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트&아트인> '절묘한 엇갈림' 양정욱

2021.11.10 00:00:00 호수 1348호

삶의 고구마를 모았다

[일요시사 취재1팀] 장지선 기자 = 2014년 OCI미술관 신진 작가로 선정됐던 양정욱 작가가 2021년 새로운 개인전으로 돌아왔다. 간단하지만 쉽게 통하지 않는 이야기, 경계가 불분명한 생각의 생김새, 고구마를 삼킨 듯 가슴 치게 하는, 삶의 온갖 애매함과 갑갑함이 전시장에 다 모였다. 



서울 종로구에 위치한 OCI미술관에서 양정욱의 개인전 ‘Maybe it’s like that’을 준비했다. 알쏭달쏭 삶의 온갖 고구마를 다 모은 전시다. 전시를 접한 관람객은 절로 사이다를 찾을 듯하다. 

애매하고

도입부부터 메인 로비를 가득 채우는 육중한 덩어리와 과감한 직선, 광활한 곡선, 돌돌대는 모터 소리가 관람객을 압도한다. 검은 철판 위에 한 아름이 넘는 통통한(?) 돌덩이 두 개가 ‘사람 인(人)’ 자 모양으로 포개져 빙글빙글 돈다. 

수많은 작은 알갱이와 요철로 뒤덮인 하얀 표면엔 군데군데 숫자가 쓰인 표식이 박혀 있다. 표면의 요철은 지형지물의 분포에 대응한다. 지도에 표시하듯 이런저런 태그를 붙였다. 돌고 돌아 같은 부분을 만나도 각자 다르게 바라본다. 

간단하면서 어려운 이야기
사이다를 찾게 되는 전시


조각 너머로 지름 2.4m의 검은 고리가 크게 원을 그리며 우뚝 서고, 그보다 더 긴 나무 막대 3개가 고리를 관통해 허공에 매달렸다. 무게추가 돌아감에 따라 막대는 사방으로 허우적댄다. 끄트머리에선 간헐적으로 빛이 점멸한다. 

무언가 불을 켜고 찾아 헤매는 이미지를 움직임에 투영했다. 서로 닿을 듯 닿지 않고 절묘한 엇갈림을 반복하는 소통의 시도를 느낄 수 있다. 희고 육중한 덩어리, 공중에 늘어진 검은 전선 줄기, 휘고 낡고 벗겨지고 노끈이 둘둘 감긴 나무 막대, 그들을 두루 묶는 크고 강렬한 원, 금속을 덮은 텁텁한 도장 면, 그리고 배경의 흰 벽 중간 어름에 문득 박힌 주먹 크기의 돌멩이 둘. 

전시장에 들어서자마자 이 모든 요소가 마치 한 장의 그림처럼 얽혀 단번에 시야를 채운다. 양정욱의 조형은 익히 알려진 질료적 측면을 뚝 떼어도, 명백한 형태와 색채의 실체가 존재한다. 그의 조형 메커니즘은 주어진 형태나 색상, 덩어리를 살리면서 변화를 줄 크고 작은 보조 요소가 하나둘 모이고 덧붙고 서로를 꿰뚫고 옭아매 점차 한 덩어리로 진화하는 연방제의 형상이었다. 

이번 작업은 들어갈 데 더 들어가고 나올 데는 더 나왔으며 오밀조밀 섬세하면서 두툼하다. 외양은 더 단일하고 설계는 더 치밀하며 움직임은 더 긴밀하다. 한마디로 ‘보다 계획적’이다. 기술 발전과 처우 개선이 누적과 퇴적을 거듭하면서 조형을 좀 더 다스릴 자신이 생긴 듯하다. 

보편적 특별과 계획성
움직이는 조각 최신판

덩어리들은 소형 모터를 품었다. 이들은 앙증맞고 슬림한 모양새로 둥둥 떠 있고 찰싹 붙고 대롱대롱 매달려있다. 촉을 잡아주는 틀과 다양한 모터를 조합해 보다 복합적인 움직임을 만들었다. 아이패드, 모델링 앱, 3D 프린터는 이 작은 모터와 함께 시너지를 발한다. 

양정욱의 작업을 한 문장으로 축약하면 ‘보편적 특별’에 시선을 주는 일이다. 작가를 포함해 대부분의 사람들이 살아 내는 것 중 하나는, 통할 듯 통하지 않는, 그래서 ‘인간인가? 반도체인가?’ 싶은, 서로 간의 인상 깊은 답답함이다.

미술가로서, 한 아이의 아버지로서, 동시대를 사회인으로서 포착한 이 ‘보편적 특별’이 전시장에서 관람객을 기다리고 있다. 

갑갑하다

OCI미술관 관계자는 “양정욱은 2014년 OCI미술관 신진 작가로 선정된 이후 이듬해 가진 전시를 기점으로 활발한 행보를 꽃피워왔다. 이번엔 전시장 전 층을 아우르는 대형 개인전으로 진일보한 면모를 선보인다”며 “한층 가늘고 섬세하며, 보다 정교하고 계획적으로 변모했다. 두툼하고 예리한 움직이는 조각 최신판을 보고 들을 기회”라고 기대를 드러냈다. 전시는 다음달 18일까지. 

 


<jsjang@ilyosisa.co.kr>

 

[양정욱은?]

▲1982년 서울 출생

▲학력
가천대학교 조소과 졸업(2011)

▲개인전
‘대화의 풍경 : 우리는 가끔씩 휘어지던 말을 했다’ 아트벙커(2020)
‘어제 찍은 사진을 우리는 잘 보이는 곳에 걸어두었다’ 갤러리현대(2019)
‘어제 쓰던 안경으로 오늘을 보아도’ 신도문화공간(2018)
‘우리는 바람이 부는 날에 작은 동물원과 그리고 더 작은 미술관을 갔다’ 동탄아트스페이스(2018)
‘홀롱, 나는 그것이 필요해요’ 케르게넥미술관(2017)
‘말이 없는 사람’ 두산갤러리(2015)
‘은퇴한 맹인 안마사 A씨는 이제 안마기기를 판다’ OCI미술관(2015)
‘인사만 하던 가게에서’ 갤러리소소(2013)

▲수상
김세중 미술상(2020)
제35회 중앙미술대전 우수상(2013)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