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초대석> ‘예쁜집 연출가’ 고유정 허브디자인 대표

2018.04.16 10:45:33 호수 1162호

“돈보다는 사람을 남기고 싶어요”

[일요시사 취재1팀] 장지선 기자= 첫인상은 인간관계의 중요한 잣대로 작용한다. 많은 사람들이 만남의 첫 순간 외모나 옷차림, 행동거지를 통해 상대를 파악한다. 집 역시 마찬가지다. 현관문을 열고 들어선 순간 집에 대한 평가가 시작된다. 그때 집의 첫인상 역할을 하는 게 바로 인테리어다. 집의 첫인상을 만드는 사람, 고유정 허브디자인 대표를 만나봤다.
 



예나 지금이나 많은 사람들이 ‘내 집 마련’의 꿈을 안고 산다. 그만큼 집은 소유의 대상이자 부의 기준으로 여겨진다. 최근에는 집을 갖는 것을 넘어 얼마나 예쁘게 꾸미는 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과거 의·식·주 중 하나로 치부됐던 집에 대한 인식이 ‘가꾸어야 할 대상’으로 변화하고 있는 것이다.

집 꾸미기 시대

지난 11일 수원 광교신도시에 위치한 인테리어 업체 허브디자인 사무실서 고유정 대표를 만났다. 고 대표는 15년째 허브디자인을 이끌고 있는 18년 경력의 인테리어 전문가다. 고객의 공간에 전문적 식견을 더하는 일을 주로 한다. 수원 광교는 물론 수도권 지역의 몇몇 주거 공간이 고 대표의 손을 거쳐 새로운 모습으로 탈바꿈했다.

그는 ‘큰돈을 들이지 않고도 주거공간을 예쁘게 바꿀 수 있다’는 생각을 사업철학으로 삼고 있다. 일반적으로 인테리어 업체는 상담을 통해 파악한 고객의 니즈에 전문가의 제안을 얹어 공간을 변화시키는 과정을 따른다. 

고 대표는 “고객과 상담할 때 예산에 대해 먼저 묻는다. 그리고 그 범위 안에서 공간에 어울리는 인테리어를 찾으려 한다”고 말했다.


그렇다고 고객의 모든 요구를 들어주는 것은 아니다. 고객의 주거공간과 어울리지 않는 요구는 과감하게 ‘아니다’라고 말해주는 편이다. 고객이 나무를 보고 있다면 숲을 봐야 하는 게 고 대표의 역할이기 때문이다.

주거 인테리어를 원하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벽지 색깔이나 가구 등 지엽적인 부분에 몰두하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매장에서 좋은 가구를 보고난 뒤 “우리 집에 놓으면 좋겠다”라든가 지인의 집에 방문했다가 “우리 집도 저렇게 꾸미고 싶다”고 느끼는 경우다. 
 

고 대표는 그렇게 되면 집이 예쁘게 나오지 않는다고 조언했다. 주거 공간마다 특징이 있어 좋은 가구나 다른 집의 괜찮은 인테리어가 우리 집에 어울린다는 보장이 없기 때문이다.

고 대표는 전체적인 조화가 우선시 돼야 인테리어를 마쳤을 때 만족할만한 공간을 만들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 “공간을 인테리어로만 100% 채워서는 안 된다”고 전했다. 

30세부터 사업 시작
인테리어 경력 18년

인테리어는 가구, 커튼 같은 패브릭, 소품 등의 배경이 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고객이 가진 가구 등 나무를 보고 전체적인 백그라운드를 만들어 숲을 구성하는 게 인테리어 업체서 해야 할 일이라고 강조했다.

고 대표의 사업방식은 업체에 대한 신뢰감을 높이는 데 큰 역할을 했다. 고 대표에게 인테리어 공사를 맡긴 고객들은 높은 만족도를 드러내며 허브디자인의 영업사원 역할을 하고 있다. 

고 대표는 현재 허브디자인서 맡고 있는 공사의 90% 이상이 소개를 통해 계약이 이뤄졌다고 전했다. 엄마가 딸에게, 딸이 이모에게 소개하는 방식으로 입소문이 사업 성장의 원동력이다.

고 대표는 “사람을 남기자는 생각으로 공사에 임했던 게 영향이 있는 것 같다”며 “슬럼프서 벗어난 계기도 결국은 고객의 연락 한 통이었다”고 털어놨다. 

서른에 사업을 시작한 고 대표에게 30대는 정말 쉴 틈 없는 시기였다. 정말 하고 싶었던 일을 한다는 생각으로 인테리어에 올인한 10년이었다. 그때는 고객의 공간을 가꾸는 재미에 이익을 줄이면서까지 공사를 진행했다.


