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삼기 단상> 엘리자베스 2세 여왕 서거와 영국연방의 운명

  • 김삼기 시인·칼럼니스트
2022.09.13 08:49:29 호수 0호

70년 넘게 영연방의 상징으로 강력한 구심력을 행사해왔던 엘리자베스 2세 영국 여왕이 지난 8일 서거하자, 호주 앤서니 앨버니지 총리는 “지혜롭고 용기를 주는 군주를 잃었다”며 조의를 표했다.



캐나다의 쥐스탱 트뤼도 총리도 “최장수 치세 군주였던 여왕의 사망을 알게 돼 너무나 가슴이 아프다”고 밝혔고, 뉴질랜드 저신다 아던 총리도 “우리는 운이 좋게도 우리가 여왕이라고 부를 수 있었던 놀라운 여성에게 감사를 표한다”고 말했다.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은 영국뿐만 아니라 호주, 캐나다, 뉴질랜드 등 15개 영연방 왕국의 군주이자, 56개국으로 구성된 영연방의 수장이기 때문에, 위 세 나라 총리가 영국의 국왕인 엘리자베스 2세를 자국의 수장(군주, 여왕)으로 호칭하고 있는 것이다.

영연방은 영국과 영국의 식민지였던 독립국 56개국으로 구성된 연합체고, 영연방 왕국은 영연방 중에서도 영국 국왕이 국가 수장을 맡고 있는 구성체로 영국을 포함해 15개 국가가 있다.

1차 세계대전 이후 구성된 영연방이 초장기에는 영국 본국이 다수의 자치령, 식민지 등을 거느리는 형태여서 영연방 내 회원국들이 영국 국왕을 자국의 국왕으로 모셨지만, 대영제국이 쇠퇴하자 영국 국왕을 자국의 국왕으로 여기지 않는 영연방 국가들이 많아지면서 영연방 내에서 영국의 국왕을 자국의 국왕으로 모시는 국가들만 따로 구분해 이들을 영연방 왕국이라고 부르고 있다.

영국이 이렇게 100여년 동안 영연방과 영연방 왕국의 명맥을 유지할 수 있었던 이유는 영국이 과거 영국의 식민지배를 통해 피해를 입은 국가에 대한 배려와 원조 등 영국 국왕의 관심과 의지가 엿보인 정치적 결단이 있었기 때문이다.


지난 8일 서거한 여왕도 국왕에 오르기 전, 오롯이 평생 동안 영연방을 위해 헌신하겠다고 선언했고, 1952년 26세 나이로 즉위한 후 지속적으로 각국을 방문하며 결속력을 높이는 등 영연방의 유지를 위해 노력해왔기 때문에 오랜 기간 동안 수장 역할을 감당할 수 있었다.

영연방 회원국끼리는 지금도 나름의 유대관계를 갖고 있지만, 초창기에는 영연방 회원국 사이에 여행이나 유학, 취업에서 비자가 면제되고, 영연방 국가는 영국에 다양한 물건들을 관세 없이 무제한으로 판매할 수 있는 제도가 있어 우대관계가 더 돈독했다.

또 영연방 소속 국가들이 4년에 한 번씩 모여 커먼웰스 게임이라는 국가 대항전 성격의 종합 스포츠 대회를 열고, 이민이나 인적 자원 교류에서 서로 우대해주기도 하며, 국제적 사안이나 지역 현안에서 서로 협력하고 지원해주기도 했다.

그러나 1973년 영국의 EC 가입과 이에 따른 영연방이 유럽 관세동맹과 경제 공동체에 가입하면서 뉴질랜드, 호주, 캐나다가 독립하고, 영연방 국가와 국민들에 대한 국가 간 이주, 경제 교류 혜택이 철폐되고, 이어 1993년 EU가 등장하면서부터 영연방의 기능과 혜택이 점점 축소돼왔다.

사실 영연방은 영국을 도와 2차 세계대전에서 독일 나치와 싸워 이김으로써 세계평화를 지켰다는 평가를 받았지만, 이후 차츰 국제사회에서 영향력을 잃었고, 지금은 과거 화려했던 모습을 아예 찾아볼 수 없을 정도로 초라해졌다.

이런 와중에 영연방의 100여년 역사 중 무려 70년 이상을 통치해왔던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의 서거 소식을 접한 세계 언론은 일제히 영연방에 새로운 변화의 바람이 일어날 것을 예측하면서, 힘이 약해진 영연방에서 탈퇴하는 국가들과 영연방의 주도권을 잡으려는 움직임에 대한 기사를 내고 있다.

<로이터통신>은 지난해 영국의 식민지였던 카리브해 섬나라 바베이도스가 독립 55년 만에 처음으로 대통령을 선출하면서 더는 여왕을 섬기지 않게 됐고, 카리브해 다른 국가에서도 영국 왕을 수장으로 하는 입헌군주제를 폐지하고 노예제에 대한 책임을 물어 배상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거세지고 있다고 보도했다.

<NYT>도 여왕 서거 후 마야 재서노프 교수의 기고문을 통해 “여왕은 떠났고, 제국주의 군주제도 끝나야 한다”며 “후계자인 찰스 3세는 여왕의 역할이 세습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며 “새로운 왕은 왕실 권위를 축소해 영국 왕실을 북유럽 왕실처럼 바꾸는 역사적인 결정을 할 기회를 맞았다”고 밝혔다.

자메이카도 최근 설문조사에서 응답자의 56%가 영국 국왕을 원수로 삼는 군주제의 폐지에 찬성했고, 자메이카 총리는 공화정으로 거듭나고 싶다고 공개적으로 밝혔다. 또 벨리즈에서는 영국 왕세자가 후원하는 재단과 토지 분쟁을 겪는 주민들이 반대 시위를 벌이기도 했다.

이제 영연방은 영연방의 역사 자체라 할 수 있는 엘리자베스 2세 여왕 서거로 어떤 일이 벌어질지 모르는 새로운 국면을 경험하게 될 것이다. 만약 영국이 앞으로 영연방에 대한 새로운 비전이나 방향성을 제시하지 못한다면 아마 영국 중심의 영연방은 해체되거나 다른 국가에 주도권을 넘겨줄 수도 있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최근 영연방 내에서 목소리가 커진 인도가 실제로 미국의 지원 아래 인도양 지역 영연방 국가들에 막대한 영향력을 발휘하면서 영연방을 노리고 있는 것 같다. 그러나 호주, 캐나다, 뉴질랜드,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등 영연방 주요 국가들이 인정해주지 않을 것이다.

미국의 영연방 가입도 큰 변수가 아닐 수 없다. 미국도 최근 영연방 중에서 국력이 강하고 같은 앵글로색슨계 백인 위주로 구성된 메이저급 국가인 영국, 호주,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등 5개 국가를 미국의 가장 중요한 동맹국으로 삼고, 영연방을 재편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영국은 여전히 세계 5대 경제 대국이고, 글로벌 지도자로서 프론티어 정신에 입각해 지구촌 아젠더 제시에도 여전히 큰 영향력을 발휘하는 국가다. 이런 영국이 영연방과 영연방왕국의 주도권을 쉽게 내줄 리가 없다.

영국의 새 국왕인 찰스 3세도 어머니의 뜻을 이어받아 평생 헌신하겠다고 지난 10일 약속했다. 찰스 3세 국왕의 헌신 대상이 영국뿐만 아니라 영연방까지라는 걸 모르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그래서 왠지 찰스 3세 국왕의 어깨가 무겁게 느껴진다.


※ 이 기고는 <일요시사> 편집 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