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기획>노무현 쇼크④ 노무현 전 대통령의 충신들

2009.06.02 09:47:00 호수 0호



노 전 대통령 서거로 그와 고락 함께했던 측근들 재조명
상주 자청해 빈소 지키며 오열하고 현 정권에 쓴 소리도

노무현 전 대통령의 비극적인 서거 이후 국민들의 슬픔이 날로 깊어지고 있다. 그중에서도 ‘노무현의 사람들’이라고 불리는 이들은 주체할 수 없는 비탄에 빠져 있다. 끝까지 노 전 대통령을 지켜주지 못했다는 죄책감과 한 나라의 대통령이었던 이를 죽음으로 몰고 간 현실에 대한 분노가 뒤섞인 슬픔이다. 노 전 대통령과 남다른 인연을 맺고 그의 삶과 죽음을 함께 해온 이들, 또 그의 퇴임과 함께 야인의 삶으로 돌아가거나 구속수감 등 불운을 함께 맞은 이들의 면면을 살펴봤다.



노 전 대통령의 죽음을 누구보다 애통해하는 사람 중 한 명은 그의 ‘영원한 후원자’를 자처했던 강금원 창신섬유 회장이다. 노 전 대통령으로 인해 구속 수감됐던 강 회장은 아이러니하게도 그의 죽음으로 인해 잠시나마 석방되어 마지막 가는 길을 함께했다.

노 전 대통령의 자살소식에 “어떻게 살아야 할지 모르겠다”며 오열했던 강 회장. 그와 노 전 대통령의 인연은 노 전 대통령이 종로에서 국회의원에 출마했을 당시였던 1998년이다.

‘영원한 후원자’ 강금원
서거 이후 눈물의 재회

이는 노 전 대통령이 자신의 홈페이지 ‘사람 사는 세상’에 쓴 ‘강금원이라는 사람’이란 글에도 언급된다. 이 글에 따르면 당시 강 회장은 “나는 정치하는 사람한테 눈곱만큼도 신세질 일이 없는 사람입니다”라는 말과 함께 후원금을 내며 정치적 동반자의 길을 걷게 된다.

그랬던 강 회장이 세상에 알려진 것은 지난 2003년 12월이다. 당시 강 회장은 노 전 대통령이 인수했던 생수업체의 빚을 해결하는 과정에서 19억원을 제공한 것이 문제가 돼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로 기소됐다.


이때부터 노 전 대통령은 강 회장에게 늘 ‘면목 없는 사람’이었다. 강 회장 아들의 결혼식 주례를 서면서 “내가 겪을 고초를 대신 겪은 사람”이라는 말로 그의 소개를 대신했던 노 전 대통령. 최근 강 회장이 구속된 후에는 강 회장에 대한 옹호와 애정을 담은 글을 홈페이지에 올려 두 사람의 깊은 관계를 엿보게 했다.

이처럼 오랫동안 정치적 동반자로 인생역정을 함께 한 두 사람은 결국 산 자와 죽은 자로 마지막 만남을 가졌다. 구속된 지 47일 만에 보석으로 풀려난 강 회장은 노 전 대통령의 빈소로 한달음에 달려와 오열했다.

자신들의 관계에 끊임없이 의혹의 시선을 던졌던 세상은 노 전 대통령이 목숨을 끊은 후에야 강 회장의 진심에 귀를 기울였다.

강 회장은 빈소에서 “노 전 대통령이 무슨 잘못이 있느냐. 무슨 잘못이 있다고 이럴 수가 있느냐”고 말하며 흐느꼈다. 그는 또 “내가 잘못이 없다는 것을 검찰에 그렇게 얘기했건만 나를 잡아넣고…. 세상에 이런 일이 어떻게 있느냐”며 자신과 노 전 대통령의 억울함을 토로했다.

이처럼 정치가와 사업가 사이에서는 좀처럼 볼 수 없던 아름다운 관계를 보여 준 두 사람의 얘기는 정치사에 오랫동안 회자될 것으로 보인다.

이른바 ‘리틀 노무현’으로 불렸던 유시민 전 보건복지부 장관 역시 영원한 ‘노의 남자’다. 빈소에 오자마자 영정에 담배 한 대를 올리는 것으로 애도를 시작한 유 전 장관은 장례식의 모든 과정에 빠지지 않고 자신의 몫을 다했다.

대중들에게 ‘친노 아이콘’으로 불리며 단 한 번도 그에게 등을 돌린 적이 없는 유 전 장관. 그는 2002년 대선 당시 민주당 후단협 등 반노-비노 세력이 노 전 대통령의 후보사퇴를 종용하는 것을 보고 정치판에 뛰어들었다.

‘노무현의 정치적 경호실장’을 자임했을 만큼 그의 든든한 정치적 동반자였던 유 전 장관은 서거 이후 빈소에서 떠나지 않으며 상주 역할을 했다. 또 검찰과 언론 등 노 전 대통령을 압박했던 세력들에 쓴 소리를 아끼지 않았다.

