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 처남 김재정 사후 남은 의혹들

2010.02.16 11:42:07 호수 0호

열렸던 ‘판도라의 상자’ 자물쇠 채워졌다


이명박 대통령의 처남 김재정씨가 별세했다. 김씨는 지난해 1월말 당뇨병과 신부전증 등에 의한 심근경색으로 서울대병원에 입원한 뒤 1년 이상 투병생활을 계속해 왔다. 하지만 지난 7일 결국 향년 61세로 세상을 떠났다. 이에 따라 지난 대선 불거져 나온 이 대통령의 ‘차명재산 관리인’이라는 의혹도 조용히 자취를 감추게 됐다. 하지만 지난해 초 그의 위독설과 함께 제기됐던 수백억대 재산의 처리 문제는 개운치 않은 뒷말을 남기고 있다. 


지난 대선 ‘MB 재산관리인’ 의혹 받았던 김재정
수백억 재산 형성 과정 풀지 못한 숙제로 남아


이명박 대통령의 처남인 김재정씨의 별세로 이 대통령의 ‘판도라의 상자’도 굳게 닫히는 분위기다. 김씨는 지난 대선과정에서 이 대통령을 향해 제기됐던 의혹의 중심에 서 있었다. 이 대통령의 ‘차명재산 관리인’이라는 의혹 때문이었다. 당시 특검은 그가 이 대통령의 재산을 관리했다는 의혹에 대해 ‘사실무근’이라고 결론 내렸다. 하지만 정가에는 의혹을 시선을 거두지 않은 이들이 적지 않았다. 김씨의 재산형성 과정이 개운치 못하다는 이유에서다.

윤곽 내비쳤던 의혹들



김씨는 (주)다스와 도곡동 땅의 실소유 여부를 의심받았다. 자동차부품업체인 (주)다스는 1987년 김씨가 이 대통령의 큰형 상은씨와 설립한 회사다. 상은씨는 지분 46.85%를, 김씨는 48.99%의 지분을 소유했으며 2008년 12월31일 현재 지분에 변동은 없다. 김씨는 (주)다스의 감사이자 최대주주였다. 하지만 그는 급여도, 배당금도 받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경영에도 전혀 관여하지 않아 ‘실제 대주주는 그가 아니지 않냐’는 의혹을 샀다.

또한 도곡동 땅도 1993년 이 대통령의 국회의원 재산 공개 당시 ‘1985년 (이 대통령이) 현대건설 사장 재직 때 구입한 도곡동 165번지 일대 150억 상당의 땅을 처남 김재정 명의로 은닉한 사실이 밝혀졌다’는 언론보도가 전해진 터다. 김씨의 재산 중 상당수를 차지하고 있는 부동산도 도마 위에 올랐다. 김씨는 1978년부터 1992년 사이 전국 수십 곳의 땅을 사들여 막대한 시세차익을 올렸다.

그가 서울·경기·충청·경북 등 전국 47곳에서 산 땅만 224만㎡(67만7600평)에 달할 정도다. 이는 김씨가 현대건설 과장으로 퇴직한 시점부터 불과 7~8년 사이에 이뤄진 것들이다. 30대 젊은 나이로 전국에 수십여 곳의 부동산을 소유한 것. 하지만 그는 수백억대 부동산에도 불구하고 집을 4번이나 가압류 당했다. 2억여 원의 부채와 세금 미납 등이 원인이었다.

때문에 일각에서는 김씨가 이 대통령의 재산을 차명 관리했을 것이라는 의혹을 완전히 해소하지 못한 상태다. 정가 일각에서는 “이 대통령이 대통령직에서 물러난 후 (주)다스와 도곡동 땅의 실소유 의혹에 대한 문제가 다시 제기될 것”이라는 목소리도 심심찮게 들리고 있다. 하지만 김씨의 별세로 이 같은 의혹을 다시금 확인하는 것은 어렵게 됐다.

정치권 한 관계자는 “이 대통령에 대한 의혹들은 이미 한차례 조사가 이뤄졌다”는 점을 언급하며 “사건의 중요한 열쇠를 쥔 이가 사라졌으니 재수사를 한다고 해도 그 내용이 사실이냐 아니냐를 두고 논란이 계속될 것”으로 내다봤다. 그러나 김씨의 병세가 악화되면서 제기됐던 수백억대 재산에 대한 ‘분쟁설’은 여전히 불씨를 남기고 있다.

지난해 초 김씨가 위독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전해진 ‘재산분쟁설’은 김씨 재산의 실소유 문제를 담고 있다. 그가 가진 수백억대 재산이 본인의 것이라면 별 문제없이 가족들이 물려받겠지만 그렇지 않을 경우 가족 이외의 사람이 차명으로 관리하게 된다던지 이 대통령이 재산환원을 위해 설립한 청계재단으로 환원될 것이라는 내용이었다.

정치권 관계자들은 “당장 (주)다스와 전국 수십여 곳에 있는 부동산의 상속여부가 눈길을 끈다”며 기업 공시 등을 통해 바로 확인할 수 있는 (주)다스의 지분 변화에 우선 시선을 모으고 있다. 도곡동 땅의 실소유 여부에 대한 논란도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도곡동 땅에 대해 지난 대선기간 중 검찰은 “도곡동 땅과 다스는 관련성이 없다”면서 “도곡동 땅의 소유관계에 대해 김재정의 지분은 김재정의 것으로 판단되나, 이상은의 지분은 이상은의 것이 아니라 제3자의 소유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여기에 특검이 “이상은 명의 지분은 이상은의 소유인 것으로 판단된다”고 쐐기를 박았다.

재산 어디로 향할까

하지만 안원구 국세청 국장이 지난해 말 “2007~2008년 포스코건설 세무조사 과정에서 도곡동 땅의 소유주가 이명박 대통령이란 자료를 봤다”고 폭로하고 나섬에 따라 이 문제는 다시 이 대통령의 아킬레스 건으로 떠올랐다. 안씨는 현재 검찰과 재판을 진행 중에 있다. 현재 2차 공판까지 진행됐으며 다음 공판은 오는 3월4일로 예정돼 있다. 문제는 재판 과정에서 도곡동 땅의 실소유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증거자료가 나오느냐는 것이다.

정치권은 “도곡동 땅 실소유 문제는 이 대통령 차명재산 의혹의 첫 단추와 같다”며 이 문제의 진실 여부에 따라 이 대통령을 둘러싼 의혹들이 일시에 사라지느냐, 다시 수면위로 부상하느냐가 결정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