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8일 국회 농림수산식품위원회 소속 윤영 한나라당 의원은 미분양 주택의 급증, 건설업체의 부실화 및 부도 등 건설경기 악화가 날로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농협의 PF대출 문제가 극에 달했다고 밝혔다.윤 의원이 농협으로부터 제출받은 ‘PF대출 현황’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8월 현재 농협의 PF대출 금액은 9조532억원에 달했으며, 이중 부동산 PF대출은 7조8580억원으로 지난 2005년 2조3408억원에 비해 236%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농협의 PF대출에 대한 기업들의 연체금액이 6037억원으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뿐만 아니라 2005년 연체금액 84억원 대비 무려 72배나 증가한 것은 물론 연체율도 6.67%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와 함께 농협의 PF대출 후 부도난 8개의 업체의 대출액이 1258억원으로 이 중 4개 업체의 대출금 569억원은 회수가 불가능한 것으로 드러났다는 설명이다.
또 PF대출 9조532억원의 건전성을 살펴보면 정상이 5조7861억원인 63.9%에 불과했으며 비우량 대출로 받지 못할 위험이 높은 대출인 고정이하 대출금액이 8225억원인 9.1%에 달해 부실채권의 우려가 심각하다고 지적했다.
이밖에도 윤 의원은 PF부실채권비율이 2006년 46억원에서 불과 5년 만에 8225억원으로 178배나 증가했다고 전했다.
아울러 윤 의원은 수도권에 비해 상대적으로 분양율이 저조한 비수도권으로 부동산 PF대출금이 2조2663억원을 기록했고 도급순위 100위 이하의 건설업체도 수십 개에 달하고 있어 문제가 더욱 커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윤 의원은 “현재 부동산시장 침체로 사업이 중단되고 시공사부도가 확산되고 있어 PF대출에 대한 부실위험이 더욱 커지고 있는 상황”이라 말했다.
윤 의원은 이어 “농협은 농업인 조합원의 경제적 이익 향상을 위해 존재하는 만큼 PF대출 사업장의 선제적 관리를 통한 부실 위험을 최소화하는 것은 물론 리스크 관리에 각별한 신경을 써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