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초대석> 전 WBC 챔피언 박찬희

2015.05.11 11:10:31 호수 0호

“박지성 인기는 댈 게 아니었죠”

[일요시사 취재1팀] 박창민 기자 = 영웅이었다. 1970년대 박찬희 선수는 한국의 매니 파퀴아오였다. 그의 경기가 있는 날이면 동네 사람들은 TV 앞에 모였다. WBC(세계권투평의회) 챔피언에 오르며 최초로 5차 방어전까지 성공했던 그는 그야말로 국민 영웅이었다. 한국프로복싱의 황금기를 열었던 그가 어느새 환갑을 바라보고 있다.  

 


“아이고, 그게 복싱인가” 지난 3일 세기의 대결이라고 불렸던 파퀴아오와 메이웨더의 경기를 보고 박찬희 선수가 이렇게 말했다. 이어 “권투를 좋아하는 팬이나 전문가들도 모두 실망스러웠던 경기”라고 말했다. 하지만 그는 젊었더라면 한 번쯤 정말 붙어보고 싶은 상대들이라고 평가했다. 
 
노병의 추억
 
그는 한국이 낳은 복싱선수 중 최고의 순발력과 기량을 겸비한 것으로 회자된다. 1974년 고등학교 2학년 때 테헤란아시안게임에서 금메달 획득. 아마추어 전적으로 127전 125승으로 경의적인 기록. 이어 1979년 프로데뷔 1년8개월 만에 멕시코의 미겔 칸토를 물리치고 WBC 플라이급 챔피언에 올랐다. 그가 23살 대학교 3학년 때였다.
 
미겔 칸토는 14차례 타이틀을 방어 중이었으며 링의 대학교수라 불리는 멕시코 영웅이었다. 이후 박 선수는 5차례 타이틀 방어를 한다. 한국인으로서 최초로 타이틀 방어를 5차례까지 갔다. 하지만 그는 1980년 일본의 오쿠마쇼지와의 경기에서 타이틀을 내주게 된다.
 
박 선수는 마지막 6차 방어전 당시 “시합 날 손 하나 까닥하기도 싫었다”고 밝혔다. “세계 타이틀전을 두 달에 한 번 꼴로 했다. 쉴 시간도 없었다. 또 운동만 하니깐 너무 힘들었다.” 보통 세계챔피언의 방어전은 4∼6개월 간격으로 치러지는 게 정상이다. 반면 박 선수는 지나친 경기 일정으로 혹사당했다.  
 

“날 제대로 한 번 때려라” 사람들은 그가 오꾸마쇼지의 페이스에 밀려 누적된 공격에 KO패를 당한 것으로 알고 있다. 하지만 그는 너무 지친 나머지 자신이 KO패를 당하더라도 빨리 경기가 끝나길 바랐다. 
 
그는 “너무 힘들었지만 막상 경기가 시작되니깐 상대방의 주먹이 피해졌다”며 “빨리 쉬고 싶다는 생각밖에 들지 않았다”고 말했다. 하지만 당시 경기는 9회까지 가는 등 접전을 벌였다. 9회 초반 그는 오꾸마쇼지의 보디공격으로 KO패를 당했다. 박 선수는 “배를 한 대 맞았는데 그냥 너무 힘들어서 주저앉았다”며 “그래서 시합을 포기했다”고 말했다. 

부와 명예 누렸지만…
은퇴 후 어려움 겪어
 
그는 “국민한테 미안한 얘기지만 그날 시합에 지고 나니깐 너무 편하고 좋았다”며 “세계 챔피언이 될 때보다 챔피언을 빼앗겼던 그 날이 더 좋았다”고 말했다. 세계 챔피언 타이틀을 방어하는 동안 그가 얼마나 정신적, 육체적으로 힘들었는지 잘 보여주는 대목이다.
 
 
“박찬희 데리고 오면 출연시켜줄게” 1980년 MBC의 한 PD가 가수 조용필에게 했던 말이다. 당시 박찬희는 방송사들이 가장 섭외하고 싶은 1순위 스타로 통했다. 그 시절은 박찬희가 TV에 나오면 시청률이 80%가 나왔다고 전해진다. 반면 방송에 나오고 싶어 했던 조용필은 신인 가수였다.
 
