나고 있다. 심지어 편의점 업계보다 더 심각하다는 평가도 나온다.

화장품 로드숍의 현주소는 숫자를 통해 확인된다. 지난해 12월8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더페이스샵과 이니스프리, 네이처리퍼블릭, 미샤, 토니모리, 스킨푸드 등 주요 로드숍 브랜드의 매장수는 2015년 말 4868개에서 2016년 말 4834개로 1.4% 증가했다. 하지만 2017년에는 4775개로 3.2% 감소했다.

지난해 들어서 로드숍 감소 속도는 한층 빨라졌다. 지난해 3분기 말 기준 이들 업체의 매장수는 4000∼4100개로 추정된다. 9개월 만에 800∼900개 매장이 줄어든 셈이다. 하루에만 3개 이상 문을 닫았다는 얘기다. 2017년 말과 비교하면 약 14∼16% 줄어든 것으로 2016년 말과 비교하면 17∼19% 감소한 수준이다.


화장품 로드숍은 2000년대 초 중저가화장품 바람이 불면서 국내서만 특화된 유통채널로 등장하면서 오랜 기간 시장을 지배했다. 해외선 여러 브랜드의 제품을 파는 ‘뷰티 편집숍’이 일반화됐지만 국내는 ‘가성비’를 추구하는 소비 트렌드와 명동 거리에 몰려든 ‘중국인 관광객(유커)’에 힘입어 로드숍 전성시대가 꽤 오래 이어졌다.

그러나 화장품 유통구조가 지난해 들어 급변했다. 중국발 ‘사드여파’로 2017년 3월 중순부터 중국인 단체관광객의 발길이 끊기면서 원브랜드숍을 지탱해주던 고객층이 사라졌다. 이런 가운데 국내 소비자들은 온라인과 편집숍으로 발길을 돌렸다.
 

이 같은 유통채널 구조의 급변은 그대로 로드숍 브랜드의 실적 악화로 이어졌다. 최초 로드숍 미샤를 보유한 에이블씨엔씨 매출은 2012년 3836억원(연결기준 4523억원)으로 정점을 찍은 후 점점 줄어 2017년 3322억원(3733억원)을 기록하는 데 그쳤다.

급기야 2018년 상반기에는 연결기준 64억4800만원 영업손실을 기록하며 적자로 돌아섰다.

이니스프리도 2017년 성장세가 꺾였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 기준 2017년 매출은 6422억원으로 전년 대비 16.4% 줄고, 2018년 상반기는 전년 동기 대비 8.4% 줄었다. 2018년 상반기엔 영업이익도 598억원으로 전년 대비 12.8% 감소했다.

2위 더페이스샵도 상황이 좋지 않다. 더페이스샵의 지난해 상반기 매출은 2527억원으로 전년 대비 13% 감소했다. 매장수 역시 계속 감소하는 추세지만 자사 편집숍인 네이처컬렉션 매장을 2017년 말 169개서 2018년 3분기 말 336개까지 늘렸다.

전문가들은 로드숍 브랜드들의 위기는 한 가지로 설명할 수 없는 구조적이고 복합적인 문제라고 진단한다. 유통 구조가 오프라인서 온라인으로 급격히 전환되고 있는 데다 경쟁력을 갖춘 편집숍들이 사업을 확대하면서 로드숍이 설 자리는 점점 줄고 있다.

실제로 통계청 자료에서도 온라인몰서 화장품을 구매하는 소비자가 눈에 띄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에 따르면 2018년 온라인몰서의 화장품 구매는 전년 대비 20% 정도 늘어 침체에 빠진 로드숍 업계와 대조됐다.

통계청의 ‘2018년 9월 온라인쇼핑동향’서 화장품의 온라인쇼핑 거래액은 8302억원으로 전년 동월 6940억원서 19.6% 늘었다. 작년 5월 온라인쇼핑동향에선 화장품 거래액이 전년 동월 대비 32%나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작년에만 800개 이상↓…하루 3개씩 폐업
점포들 발등에 불…각양각색 살길 찾기 


헬스&뷰티숍(H&B)과 뷰티 편집숍의 시장 규모 역시 급격히 커지고 있다. 2010년 H&B 시장은 2000억원대에 불과했지만 지난해는 1조7000억원으로 7년 새 8.5배 성장했다. 하나금융투자증권은 헬스&뷰티숍 시장 규모가 2025년에는 4조5000억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헬스&뷰티숍은 접근성을 바탕으로 젊은 여성들이 편의점만큼 자주 찾는 채널로 자리 잡았다. 현재 CJ올리브영이 약 1100여개 매장을 보유했다. 전체 헬스&뷰티숍 및 뷰티 편집숍 시장의 약 과반 이상을 차지해 압도적인 1위다.

후발사업자로 나선 롯데와 신세계는 각각 헬스&뷰티스토어 ‘롭스’와 뷰티 편집숍 ‘시코르’를 앞세워 공격적으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GS리테일은 AS왓슨 지분을 전량 인수한 후 ‘왓슨스’를 ‘랄라블라’로 바꾸고 부문 간 시너지 효과를 노리고 있다.

이 같은 시장 상황서 브랜드숍 본사들은 각자 살길을 찾아나서고 있다. 조직 개편 및 해외시장 공략을 시작으로 직영몰 강화, 자사 편집숍으로의 전환, 헬스&뷰티숍 및 편집숍 입점, 대대적인 브랜드 리뉴얼 등 방법도 각양각색이다.
 

먼저 아모레퍼시픽그룹은 최근 조직 개편을 단행하며 ‘e커머스 분야’ 강화에 나섰다. 화장품 유통구조 변화를 피할 수 없는 흐름으로 받아들이고 유연하게 대응한다는 전략이다.

아울러 이니스프리, 에뛰드, 아리따움 등 가맹점주들과 ‘상생안’을 찾기 위한 협상을 벌이고 있다. 온라인몰 수익을 가맹점주와 공유하겠다고 점주 측에 제안해 잠정 합의에 이르렀다. 현재 저수익 매장 지원, 온라인몰 구입제품 매장서 교환·배송 등을 협의 중이다.

LG생활건강은 채널 변화를 일찌감치 읽고 더페이스샵을 자사 편집숍인 네이처컬렉션으로 전환한다는 나름의 ‘승부수’를 띄웠다. 하지만 일부 점주들의 반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중국에선 더페이스샵과 네이처컬렉션 매장 모두를 철수했다. 이에 로드숍 대신 역대급 실적을 내고 있는 럭셔리 부문의 ‘후’ ‘숨’ ‘오휘’ ‘빌리프’ 등에 더욱 집중하는 전략을 펼칠 전망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로드숍이 어려운 이유는 브랜드가 너무 많아지면서 경쟁이 치열해진 것이 첫 번째, 온라인몰과 홈쇼핑 등에서 대폭 할인한 가격으로 판매되는 것이 두 번째”라며 “온라인, 편집숍, 홈쇼핑 등 다양한 채널이 로드숍 점유율을 빠르게 빼앗는 흐름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각자 살길 찾아…


다른 관계자는 “여성들이 화장품을 구매할 때 직접 발라본 후 구매하길 원하는 건 지금도 마찬가지”라며 “브랜드가 다양해지고 온라인 가격이 내려가면서 로드숍보단 다수 브랜드를 한번에 접할 수 있는 편집숍과 온라인몰을 선호하는 추세가 짙어지고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