하지만 40대에 접어들면서 욕심이 생기기 시작했다. 그는 “내가 이렇게 일을 많이 하는데 왜 이익은 적을까, 이만큼 고생하는데 왜 남는 건 없을까 생각하던 시기였다. 말 그대로 초심을 잃었던 때”라고 토로했다. 

하필이면 이 시기에 진행한 공사에서 고객들의 불만도 속출했다. 안팎으로 마음고생을 한 고 대표는 결국 인테리어에 염증을 느껴 손을 뗄 생각까지 하기에 이른다. 그런 슬럼프가 2∼3년간 지속됐다.

그러다 지난해 9월 고 대표는 한 통의 전화를 받는다. 10년 전 허브디자인이 인테리어 공사를 맡았던 한 고객의 연락이었다. 
 

그는 “평소 휴대폰을 두 개 들고 다니는데 당시 하나를 잃어버려 이틀 정도 연락이 잘 안 되던 때였다. 그런데 그 고객이 제 다른 연락처를 어렵게 수소문해서 연락을 주셨다”며 “둘째딸 집 인테리어를 맡기려는데 왜 이렇게 연락이 안 되느냐는 말이 호통처럼 이어졌다”고 웃음 지었다.

이미 다른 업체와 상담까지 마친 고객의 딸이 불만에 찬 얼굴로 사무실을 방문했다. 하지만 10∼20분 고 대표와 대화한 후 딸의 반응이 바뀌기 시작했다. 고 대표는 당시 상황에 대해 “그분이 마음을 열었다”고 표현했다. 그러면서 “그 모습을 보고 ‘아, (인테리어는) 내가 제일 잘할 수 있고 좋아하는 일이지. 지금 이 일을 접으면 나는 바보이면서 낙오자’라고 생각했다”고 회상했다.

나무보다는 숲을 볼 수 있게
고객과 소통 통해 공간 창출

긴 슬럼프를 지나 어렵게 회복한 초심은 ‘인테리어가 하고 싶어 못 견딜 정도였던 때’로 고 대표를 이끌었다. 어린 시절 고 대표에게 인테리어는 오르지 못할 산이자 넘보지 못할 나무였다. 중학생 때부터 인테리어에 흥미를 느껴 방의 가구 배치를 바꾸고 벽지에 페인트를 칠하던 소녀의 꿈은 어려운 가정형편에 막혀 막연한 바람으로만 남았다.

그러나 기회는 우연찮게 찾아왔다. 사회복지학과를 졸업하고 사회복지사로 일하던 고 대표는 여러 가지 상황과 맞물려 1년 만에 일을 그만두게 된다. 

아침 8시 출근, 새벽 퇴근을 1년여 가까이 반복한 그가 원했던 것은 오로지 휴식. 편안한 업무를 원했던 고 대표는 건설회사 비서직에 합격해 6개월가량 일했다. 그러던 중 회사에 인테리어 사업부가 꾸려진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우여곡절 끝에 인테리어 사업부로 옮기게 된 고 대표는 그때부터 능력을 발휘하기 시작했다. 어릴 때부터 관심을 가졌던 분야이기에 전공자보다도 습득이 빨랐다. 또 인테리어에 관련한 모든 게 재미있어 뭘 들어도 잊지 않았다.

업체 직원, 프리랜서 등으로 3년간 담금질을 거친 고 대표는 30세가 되던 해 사업으로 눈을 돌렸다. 고객의 만족보다 돈에 연연하는 몇몇 업체들의 행태에 한창 질리던 시기였다. 초기 1∼2년은 적자를 면치 못했다. 
 

그러나 돈보다 사람을 따라가자는 고 대표의 생각은 사업을 빠른 속도로 연착륙시켰다. 이후 15년간 허브디자인은 숱한 부침을 겪으면서도 성장을 거듭했다.

숨 가쁜 30대를 지나 40대 초반 깊은 슬럼프를 겪은 고 대표는 이제 또 다른 도약을 준비하고 있다. 시스템의 구축과 고객 유치를 위한 공격적인 마케팅이다. 여러 공사를 차질 없이 진행할 수 있도록 손발이 맞는 직원들은 엄선해서 고른 게 그 첫 번째다. 그리고 인테리어에 관심을 보이는 신규 고객들이 허브디자인을 찾을 수 있도록 블로그 작업도 시작했다.

새로운 도약

고 대표는 “지금까지 쌓은 노하우를 이용해 돈을 많이 벌고 싶다”며 “그렇게 번 돈을 사회의 소외당하고 있는 사람들, 특히 소년소녀가장들에게 환원하고 싶다”고 말했다. 이어 “내가 모든 사람들을 보듬을 수는 없지만 돈이 없어 하고 싶은 것을 못하거나 집이 없어 안락함을 누리지 못하는 아이들에게 힘을 줄 수 있다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