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군 없는 ‘친노의 역습’ 막전막후

2010.02.23 09:17:58 호수 0호

전국 선거판에 ‘친노 전사’ 펄~펄


친노의 반격이 시작됐다. 친노 진영이 지방선거를 통해 부활을 노리고 있는 것. 민주당과 국민참여당 등에서 활동하고 있는 친노 인사들은 제각기 출마지역을 낙점하고 선거 준비에 들어갔다. 지방선거의 꽃이라 불리는 서울시장 한명숙 전 총리와 유시민 전 장관이 출마를 저울질하고 있으며 안희정 최고위원은 충남지사, 이광재 의원은 강원도지사 등 오랫동안 공을 들여왔던 지역구에 도장을 찍었다. 또한 참여정부 인사 상당수도 ‘풀뿌리 민주주의’ 공략에 나섰다. 


16개 광역시도단체장 접수 나서 친노 인사들
겹치지도 마주치지도 말자…암묵적 ‘내부 조율’


노무현 전 대통령 사후 깊은 침묵기를 가졌던 친노 진영이 재기를 위한 움직임을 시작했다. 이번 지방선거를 통해 전국 방방곳곳에 친노 인사들을 세우겠다는 것이다. 6월 지방선거가 노 전 대통령의 서거 1주기인 5월23일 직후 펼쳐지는 만큼 추모열기가 고조되면 ‘뜻밖의 성과’를 올릴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도 적지 않다.

친노 진영은 16개 시도 광역단체장 전체를 겨냥하고 있다. 서울시장의 경우 한명숙 전 총리의 출마가 유력시되고 있다. 한 전 총리는 곽영욱 전 대한통운 사장과 관련, 뇌물 수수 혐의로 재판을 받고 있는 와중에서도 서울시장 출마에 대한 의지를 굳혔다.

전국 방방곳곳 친노 출격

그는 자신에 대한 의혹 제기에 대해 “길을 걷다 갑자기 날아온 돌멩이에 뒤통수를 제대로 맞고 말았다”면서도 “돌을 던진 사람이 누구인지 정확히 알고 그 목적이 또렷이 보이자 오히려 없던 힘마저 솟아난다”고 이를 악물었다. 이로 인해 당초 서울시장 출마 후보로 거론되던 유시민 전 장관과 천호선 서울시당위원장은 출마를 좀 더 심사숙고하게 됐다. 서울시장 선거의 경우 후보단일화를 염두에 두고 있었기 때문이다.

모두 출마를 해 선거운동을 하다 후보단일화를 하느냐, 처음부터 한 전 총리를 지원하느냐는 문제를 두고 고심하고 있는 것. 정가 한 인사는 “유 전 장관은 서울시장 뿐 아니라 경기도지사 선거 혹은 재보선 출마, 대권 도전 등 여러 가지 대안을 가지고 있다”며 “친노 진영에서 ‘동지’끼리 맞붙는 것을 피하는 기색이 역력한 만큼 나름의 교통정리가 있을 것”으로 분석했다.

이 외 대부분의 광역·기초단체장 선거에서는 친노 인사들끼리 겹치지 않게 출마 지역이 나뉘고 있다. 국민참여당이 발표한 ‘6.2 지방선거 광역·기초단체장 출마예정자 명단’에 따르면 대부분의 시도 광역단체장에는 후보자들이 물망에 올라 있다.

경기도지사에는 김영대 전 의원, 전남도지사에는 백만 전 청와대 비서실 홍보수석, 강릉시장에 김용배 강원도당 정책위원장, 울산시장에 윤인섭 변호사, 경북도지사에 유성찬 경북도당위원장, 경남도지사에 이봉수 경남도당위원장, 대전시장에 조현욱 대전시당 위원장, 제주도지사에 송재호 제주대 교수가 명단에 올랐다.

대구시장을 두고 김진태 대구시당위원장과 김충환 전 청와대 비서관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충북도지사에는 이재정 대표를 내세운다는 전략이다. 이 대표는 “당이 충북지사에 출마하는 것을 요구하고 있고, 나도 깊이 고민 중”이라며 출마 가능성을 부인하지 않았다. 국민참여당에서 후보를 정하지 않은 지역의 경우 민주당 혹은 무소속 친노 인사들이 눈도장을 찍고 있는 곳이다.

안희정 민주당 최고위원은 충남도지사 출마를 선언했으며 이광재 민주당 의원 24일 출판기념회를 기점으로 강원도지사 출마를 선언할 것으로 알려졌다. 정찬용 전 인사수석은 광주시장에 도전했다. 김두관 전 장관은 경남도지사 선거를 준비하고 있다. 김 전 장관은 출마 선언에서 “3·15의거, 부마항쟁, 6월 항쟁으로 이어지는 자랑스러운 PK(부산·경남)의 자존심을 찾아 노 전 대통령의 꿈을 완수하겠다”면서 “정권심판에 동의하는 모든 정당과 정파가 참여하는 범도민 야권후보 단일화를 이뤄내겠다”고 강조했다.

지역을 파고들 친노 인사들도 출격 준비를 마쳤다. 기초단체장 선거에서는 특히 수도권에 공을 들이는 모양새다. 국민참여당 소속 인사들이 서울과 경기지역 대부분의 구청장과 시장에 출사표를 던질 준비를 하고 있는 가운데 참여정부 시절 청와대 비서관·행정관 14명이 수도권 기초단체장 출마선언을 했다.

김용석(인천 부평구청장)·염태영(수원시장)·최광웅(도봉구청장)·오상호(성북구청장)·김성환(노원구청장)·김영배(성북구청장)·윤건영(성북구청장) 전 비서관과 김용(광진구청장)·권오중(고양시장)·고용진(노원구청장)·서양호(동대문구청장)·이창우(동작구청장) 전 행정관, 김만수 전 대변인(부천시장), 이은희 전 제2부속실장(마포구청장)은 “이제 더 이상 민주주의 후퇴, 약자와 서민의 희생을 방치할 수 없다는 절박함으로 공동출마를 결심하게 됐다”며 지방선거에 도전장을 내밀었다.

친노 진영의 유력인사는 물론 정권교체 후 지방선거를 통해 정계 진출을 노리던 이들까지 한꺼번에 몰리면서 친노가 ‘총출동’하게 된 것. 친노 인사들 사이에서는 이미 지난 10월 경남 양산 재보선에서 만만치 않은 표 결집력을 보였던 만큼 지방선거를 통한 ‘뿌리내리기’가 가능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지방선거 딛고 총선 노려

정가 한 인사는 “전체적인 그림에서 보면 친노 인사들끼리의 ‘겹치기 출마’는 피하면서도 최대한 많은 ‘생존자’를 낼 수 있는 방법을 구상한 것처럼 보인다”면서 “지방선거에서 재기의 발판을 얻으면 19대 총선 등으로 세를 확장할 수 있는 만큼 수세에 몰렸던 친노 진영의 반격이 대단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