박 선수는 “TV 출연을 별로 좋아하지 않았다”며 “조용필이 나에게 같이 방송에 출연하자 부탁했었다”며 당시 출연 비화를 전했다. 이 때문에 박 선수를 알고 있는 이들이라면 당시 그의 인기를 “박지성의 100배”라고 말했다. 박 선수는 “70∼80년대 인기 스포츠 종목은 복싱밖에 없었다”며 “스포츠 스타들이 연예인들보다 더 잘나갔던 시절”이라고 말했다. 
 
박 선수 지인은 “전두환 전 대통령의 동생인 전기환씨가 박 선수를 불렀을 정도다”며 “그만큼 그의 인기는 대단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오늘날 복싱은 옛날 같은 영광을 누리지 못한다. 오히려 비인기 종목으로까지 전락했다. 박 선수는 “복싱은 가난한 나라에서 인기가 많다. 한국 복싱이 호황이던 시절도 가난한 시절이었다”며 “모두가 먹고살기 위해 복싱을 했다. 당시 한국에서 많은 챔피언이 나올 수 있었던 이유다”고 말했다. 그는 대표적인 예로 필리핀의 파퀴아오를 주목했다. 파퀴아오 역시 가난한 필리핀의 빈민가 출신으로 세계 정상에 오른 인물이다. 
 
 
그는 한국 복싱이 발전할 수 없는 이유를 ‘헝그리 정신의 부재’로 꼽았다. 박 선수는 “요즘 도장에서 헝그리 정신으로 운동시켰다간 다 망할 것”이라며 “어쩔 수 없는 시대적 흐름”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정부를 향해 “챔피언한테 관심은 많지만, 챔피언을 키우는 데는 관심이 없다”고 쓴소리를 했다. 그는 비인기 종목이라도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을 촉구했다.
 

은퇴한 운동선수들은 대체로 힘든 시기를 보낸 것으로 알려졌다. 2014년 대한체육회가 은퇴 선수 2942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43%에 해당하는 1272명이 직업이 없다고 응답했다. 이들은 어릴 적부터 운동만 하고 살아왔다. 이 때문에 은퇴 후 사회적 부적응 등 어려움을 겪는다. 박 선수도 마찬가지였다. 
 
그는 1981년 24살의 나이로 선수생활을 은퇴했다. 박 선수는 당시 2억원의 돈을 벌었다고 밝혔다. 이는 현재로 환산하면 약 100억원이 넘는 돈이다. 하지만 이 돈은 불과 몇 년 사이에 다 없어졌다. 
 
30년 전 함성 아직도 귓가에
타이틀 뺏긴 날이 가장 행복
 
박 선수는 “은퇴 이후 여기저기서 ‘돈 빌려 달라’ ‘보증 좀 서주라’ ‘같이 사업하자’ 등으로 돈이 5∼6년 사이 다 없어졌다”고 말했다. 이어 “할 줄 아는 게 운동뿐이니 주변 사람의 말만 믿었다가 쪽박을 많이 찼다”고 토로했다. 또 박 선수는 “세계 챔피언 방어를 실패한 것은 무리한 일정 때문”이라며 “매니저는 시합에 나가기만 해도 돈벌이가 되니깐 경기 일정을 무리하게 잡았다”고 밝혔다. 당시 박 선수의 대전료는 3000만원에 달했다. 
 
 
박 선수는 지인을 통해 이곳저곳 전전하는 등 선수생활 은퇴 후 어려운 시절을 보냈다고 밝혔다. 하지만 그는 세계 챔피언 출신이라는 경력 덕분에 SBS 해설위원, 공군사관학교 지도교수 등을 지냈다. 
현재 그는 한 무역회사에서 상무를 지내며 안정된 생활을 하고 있다. 박 선수는 “주현무역이라는 곳에서 김영신 회장님 밑에서 일을 배우고 있다”며 “복싱 선수가 매니저가 있는 것처럼 현재 김 회장님은 나의 매니저같은 분이다”고 말했다. 
 
“영웅이었다”
 
박 선수는 벌써 환갑을 바라보는 나이가 됐다. 시간이 흘러 그를 아는 사람도 많이 줄었다. 현재 그의 존재가 잊혀진 게 사실이다. 하지만 아직 그를 아는 사람은 ‘박찬희 정말 대단했지’라며 엄지손가락을 치켜세운다. 모두가 배고프고 힘든 시절 박찬희라는 존재가 국민에게 얼마나 큰 위로가 됐는지 엿볼 수 있다.
 

<min1330@ilyosisa.co.kr>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