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개발’ 광주시 오포 현주소

2016.10.04 10:34:17 호수 0호

나무 37만6200그루가 사라졌다

[일요시사 취재1팀] 박창민 기자 = 숲과 옹달샘은 이미 사라진 지 오래다. 연립주택과 빌라만 빼곡 들어찼다. 바로 경기 광주시 오포의 현주소다. 경기 광주시 오포가 난개발로 신음하고 있다. 오늘날 오포가 어쩌다 이 지경이 된 걸까. 더 큰 문제는 아무도 책임질 생각이 없다는 점이다.



광주시는 10여년 전 환경 친화적인 이미지를 표현하기 위해 슬로건으로 ‘Clean’을 내걸었다. 여기에 ‘맑고 풍요로운’까지 추가했다. 자연경관 속에 맑은 물, 깨끗한 공기, 푸른 숲이 어우러진 팔당상수원보호 청정도시를 표방했던 것.

▲뽑히는 산림 = 산림청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현실과 달랐다. 광주 지역에서 침엽수, 활엽수 등이 자리 잡았던 산림 상당수가 10년여 동안의 난개발 속에 사라졌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광주 지역의 산림면적은 1995년 침엽수 9598㏊, 활엽수 1만6508㏊에 달했다. 여기에 혼효림(두 종류 이상의 수종으로 구성된 산림) 규모 3109㏊를 더해 총 2만9935㏊로, 수도권에서 대표적인 산림지역으로 자리 잡았다. 이후 산림(총면적)은 1999년 2만9772㏊, 2000년 2만9642㏊ 등 약간 감소하는 변화폭을 보였다.

맑고 풍요로운?

개발에 필요한 연간 100㏊ 정도의 산림만 훼손될 뿐이었다. 가장 최근 자료인 2014년 광주지역 산림 총면적은 2만8681㏊로, 15년 만에 1254㏊가 사라졌다. 여의도 면적(290ha)의 4.5배의 산림지역이 자취를 감췄다. 1㏊당 평균 300∼1000그루의 나무가 심기는 것을 들면 최소 37만6200그루의 나무가 개발의 톱날에 잘려나간 셈이다.

▲늘어나는 세대 = 광주시 개발자료를 분석하면 그 이유를 알 수 있다. 광주시 소규모 공동주택(빌라)허가 세대 건수는 2011년 오포읍 지역에서(신현·능평·양벌 등) 1527건에서 5년 만인 2015년 2313건으로 약 1.5배 증가했다. 이는 능평·신현리에 위치한 아파트 1555세대(4개 단지)를 뛰어넘는 수치다. 반면 광주시 중심 지역인 송정동(회덕·탄벌·목현 포함)의 건축허가 건수는 2011년 1060건에서 2013년 738건, 2014년 848건 등 줄어드는 추세다.


오포지역의 건축허가 건수는 지난 1월 기준으로 총 1만256건. 이 가운데 9811건이 착공됐다. 착공예정·사용승인예정도 총 2482건으로, 타 지역보다 약 2.5배 높다.

▲부족한 생활기반시설 = 이에 반해 오포 지역의 주민 생활기반시설은 부족하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교육시설 부족은 주민들이 겪는 불편 중 가장 크다. 능평·신현리 지역에는 유치원이 없다. 어린이집들이 있긴 하다. 그러나 교사 대 원생 비율이 맞지 않는다. 교사 1인당 20∼30명 아이를 돌보는 실정이다.
 

초등학교는 1961년 설립된 광명초등학교가 유일하다. 이 때문에 ‘교실 과밀화’로 학생들이 인근 학교로 위장 전입을 감행하고 있다. 물론 오포 추자리에 오포초등학교가 있다. 하지만 분당 경계지역인 능평·신현리와는 관계없는 학군이다.

여의도 면적 4.5배 산림지역 자취 감춰
‘Clean’ 슬로건 내걸고 여기저기 공사중

▲불안한 안전 = 주민들의 안전 문제도 심각하다. 응급의료시설로 지정된 병원은 광주시 중심 지역에 위치한 1개 병원밖에 없다. 다른 지역 병원을 찾아가야만 한다. 병원 찾다 큰일 당할 수 있는 곳이 오포라는 지적이다.

한 지역에 인구가 집중되면서 추자리에 있는 오포파출소 1개가 이 지역 전체 치안을 맡은 실정. 그나마 2014년 신현·능평·문형리를 담당하는 오포 서부파출소가 개소했다. 그렇지만 여전히 산길을 따라 출동 거리가 10km를 웃돌고 있다. 산에는 대부분 주택이 빼곡하게 들어찼다. 이곳은 인구 유동이 현저히 낮다. 가로등이나 CCTV 도 부족, 밤길 치안이 불안한지 오래다.

▲교통난 심화 = 신현·능평리는 ‘분당권 프리미엄’이라는 건설회사의 홍보로 급격한 개발이 이뤄진 지역이다. 하지만 출퇴근 시간에 차량으로 분당 중심가까지 이동하려면 2시간 이상이 걸리기도 한다. 눈이 많이 오는 겨울철에는 대중교통 운행을 중단하는 경우도 다반사다. 이 지역은 2010년 이후 난개발로 인구는 급증했지만, 분당과 연결된 도로 여건은 수십 년 전 그대로다.

광주시청 관계자는 “오포 난개발 건은 너무 광범위하다”며 “더 이상은 (윗선의) 승낙이 있어야 말할 수 있다”고 조심스러워 했다. 다른 관계자는 “오포 난개발은 수요가 많아서 발생했다”면서도 “그래서 광주시 성장관리 방안을 찾고 있지 않으냐”고 민감한 반응을 보였다. 

“방안 찾는 중”

박철성 다우경제연구소 소장은 “아파트 인허가 비리로 진통을 겪었던 오포다. 그런데 이제는 감히 손을 댈 수 없을 정도가 되어 버렸다”며 “광주시를 비롯해 관계부처가 이제라도 오포 난개발의 실상을 정확히 파악하고 시민을 위한 대책과 정책을 내놓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min1330@ilyosisa.co.kr
> 

 

<기사 속 기사> 2005년 오포 비리 이후…
비리로 얼룩졌던 ‘오포 비리’가 터진 지 11년이 흘렀다.

2005년 경기도 광주시 오포 아파트 인허가를 둘러싼 비리가 일파만파로 확산되면서 결국 '게이트'로 확산됐다. 당시 오포 비리와 관련, 박혁규 전 의원과 김용규 전 광주시장, 한현규 전 경기개발원장이 쇠고랑을 찼고, 개발사 측 관계자들도 줄줄이 구속됐다.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3부(이기택 부장판사)는 2006년 2월 2일, 경기 광주시 오포읍 주택조합 아파트 건설 등과 관련, 15억원의 금품을 받은 혐의(특정범죄가중처벌법상 알선수재)로 구속기소 된 한 전원장에게 징역 3년과 추징금 11억원을 선고한 바 있다. <민>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