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연재> 삼국비사 (49)선공

2017.09.04 09:36:59 호수 1130호

바다를 건너 내주를 치다

소설가 황천우는 우리의 현실이 삼국시대 당시와 조금도 다르지 않음을 간파하고 북한과 중국에 의해 우리 영토가 이전 상태로 돌아갈 수 있음을 경계했다. 이런 차원에서 역사소설 <삼국비사>를 집필했다. <삼국비사>를 통해 고구려의 기개, 백제의 흥기와 타락, 신라의 비정상적인 행태를 파헤치며 진정 우리 민족이 나아갈 바, 즉 통합의 본질을 찾고자 시도했다. <삼국비사> 속 인물의 담대함과 잔임함, 기교는 중국의 <삼국지>를 능가할 정도다. 필자는 이 글을 통해 우리 뿌리에 대해 심도 있는 성찰과 아울러 진실을 추구하는 계기가 될 것임을 강조했다. 
 



사택비가 의자왕의 가슴을 만지며 자신의 나신을 살펴보았다.

“그래서 미운가요?”

“밉고 말고의 문제가 아니오. 부인의 몸에 이상이 있는 게 아닌가 하는…….” 

대답 대신 의자왕의 가슴을 파고들었다.

“정녕 그런 거요!”


“서방님, 서방님께서 이리도 저를 사랑해 주시는데 그럴 리 있겠어요.”

“그러면.”

“서방님께서 너무나.”

“너무나 뭐요?”

차마 대답할 수 없었는지 사택비가 슬그머니 의자왕의 가운데로 손을 뻗었다.

갑작스런 손길에 의자왕의 가운데가 힘차게 고개 들기 시작했다.

의자왕의 시선이 자연스레 그리로 향했고 그제야 의미를 알겠다는 듯 가벼이 한숨을 내쉬었다.

“그러면 자제해야 하는가.”

“무슨 그런 말씀을 하세요. 서방님 품에서 마무리하면 그만큼 좋은 일이 어디 있겠어요.” 

의자왕이 눈을 흘기며 가볍게 사택비의 엉덩이를 쓸자 사택비 역시 눈을 흘기며 온 힘을 다해 의자왕을 껴안았다. 


“그러면 부인 원대로 해주리다.”

말을 마침과 동시에 사택비를 안고 이동했다.

이상 징후

사택비의 몸의 이상 징후가 단순한 사랑 놀음에서 비롯된 것이 아님이 서서히 나타나기 시작했다.

몸이 야위어 가듯 모든 일에 서서히 의욕을 잃어가고 있었고 급기야 몸에서 생기가 엷어지고 있었다. 

어느 순간 그 사실을 인지한 의자왕이 만방으로 치료를 거듭했으나 차도는 보이지 않았고 서서히 사택비가 생명의 끈을 놓아가고 있었다.

그를 바라보는 의자왕의 안중에 궁궐의 일이 들어올 리 없었다. 

“서방님, 죄송해요.”

“그런 말 하지 마시오, 부인.”


사택비가 손을 뻗어 의자왕의 손을 잡자 의자왕이 그 손을 두 손으로 감싸 쥐었다.

“지지리도 못난 제가 서방님 만나 정말로 행복했어요.”

사택비의 끊어질 듯 이어지는 말이 의자왕의 애간장을 녹였다.

“절대로 아니 되오. 나는 어쩌라고.”

말과 동시에 의자왕이 손을 사택비의 등 뒤로 움직여 가슴으로 안아들었다.

가녀린 여체가 눈을 파고들었는지 서서히 눈가에 물기가 고이기 시작했다.

“이 세상에 저처럼 행복한 여자는 없을 거예요.”

“그런 사람이 행복을 버리려 하오.”

“결코 그럴 수는 없지요. 저는 죽어도 서방님을 놓을 수 없어요.”

사택비가 그윽한 시선으로 의자왕을 주시했다. 

“그럽시다. 우리 한 많은 이 세상 함께 마감합시다.”

“안 되지요, 서방님은 아직 하실 일이 많이 남아 있으니 조금 더 계시다가 오세요. 제가 먼저 가서 오매불망 서방님 기다리고 있을게요.”

“아니오. 내 부인과 함께 이 세상 마무리하겠소.”

낮지만 굵은 소리에 사택비가 가느다랗게 미소를 흘렸다.

“왜 그러오?”

“비록 제가 먼저 간다 해도 저는 항상 서방님 곁에 머물 거예요. 그러니 조금도 심려마세요.”

“그럴 수는 없소.”

기어코 의자왕의 눈에서 눈물이 흐르기 시작했다.

