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가족과 함께 하는 체험 여행 ②사북석탄유물보존관

2017.01.09 10:12:33 호수 1096호

시간이 그대로 멈춘 '정선 최대 탄광'

겨울이면 바빠지는 곳이 스키장이다. 하얀 설원을 달리고 싶은 사람들은 주말이 기다려지게 마련이다. 정선 겨울 여행은 스키장의 신나고 즐거운 시간과 더불어 한때 스키장보다 북적이고 휘황찬란하던 탄광의 흔적을 만나는 시간으로 꾸며보면 어떨까?



하이원리조트 입구에 사북석탄유물보존관(탄광문화관광촌)이 있다. 정선은 1950 년대 초 함백탄광이 문을 연 뒤 1960년대 초부터 사북탄좌, 원동탄좌에 이어 1963년 동원탄좌 사북광업소가 영업을 시작했다.

석탄 산업은 1966년 태백선이 고한까지 개통되고, 사람이 몰리면서 호황을 누렸다. 그중 동원탄좌 사북광업소는 23개 광구(3609ha)를 소유한 동양 최대 민영 탄광으로, 1985년에는 전국 석탄 생산량의 13%를 차지했고, 재직 광원만 6300명에 이르며 정점을 찍었다.


사북석탄유물보존관 입구에 들어서면 높이 48m 수직갱 타워가 보인다. 수갱 타워 혹은 권양기라 불리는데, 지상과 지하 갱도로 광부와 석탄을 옮기던 시설이다. 전시관 입구에는 ‘나는 산업전사 광부였다’라는 투박한 글씨와 환하게 웃는 광부의 얼굴 그림이 있다. 사북석탄유물보존관은 옛 동원탄좌의 행정동 건물 전체가 전시관이다.

검고 낡은 사무실에는 작업복 분류 보관대, 작업복을 수선하던 재봉틀, 2004년 10월에서 멈춘 달력과 월중 행사표가 있다. 월중 행사표에는 긴박한 당시 상황이 그대로 남았다. ‘10일, 생존권 사수 투쟁’ ‘28일, 폐장 찬반 투표’ ‘30일, 송별 회식’ 등이다. 특히 ‘31일, 마지막 세탁’이라는 글자는 2004년 10월에서 멈춘 달력과 함께 묘한 애틋함이 느껴진다.
 

광부들의 눈이 되어준 안전등의 충전실, 1100명이 한꺼번에 목욕할 수 있는 종합 욕장과 장화를 세척하던 세화장, 광부들이 사용하던 채탄 장비 등이 모두 전시된다. 2층 문서 자료실에는 사원증과 도장, 월급봉투 등 광부들의 애환이 담긴 물건이 전시된다.


2층 끝자락에는 광부의 하루 시작을 알리는 수갱 탑승장이 있다. 감옥의 쇠창살처럼 생긴 철문 뒤로 안전에 대한 문구가 빼곡하다. 2층 창밖으로 펼쳐지는 풍경도 석탄 산업의 현장이다. 넓은 야외 공간에 광차와 인차, 버스 등이 전시되고, 그 너머로 석탄을 캘 때 나온 경석(폐탄)을 쌓아놓은 폐탄장이 높은 언덕이 됐다. 언덕 곳곳에 자연적으로 터를 잡고 자란 나무도 보인다.
 


사북석탄유물보존관은 국내에서 유일하게 광차를 타고 갱도로 들어가는 체험을 해볼 수 있는 곳이지만, 동절기에는 운영하지 않는다. 사북석탄유물보존관은 동절기(12월∼4월)에 다소 관람 제약이 따른다. 매주 토·일요일과 공휴일은 휴관하며, 오후 4시까지 입장해야 관람이 가능하다.
 

사북석탄유물보존관과 비교해볼 만한 곳도 있다. 사북서 만항재 가는 길에 폐광과 예술이 어우러진 삼탄아트마인이다. 2001년 폐광된 삼척탄좌가 문화예술 공간으로 거듭났다.

드라마 〈태양의 후예〉 촬영지로 알려지면서 더 많은 여행객이 찾는다. 정선군 최초의 역사인 함백역과 함백탄광이 있던 신동안경다리탄광마을도 정선 탄광 역사의 단면을 보여준다.
 

사북석탄유물보존관서 정선 읍내로 갈 때는 화암면을 거치는 것이 좋다. 정선 읍내로 이어지는 어천을 따라 도로가 나란한데, 흔히 ‘정선의 소금강’이라 불린다. 몰운대, 화표주, 화암약수 등 화암8경이 펼쳐진다. 특히 ‘금과 대자연의 만남’이라는 테마로 조성된 화암동굴은 꼭 만나보자.

전성기 누리던 동양 최대의 민영 탄광
광산 유물 수집·보관·전시로 남긴 역사

천포광산의 상부 갱도, 하부 갱도로 이어지는 365개 수직계단, 석회동굴의 장관이 펼쳐지는 하부 갱도 등 관람 동선이 1.8km에 이른다. 천포광산의 역사와 석회동굴 생성물, 90m에 이르는 수직 계단 등이 색다른 풍경과 재미를 선사한다.

