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트&아트인> '두산연강예술상 수상자' 김경태

2021.09.15 11:43:38 호수 1340호

꽃의 모든 부분을 담다

[일요시사 취재1팀] 장지선 기자 = 서울 종로구 소재 두산갤러리에서 김경태 작가의 개인전 ‘Bumping Surfaces’를 준비했다. 김경태는 지난해 제11회 두산연강예술상을 수상한 바 있다. 그는 사진을 통해 우리 주변에 존재하는 것들을 낯설게 보여주는 작업을 계속해왔다. 



두산연강예술상은 인재의 중요성을 강조한 연강 박두병 두산 초대회장의 유지를 기려 연강 탄생 100주년인 2010년에 제정된 상이다. 공연·미술 분야에서 성장 가능성이 높은 만 40세 이하 젊은 예술가들을 선정해 지원한다. 

시각적 충돌

두산연강재단은 지난해 10월 ‘제11회 두산연강예술상’ 수상자로 미술작가 김경태(미술부문), 연출가 윤혜숙(공연부문)을 선정했다. 수상자들은 각각 상금 3000만원을 비롯해 6000만원 상당의 두산갤러리 서울 전시 비용(미술부문 수상자), 8000만원 상당의 신작 공연 제작비(공연부문 수상자)를 별도로 지원받았다. 

김경태는 이번 개인전 ‘Bumping Surfaces’에서 조화를 대상으로 촬영한 작품을 선보인다. 조화가 지닌 다양한 측면을 드러내 관람객들에게 사물을 관찰하는 새로운 방식을 제안한다는 취지다. 

그는 그동안 돌이나 서적, 너트 등 우리 주변에 존재하는 것들을 포커스 스태킹 기법을 통해 낯설게 보여줬다. 포커스 스태킹은 촬영하는 대상의 모든 부분에 포커스를 부여하는 사진 기법이다. 흔들림 없이 같은 장면을 근경, 원경, 중경의 포커스로 200~300장 촬영한 뒤 포토샵 등의 후보정 프로그램을 통해 1장으로 합쳐 최종 결과물을 얻는다.


포커스 스태킹 기법 사용
200~300장 찍어 1장으로

이번 전시에서는 대형 프린트로 제작된 꽃의 이미지 10여점을 소개한다. 각 화면에는 끝이 갈라지며 패브릭 조직이 드러난 꽃잎의 가장자리, 염색물이 잘못 물들어 미세한 붉은 점이 생긴 부분, 플라스틱으로 이뤄진 녹색 줄기와 꽃봉오리를 이어 붙이는 과정에서 튀어나온 접착제 덩어리 등 사진의 대상이 조화라는 사실을 가감 없이 전달하는 장면들이 눈에 띤다. 

작품은 마치 정보를 위한 도감 사진과 같다. 김경태는 대상에 대한 가치판단이나 내재적인 해석을 시도하지 않았다. 그의 사진은 사람의 시력이 닿지 못하는 곳에서 사물이 지닌 해상도를 파악하려는 듯, 가까이 바라보면서도 객관적인 시선을 유지하고 있다.

평소 식물에 관심을 가졌던 그는 인테리어 소품이자 자연물을 따라 만들어진 조화를 발견하고 그 면면을 들여다보는 일에 흥미를 갖게 됐다. 

김경태는 하나의 사물을 두고 프레임 속 모든 부분에 포커스를 맞춰 촬영한 뒤, 실제와 다른 스케일로 출력해 이를 교란시키는 태도를 취한다. 이런 흐름은 그의 전작과 이번 작품을 비교했을 때 좀 더 분명해진다.  

실제와 다른 크기로 교란
인공-자연물 조화에 관심

‘On the Rocks’ 시리즈에서 그는 주로 조약돌 크기의 다양한 재질을 지닌 돌을 모아 자연 광물로서 돌이 지닌 작은 입자와 형태에 주목했다. 이후 실물보다 약 20배 이상 확대된 결과물을 제시했다. 

‘Texture Mapping’ 시리즈에서는 대리석 무늬가 프린트된 시트지, 즉 사람들의 시지각을 흔드는 소재가 가구에 부착됐을 때 손쉽게 석재로 보이는 일에 대해 이야기했다. 그리고 이번 ‘Bumping Surfaces’ 시리즈는 여기에 덧붙여 인공 자연물이 지닌 표면의 질감을 끈질기게 쫓아감으로써 우리가 사물을 습관적으로 인식하는 방식에 대한 질문을 던지고 있다.

전시 제목인 Bumping Surfaces는 김경태가 그리 크지 않은 사물들을 천천히, 오래도록 들여다보고 1장의 사진으로 구현하는 과정에서 자신이 겪은 시각적 충돌을 의미하는 단어다. 특정 장면에서 카메라의 프레임으로, 모니터 화면에서 다시 출력물로 이어지는 ‘이미지가 지닌 표면의 탄력적 가능성’이라는 그의 관심사를 함축하는 말이기도 하다. 

새로운 관찰


두산갤러리 관계자는 “액자 속 견고하게 구현된 조화의 모습에서 눈에 보이는 요소들의 부딪침을 찾아내는 일을 넘어, 흔한 사물의 몰랐던 부분이 지닌 생경한 질감과 서로 다른 감각들이 모이고 튕겨내며 만들어진 보는 즐거움을 경험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를 드러냈다. 

이어 “어떤 대상의 겉면을 빠짐없이 보는 것으로 실체를 파악하려는 김경태의 태도를 통해 우리는 무엇을 어떻게 보고 있으며, 받아들일 것인가에 대해 반추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jsjang@ilyosisa.co.kr>

 

[김경태는?]
▲1983년생

▲학력
Ecole cantonale d'art de Lausanne (ECAL) Master of Art Direction 졸업(2016)
중앙대학교 산업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전공 졸업(2008)

 
▲개인전
‘일련의 구성’ 아인부흐하우스(2021)
‘표면으로 낙하하기’ 휘슬(2019)

▲단체전
‘변덕스러운 부피와 두께’ KF갤러리(2021)
‘부산: 시선과 관점’ F1963(2020)
‘아나모르포즈: 그릴수록 흐려지고, 멀어질수록 선명해지는’ WESS(2020)
‘화이트 랩소디’ 우란문화재단(2020) 외 다수

▲수상
제11회 두산연강예술상(2020)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