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연재> 삼국비사 (56)다짐

2017.10.30 10:25:51 호수 1138호

복수의 칼날을 갈다

소설가 황천우는 우리의 현실이 삼국시대 당시와 조금도 다르지 않음을 간파하고 북한과 중국에 의해 우리 영토가 이전 상태로 돌아갈 수 있음을 경계했다. 이런 차원에서 역사소설 <삼국비사>를 집필했다. <삼국비사>를 통해 고구려의 기개, 백제의 흥기와 타락, 신라의 비정상적인 행태를 파헤치며 진정 우리 민족이 나아갈 바, 즉 통합의 본질을 찾고자 시도했다. <삼국비사> 속 인물의 담대함과 잔인함, 기교는 중국의 <삼국지>를 능가할 정도다. 필자는 이 글을 통해 우리 뿌리에 대해 심도 있는 성찰과 아울러 진실을 추구하는 계기가 될 것임을 강조했다. 
 



“그러지 말고 내게로 와요.”

의자왕이 누운 자세에서 팔을 뻗었다.

“그럴 수는 없습니다.”

말을 마친 사택비가 급히 몸을 돌려 구석에 있는 장식장 앞으로 가서 단검을 뽑아들었다.

그 모습에 의자왕이 기겁하며 자리에서 일어났다.


“왜 그러는 게요, 부인.”

“이런 경우라면 제가 이 세상에 존재할 수 없지요. 그러니 제 손으로 이만 생명줄 놓으렵니다.”

“안 되오, 부인. 부인의 생각이 정히 그러하다면 내 잠시 일을 보고 다시 돌아오리다.”

“아니 되옵니다, 전하. 그도 단지 일시적일 뿐이지 제 존재가 나라를 좀 먹는 형국이라면 제가 없어지는 일이 이롭습니다.”

말을 마친 사택비가 단검을 자신의 목젖 아래로 가져갔다.

의자왕이 급히 팔을 뻗어 칼을 낚아채려 했다.

순간 그 손놀림으로 인해 비수가 사택비의 목을 꿰뚫었다.

사택비의 목에서 검은 피가 흘러내리기 시작하자 의자왕이 소리를 질렀다. 

복수를 다짐하다

“전하!”


의자왕이 눈을 떴다.

햇빛이 창을 타고 들어오는 모습으로 보아 아직도 날이 저물지 않은 듯했다.

마음이 너무나 괴로워서 아침부터 해장을 빌미로 술을 마셨다.

그리고 해가 중천에 떴을 무렵 잠이 들었었다.

소리의 근원지를 바라보았다.

윤충이 근심어린 표정을 지으며 바라보고 있었다.

“전하, 무슨 몹쓸 꿈을 꾸셨사옵니까?”

대답 대신 이마를 만져보았다.

땀으로 흥건히 젖어 있었다.


잠시 고개를 흔들다 자리에서 일어나 앉았다.

“그거 참 몹쓸 꿈이로세.”

“무슨 꿈인데 그러시옵니까?”

“꿈에서 사택비를 만났어.”

“그러면 좋은 꿈 아니옵니까.”

“단순히 그러면 좋으련만, 이 사람이 자신의 뜻을 따르지 않는다고 스스로 목숨을.”

“전하!”

“걱정 마시게. 이제는 괜찮아.”

“너무나 마음에 두셔서 그런 모양이옵니다.”

잠시 고개를 흔들던 의자왕이 크게 기지개를 켜고는 옆에 있는 냉수를 들이켰다.

그 순간 밖에서 소란스런 인기척이 들려왔다.

“전하!”

목소리로 보아 성충이 틀림없다는 생각으로 문을 바라보자 급하게 성충이 들어섰다.

“형님이 기별도 없이 어인 일입니까!”

“전하!”

동생인 윤충의 질문에는 아랑곳하지 아니하고 곧바로 무릎을 꿇었다.

“어인 일이오?”

“신라군에게 당했습니다.”

“뭐라, 신라군에게!”

“신라군의 기습공격으로 일곱 개의 성을 빼앗겼습니다.”

“이 쥐새끼들이!”

성충을 바라보는 의자왕의 얼굴에 힘줄이 솟았다.

“불충한 이놈을 죽여주십시오, 전하!”

“아니오, 짐의 불찰이오. 짐이 궁을 떠나 있는 관계로 그런 일이 일어났으니 이는 하늘이 벌을 내린 게요.”

의자왕이 자리에서 일어나 성충에게 다가섰다.

“일어나시오, 장군.”