정선은 아리랑의 고장이다. 지난해 8월 정선 읍내 아리랑센터에 아리랑 박물관이 개관했다. 아리랑의 역사와 정선아리랑 이야기, 아리랑 관련 음반과 잡지, 성냥 등이 전시된다. 아리랑의 발상지인 아우라지도 빼놓을 수 없다. 송천과 골지천 물길이 합수해 어우러진다고 아우라지라는 이름이 붙었다. 지금은 송천과 골지천 사이에 다리가 놓여 쉽게 다녀올 수 있다.


아우라지서 흘러내리는 물줄기는 정선 읍내에서 어천과 만나 동강이 된다. 병방치라 불리는 고갯마루에는 아리힐스의 스카이워크와 짚와이어가 동강의 비경을 제대로 보여준다.

아리랑의 고장


스카이워크는 기암절벽 바깥으로 돌출된 길이 11m 구조물로, 발아래 강화유리를 통해 아름다운 동강을 짜릿하게 즐길 수 있다. 짚와이어는 해발 607m 병방치에서 325.5m 표고 차를 순간적으로 내려오는 하강 시설이다.

짚와이어 아래로 동강을 따라 30km에 이르는 동강로가 있다. 해마다 3월말이면 우리나라 특산 식물인 동강할미꽃이 암벽을 따라 피고 지는 곳이다. 느티나무 고목이 있는 정선초등학교 가수분교, 나리소와 백운산, 동강과 도로가 나란히 이어진다.

 

<여행 정보>

당일 여행 코스
사북석탄유물보존관(탄광문화관광촌)→하이원리조트 곤돌라→삼탄아트마인→정암사

1박 2일 여행 코스
- 첫째 날: 정암사→삼탄아트마인→사북석탄유물보존관(탄광문화관광촌)→ 신동안경다리탄광마을→동강로 드라이브
- 둘째 날: 아우라지→아리랑박물관→아리힐스(스카이워크, 짚와이어)→화암동굴→몰운대

관련 웹 사이트 주소
- 정선관광(정선군청 관광 홈페이지) www.ariaritour.com
- 삼탄아트마인 samtanartmine.com
- 정암사 www.jungamsa.com
- 아리힐스 www.ariihills.co.kr
- 아리랑박물관 www.jacf.or.kr

문의 전화
- 정선군종합관광안내소 1544-9053
- 정선군청 문화관광과 033-560-2564
- 사북탄광문화관광촌 033-592-4333
- 삼탄아트마인 033-591-3001
- 정암사 033-591-2469
- 아리힐스 033-563-4100
- 아리랑박물관 033-560-3031

대중교통 정보
기차  청량리역-사북역: 무궁화호 하루 4회(07:05~23:25) 운행, 약 3시간30분 소요 
(문의: 레츠코레일 1544-7788, www.letskorail.com/ 사북역 033-592-7780)
버스 서울-고한사북: 동서울종합터미널에서 하루 30회(06:00∼23:00) 운행, 약 2시간50분 소요
(문의: 동서울종합터미널 1688-5979, www.ti21.co.kr/ 고한사북공용버스터미널 033-592-9951, www.bustaja.com)

자가운전 정보
중앙고속도로 제천 IC→영월 방면 우측→신동교차로에서 단양·영월 방면 우측 국도38호선→증산터널 지나 사북교차로에서 하이원리조트 방면 우회전→사북석탄유물보존관(탄광문화관광촌)


숙박 정보
- 상유재: 정선읍 봉양3길, 033-562-1162, www.sangyujae.com (한옥스테이)
- 하이원리조트: 고한읍 하이원길, 1588-7789, www.high1.com
- 엘스관광호텔: 사북읍 사북1길, 033-591-7300, www.lshotel.co.kr
- 옥산장: 여량면 여량3길, 033-562-0739, www.oksanjang.pe.kr
- 도사곡휴양림: 사북읍 지장천로, 033-560-3456, dosa.jsimc.or.kr
- 동강전망자연휴양림(캠핑 전용): 신동읍 동강로, 033-560-3464, donggang.jsimc.or.kr/index.asp

식당 정보
- 옥산장돌과이야기: 곤드레밥정식, 여량면 여량3길, 033-562-0739, www.oksanjang.pe.kr
- 원조순대국밥: 곤드레순대국밥, 사북읍 사북2길, 033-592-2129
- 만항곤드레닭집: 곤드레고등어찜, 고한읍 함백산로, 033-591-5002
- 밥상머리: 한방토종닭백숙, 고한읍 함백산로, 033-591-2030
- 동광식당: 황기족발, 정선읍 녹송1길, 033-563-3100
- 아리랑맛집: 콧등치기, 정선읍 5일장길, 033-563-1050

축제와 행사 정보
- 정선고드름축제: 2017년 1월20일~2월4일, 정선읍 제2교 조양강·공설 운동장 일원, 033-560-3016(정선아리랑문화재단)

주변 볼거리
몰운대, 화암약수, 반월에 비친 그림바위마을, 대촌마을(〈삼시세끼〉 촬영지), 오장폭포, 정선레일바이크, 백두대간생태수목원, 구미정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