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험천만' 서울 한복판에 화력발전소, 왜?

2015.11.23 10:35:33 호수 0호

폭발하면 대참사 ‘위험한 동거’

[일요시사 취재1팀] 김태일 기자 = 최근 서울한복판에서 수명이 다한 화력발전소를 지하화하는 작업이 진행 중이다. 도심에 대규모 지하발전소를 건설하는 것은 세계 최초다. 이것을 두고 일각에서는 졸속추진이라는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당인리발전소’로 더 알려져 있는 서울복합 1·2호기 발전소의 지하화 작업이 시민들의 반대와 우려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진행되고 있다.



중추적인 역할?

주변 미관과 조화를 이루기 위해 발전소 상부를 공원으로 조성하고, 4·5호기는 ‘문화창작발전소’로 조성해 생활체육시설·도서관·박물관·공연장·한강수변공간과 연계한 복합문화벨트로 만든다는 계획이지만, 세계최초로 도심 지하에 건설되는 발전소이기 때문에 안전성이 검증되지 않아 인근 지역주민들의 불안감은 증폭되고 있는 상황이다.

한국전력기술이 설계, 두산중공업이 주기기공급, 포스코건설 컨소시엄이 토건공사를 담당하게 된 이번 사업은 대규모 발전소의 지하화와 관련, 세계 최고 수준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전문기관의 위험성 평가를 통해 설계하고 전문기관의 안전성에 대한 검증을 실시한다는 방침이다.

연간 1000억원에 가까운 에너지절감과 연간 27만4000톤의 이산화탄소 절감으로 국가 에너지정책에 부응하고, 서울의 유일한 전력공급시설로서 서울 전력사용량의 9.8%를 공급하고 비상시 국가중요시설에 비상전력을 공급하는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 사업은 지난 2006년 제3차 전력수급계획에 반영된 이후 발전소 폐지, 고양시로의 지역 이전, 다시 지하화 재추진까지 6년여의 기간이 소요됐으며 그동안 정치권, 지자체, 지역주민 등 복잡한 이해관계자 간 수많은 갈등을 보여 왔던 게 사실이다.


현재 화력발전소를 둘러싼 주민들의 반발은 여전히 진행되고 있다. 많은 지역주민들이 만에 하나 발생할지 모르는 폭발사고에 큰 우려와 불안감을 표시하고 있다. 이들은 사업시행 주체인 한국중부발전을 비롯해 마포구청, 산업통상자원부, 해외전문가를 포함한 대내외 전문가가 참여해 안정성 검증을 철저히 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서울화력발전소 폐쇄주민대책위원회(대책위) 등에 따르면, 가스충전소의 1000배에 달하는 공간에 지하 발전소를 건설하는 것은 시민의 목숨을 담보로 하는 실험적 행위라는 지적이다.

대책위 관계자는 “대규모 부지의 지하를 30m 깊이로 파 발전설비를 건설하겠다는 것은 검증이 안 된 사업인 만큼 안전성 확보가 필수”라며 “지자체와 발전소 측은 세계 최초라는 타이틀을 홍보할 뿐 불안 해소 노력을 하지 않고 있다”고 강력 비판했다.

이미 수명 다해 지하화…마포에 작업 논란
주민들 반발 거세 “졸속행정 갈등 부추겨”

특히 화력발전소의 원료인 천연액화가스(LNG)는 공기보다 가벼워 지상에서는 노출돼도 흩어져 사고 시 피해가 적지만 지하에선 대형참사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게 대책위의 주장이다. 마포구청 측은 “사업인가 전에 관계행정기관 등과 환경영향평가에 대한 사전협의를 거쳐 사업계획 인가에 반영했기 때문에 문제가 없다”고 밝혔다.

시민사회 역시 현재 마포구 당인동·합정동 인근에 건설 중인 서울화력발전소가 여러 심각한 문제를 안고 있다며 반발하고 나선 상황이다. 무엇보다 액화천연가스 발전소라는 위험 시설물을, 검증되지 않은 지하화 공법으로 시도한다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사고나 관리소홀로 인해 가스가 유출될 경우 그 폭발력은 상상을 초월한다는 주장이 지배적이다.

한 사회단체는 깊이 30미터를 파서 1m 두께의 뚜껑을 덮어 건설되는 지하화력발전소는 가스가 지상으로 폭발했을 경우 소규모 저장탱크라도 반경 50m 이내 건물 등을 모두 파괴할 수 있음을 감안한다면, 지하 3만6000㎡에 응축된 가스가 폭발할 경우, 그 파괴력은 마포구 일대는 물론 그 외 도심지역에도 커다란 피해를 줄 것이라고 예측했다.

전문가들도 “만에 하나라도 지하발전소가 사고 또는 과실에 의해 폭발할 경우 히로시마 원폭과는 비교할 수 없을 만큼 커다란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발전소 관계자는 “새로 들어설 지하발전소에는 LNG 중간저장탱크가 별도로 있지않기 때문에 지하에서 폭발할 위험이 없다”며 “또 배관을 통해 공급되는 가스가 조금이라도 누출이 되면 즉각 밸브가 차단되도록 설비를 갖추고, 자동 환기 시스템도 구축할 계획”이라고 설명하며 안전성 논란에 대해 반박했지만 불안을 잠식시키기에는 역부족이었다.

2008년 마포구 주민들의 반대로 계획이 무산됐던 서울화력발전소 지하화 계획은 2010년부터 재추진됐다. 여러 행정소송이 걸리는 듯 난항에 직면하던 이 계획은 2012년 8월 서울시 행정심판위원회에서 발전소 측의 손을 들어줌에 따라 2013년 9월 착공식을 단행했다.


세계 최초 시도

현재 무엇보다 주민들이 집중하고 있는 문제는 “왜 이런 위험 시설물을 세계 최초로 꼭 지하에 만들어야 하는가”이다. 그 어느 나라에서도 지하에 발전소를 짓는 경우는 없다는 이유에서다. 특히 주민들과의 적극적인 대화와 소통이 거의 없이 진행되고 있다는 게 더욱 큰 반발심을 이끌어 내고 있다. 대다수 주민들은 “화력발전소 건설이 본격화 된 지금이라도 기술적인 부분을 투명하게 공개해 안정성을 검증받아야 한다”고 한목소리를 내고 있다.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