“아니옵니다, 전하. 패장, 죽음으로 보답하고자 합니다.”

“허허, 너무 나무라지 마시오. 그러면 전투에 패한 장수보다 더한, 전쟁을 나 몰라라 한 짐은 뭐가 되는 게요.”

꿈에 나온 사택비…그녀 암시는?
윤충의 분노…결사항전에 나선다

의자왕의 진정을 헤아린 성충이 일어나 고개 숙였다.

“신라군의 장군은 누구였소?”

“김유신이었습니다.”

“김유신이라. 그 자는 찬밥 신세라 하지 않았소?”

“물론 그랬었습니다. 하오나 지금은 신라의 병권을 잡고 있다 합니다.”

“혹여 그 자가 누구인지 알고 있소?”

“지난 시절 양주(경남 양산) 총관으로 저희 국경을 유린했던 김서현의 아들입니다.”

“김서현의 아들이라면.”

“관산성 전투에서 성왕을 전사시킨 각간 김무력의 손자입니다.”

“김무력이라. 결국 피는 속이지 못하는구려.”

의자왕의 얼굴 위로 묘한 미소가 흐르기 시작했다.

“이 놈들이 대를 이어 백제를 괴롭힌다. 좋소. 내 이놈의 생명줄을 끊어버리고 신라를 짓밟아버리리다.”

“신에게 선봉을 맡겨주십시오, 전하.”

잠자코 있던 윤충이 앞으로 나섰다.

“그건 차후에 논의하기로 하고. 그래 고구려와 당의 관계는 어찌 진행되고 있소.”

의자왕이 잠시 윤충을 바라보다 성충에게 고개 돌렸다.

“당태종이 연개소문에게 보기 좋게 당했다 합니다.”

“당하다니요?”

“쥐구멍에 틀어박혀 있는 쥐새끼로 수나라 양재만도 못한 놈이라 조롱하였답니다. 그런 연유로 직접 고구려 정벌대에 참여하기 위해 준비를 서두르고 있다 합니다.”

“그렇다면?”

“저놈들이 자력만으로 고구려 정벌에 나서지 않을 듯합니다. 그런 경우라면 신라에도 원군을 요청할 것이고 또 신라는 여하한 경우라도 그를 거절할 수 없는 노릇입니다.”

“그래요?”

“그러니 저희는 준비를 확고하게 다지고 있다가 유사시 몇 배의 응징을 가하면 될 것입니다.” 

“갑시다, 장군.”

고개를 끄덕이던 의자왕이 앞서 나가기 시작했다.

제를 올리다

당나라에 사신으로 갔던 도국과 여러 사람이 효수 당했다는 소식을 접한 연개소문이 날을 잡아 태백산(묘향산)에서 그들의 혼을 달래주기 위해 성대하게 제를 지냈다.

아울러 그들의 가족들에 대해 위로와 함께 과분할 정도의 보상 더불어 그들의 아들로서 나이가 찬 자식들을 수하로 거두어 들였다.

그럴 즈음 당의 수도에 잠입시켰던 첩자 고죽리가 돌아왔다.

연개소문이 보장왕과 선도해와 함께 은밀하게 그를 맞이해 당나라의 상황을 전해 들었다.   

분기탱천한 당태종이 삼십만의 대군으로 고구려 침공과 관련 모든 준비를 마치고 막 진군하려는 순간 신하들이 이세민의 출정을 극력 만류하는 일이 발생했다.

물론 지난 왕조인 수나라 양제의 교훈을 이유로 들었다.

그러나 그들의 만류로는 당태종의 자만심과 노기를 누를 수 없었고 본격적으로 침공을 서둘렀다.

그 일환으로 북쪽의 영주(營州)로 곡식을 나르고, 동쪽으로 고대인성(古大人城)에 곡식을 저장하고 대군을 거느리고 낙양으로 이동했다. 

낙양에 이른 당태종은 영주도독 장검에게 조서를 내려 유주ㆍ영주의 군사 및 거란ㆍ해ㆍ말갈인 등을 거느리고 선발대로 건안성(建安城, 지금의 만주 가이핑)을 공략하도록 지시 내렸다. 

또한 형부상서 장량을 평양도(平壤道, 평양으로 향하는 군사도로) 행군대총관(行軍大總管)으로 삼아 군사 사만 명과 장안과 낙양에서 모집한 군사 삼천 명과 전함 오백 척을 거느리고 내주로부터 바다를 건너 평양성으로 가게 하였다. 
 

<다음 호에 계속>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