“서방님.”  

“말해보오.”

“저를 그리 일찍 보내시렵니까?”

“그게 무슨 말이오?”

“서방님이 살아계시면 저 역시 사는 거고 서방님이 돌아가시면 저 역시 그런 것이거늘.”

의자왕이 가만히 그 말을 새기다가 갑자기 무슨 생각이 일어났는지 사택비의 옷을 벗기기 시작했다.

“왜 그러시나요?”

돌아온 상리현장…당태종의 분노
일어선 양만춘…정예부대 이끌다 

“이대로 당신을 보낼 수는 없소. 아니 영원히 내 품에 가두어 둬야겠소.”

의자왕에 의해 사택비가 알몸이 되었다.

잠시 나신을 바라보던 의자왕이 자리에서 일어나 곧바로 옷을 벗기 시작했다.

옷을 모두 벗어 아무렇게나 팽개치고 사택비를 가지런히 눕혀 그 위에 조심스럽게 자신의 몸을 포갰다. 

앙상한 여인의 몸 위로 단단한 의자왕의 몸이 겹쳐지자 사택비가 호흡이 곤란한지 잠시 몸을 뒤척이다 의자왕의 목을 힘차게 끌어당겼다.

그를 신호로 두 사람의 입이 포개지기를 잠시 의자왕이 정성스럽게 사택비의 몸을 어루만지고 자신의 중심을 사택비의 중심에 깊게 자리했다.

사신으로 왔던 상리현장이 돌아가서 이세민에게 고구려에서 당한 일을 하나도 빠트리지 않고 보고했다.

그를 전해들은 당태종은 차마 그 말이 믿기지 않았는지 장엄에게 지난번보다 더 강도가 심한 내용의 글을 들려 사신으로 보냈다. 

보장왕과 함께 그를 살피던 연개소문이 불같이 노해 사신에게 당장 당나라로 돌아갈 것을 주문했다.

그러나 당태종의 위세를 업은 장엄이 자신의 뜻을 관철시킬 때까지 돌아가지 않겠다고 고집을 세웠다.

가소롭게 생각한 연개소문은 결국 그를 굴속에 가두어 버렸고, 그 일이 당에 알려지자 이세민의 분노가 타오르기 시작했다.

장엄을 굴에 가두어 이세민의 분노를 자극한 연개소문이 즉각 선도해와 함께 북쪽 국경을 들러보고 평양성으로 돌아와 보장왕과 함께 주요 장군들을 소집했다.

물론 당나라와의 일전을 위한 조처를 강구하기 위함이었다. 

그 자리에 중앙군을 지휘하고 있는 연정토를 비롯하여 안시성 성주인 양만춘, 북부욕살(褥薩, 지방장관)인 고연수, 남부욕살인 고혜진 그리고 전략에 능한 고정의 등이 참석했다.

자리가 정돈되자 보장왕이 참석자들의 노고를 일일이 치하하고 연개소문에게 발언권을 넘겼다.

“이미 여러분이 주지하고 있다시피 이 자리는 당나라와의 결전을 앞두고 확고한 다짐의 자리가 될 것입니다.”

운을 뗀 연개소문이 잠시 사이를 두고 참석자들의 면면을 가만히 살폈다.

“그동안 우리 민족의 판도가 크게 왜곡되고 말았음은 여러분들도 잘 알고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즉 지금의 당나라 놈들이 장악하고 있는 땅의 원래 주인은 우리 민족이었습니다. 그런 연유로 지난 시절 우리의 선조들께서 고토를 회복하기 위해 무수히 피를 흘렸습니다. 그래서 금번에 당나라와 자웅을 겨루고 고구려의 혼을 살리며 아울러 우리 민족이 제 자리로 돌아가도록 하는 일에 진력할 것입니다. 아울러 그를 실천하기 위해 내 직접 당나라의 수군기지인 내주로 가서 적을 타격하려 합니다.”

자웅을 겨루다

“당의 내주라면 한참 거리인데 어떻게 가시렵니까?”

양만춘이 이해되지 않는다는 듯 고개를 갸웃거렸다.

“요동반도 끝(대련)에서 바다를 건널 계획이오. 그곳에서 출발하면 그다지 오래 걸리지 않을 것이오.”

“배로 말입니까?”

순간 고정의가 목소리를 높였다.

“이미 막리지 대감께서 그에 대한 준비를 마치셨습니다.”

선도해가 차분하게 말을 건네자 고정의가 가볍게 고개를 끄덕였다.

“정예병 오백을 거느리고 곧바로 내주를 치려하오.”

“오백이오!”
 

<다음 호에 계속>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