지난달 27일에는 자신의 팬클럽 홈페이지 ‘시민광장’에 ‘넥타이를 고르며’란 글을 올렸다. 이 글에서 그는 노 전 대통령을 “정권과 검권과 언권에 서거당한 대통령”이라고 썼다. 또 지난달 29일 열린 영결식에 대해 “죄 없는 죽음을 공모한 자들이 조문을 명분 삼아 거짓 슬픔의 가면을 쓰고 지켜보는 영결식”이라고 표현하며 강한 비판을 했다.

노 전 대통령과 관련된 사건이 터질 때마다 발 벗고 나서 대변인을 자처했던 문재인 비서실장 역시 적극적으로 나서 노 전 대통령의 마지막을 지키고 있다.


대통령 재임 시 가장 신임했던 참모이자 친구였던 문 전 실장은 부산지역에서 시국사범 변론을 하면서 노 전 대통령과 인연을 맺는다. 건강문제로 잠시 청와대를 떠났을 때를 제외하고는 5년 내내 노 전 대통령의 옆을 든든하게 지켰다.

그리고 위기에 빠질 때마다 노 전 대통령의 곁을 떠나지 않았다. 이 때문에 노 전 대통령은 “노무현의 친구 문재인이 아니라 문재인의 친구 노무현”이라고 말할 정도로 깊은 신뢰를 보내기도 했다.

퇴임 이후에도 노 전 대통령의 비서실장 역할을 이어갔다. 노 전 대통령이 검찰 조사를 받을 때도 어김없이 변호인으로 나섰다. 서거 이후에도 슬픔을 감추고 차분하고 냉정한 태도로 국민들에게 노 전 대통령이 숨진 정황을 설명하고 장례절차 등 모든 부분에 참여해 ‘영원한 비서실장’의 면모를 보여주고 있다.

각별한 인연의 끈
죽음으로 끊어져

노 전 대통령 서거 당시 “이명박 대통령 당신이 원하신 결과가 이겁니까”라며 분노를 유감없이 표출했던 안희정 민주당 최고위원도 정치인생의 시작과 마지막을 노 전 대통령과 함께한 인물이다. ‘좌희정’이란 별칭을 얻을 만큼 노 전 대통령과 각별한 사이였던 안 최고위원은 1997년 노 전 대통령이 운영하던 지방자치연구소에서 일을 하면서 그와 연을 맺었다.

이후 대선 당시 노무현 후보 경선캠프의 사무국장, 비서실 정무팀장, 민주당 국가전략연구소 부소장, 참여정부평가포럼 상임집행위원장, 민주당 충남 논산·계룡·금산 지역위원장 등을 두루 거치면서 노 전 대통령의 측근 중의 측근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노 전 대통령 역시 안 최고위원에 대한 애정을 숨기지 않았다. 지난해에는 안 최고위원의 홈페이지에 “안희정씨는 나한테 오늘이 있게 한 아주 결정적인 기여를 했던 정치적 동지”라며 “나를 대통령으로 만들어준 사람들, 그 중에서 가장 중요한 사람이었다”라고 그를 소개하기도 했다.

법원의 구속집행정지 결정에 따라 일시 석방돼 빈소를 찾은 이강철 전 청와대 시민사회수석, 정상문 전 청와대 총무비서관, 이광재 민주당 의원도 오열로 노 전 대통령의 죽음을 비통해했다. 박연차 리스트에 연루되어 나란히 구속되는 불운을 겪은 세 사람은 노 전 대통령의 허망한 서거에 안타까움을 감추지 않았다.

노 전 대통령과 1987년부터 인연을 맺고 노 전 대통령과는 정치적 동지였던 이 전 수석은 “평생 동지이자 친구인 노 대통령을 생각하면 죽지 못하고 살아 있다는 게 부끄럽고 죄스럽다”며 오열했다.


또 “정치보복으로 인해 노 전 대통령이 참극을 당했다”며 정부와 검찰을 향해 비난을 퍼부었다. 그는 “이명박 정권과 검찰이 진정으로 반성해야만 화해가 될 수 있다”며 울분을 토하기도 했다.

1970년 경남 김해의 한 암자에서 46년생 동갑내기로 노 전 대통령과 만난 정 전 비서관은 그때부터 오늘날까지 고락을 함께했다. 고향 친구인 두 사람의 관계가 새로운 국면을 맞은 것은 2003년 8월 정 전 비서관이 청와대로 입성하면서부터다. 당시 4급 공무원이었던 정 전 비서관은 총무비서관으로 임명돼 4년여 동안 청와대 안살림을 맡았다.

잠시나마 석방돼
마지막 길 동행

이처럼 40년이 넘도록 각별한 관계가 유지된 사실로 인해 두 사람은 비리의혹에 자주 휘말리기도 했다. 그리고 결국 구속수감에 이른 정 전 비서관은 노 전 대통령의 영정 앞에서 아무 말도 하지 못한 채 터져 나오는 울음을 손으로 막고 자리를 뜬 것으로 알려졌다.

‘우광재’로 불렸던 최측근 이광재 의원도 뒤늦게 빈소를 찾아 침통한 마음을 전했다. 이 의원은 “제가 노무현 전 대통령을 지켜드리지 못했는데 무슨 할 말이 있겠습니까”라며 “다만 권 여사님과 가족들은 제가 살면서 숨이 끊어지는 그날까지 함께 하겠다”고 다짐했다.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