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잔혹사]④스크린·안방극장은 ‘모방범죄’ 양성소?

2009.02.10 09:16:51 호수 0호

너무 사실적으로 묘사하는거 아냐?


‘지금 여자들이 사라지고 있다’ ‘군포 여대생 실종 사건과 유사한 스토리 라인’. 지난 1월29일 개봉한 미국영화 <트랩>의 홍보 문구다. 온 국민을 연쇄살인의 충격으로 몰아넣고 있는 군포 여대생 사건을 홍보문구로 사용해 빈축을 사고 있다. 영화 <트랩>은 여성 연쇄실종 사건을 소재로 한 영화로 2006년부터 총 7명의 여성을 납치·살해한 군포 여대생 살해범 강호순의 행각과 흡사한 면이 있다. 연쇄살인은 영화가 사랑하는 소재인 동시에 범죄에 대한 영향, 모방범죄 가능성 등으로 사회적인 지탄을 받기도 한다.

‘강호순 연쇄살인사건’ 영화로 만든다는 이야기 솔솔
실화를 소재로 한 영화 모방범죄 가능성 높아 사회적 지탄
<살인의 추억> <추격자> <그놈 목소리> 실화 사건 영화화 흥행 성공
안방극장 범죄 재연 프로그램, 범죄 예방보다 모방범죄로 악영향


강호순이란 연쇄살인마의 사건이 연일 모든 뉴스와 인터넷에 가득 채워져 있다. 벌써 강호순의 이야기를 영화로 만든다는 소문이 어디선가 흘러나온다.
1993년 지존파 사건은 범인들이 당시 유행했던 <지존무상>에서 이름을 따서 조직을 결성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비슷한 영화들이 몰매를 맞기도 했다. 연쇄살인을 다룬 영화, 특히 실화를 바탕으로 한 영화가 제작이 어렵고 조심스러운 것은 모방 범죄 때문이다.
한국영화 속 연쇄살인범은 한풀이가 많았고 성장 과정에 문제가 있었다는 설정, 음모론 등이 주를 이뤘다. <오로라공주> <우리동네> <예스터데이> <텔미썸씽> <H> 등에서 연쇄살인범들은 한국 공포영화 속 주인공들처럼 한이 섞인 이들이 살인을 저지른다는 내용이 대부분이었다.

미제 사건이 많아지면서
실화에 눈을 돌리기 시작



그러나 점차 현실이 더 잔혹해지고 미제 사건이 많아지면서 한국영화는 실화에 눈을 돌리기 시작했다. 사이코패스에 초점을 맞춘 영화와 연쇄살인을 시대의 공기에 연결하는 작품이 등장했다. <살인의 추억> <추격자>는 실화 연쇄살인사건을 영화로 만들어 크게 성공했다. 그 외에도 <그놈 목소리>처럼 실화 범죄사건을 영화화한 작품도 꽤 있다.
강우석 감독의 <공공의 적>은 돈을 노리고 아버지를 살해한 실화에서 영감을 얻어 만든 작품이었다. 강우석 감독은 범인에 대한 어떤 미화도 하지 않고 강철중이라는 억척 형사가 단죄하게 만들었다.

봉준호 감독은 대표적인 미제 사건인 화성 연쇄 살인사건을 <살인의 추억>에 담아 시대와의 불화에 접목시켰다. 시국 사건에 쫓겨 수사력을 집중하지 못하고 한건주의로 엉뚱한 사람을 범인으로 둔갑시킨 암담했던 시대가 범죄를 양산했다고 그렸다.
<살인의 추억>은 살인사건에 대한 시효 문제를 사회적으로 환기시키기도 했다. 범인을 반드시 잡아서 처벌해야 한다는 여론을 일으켰다. 이형호 군 납치사건을 그린 <그놈 목소리> 역시 미제 사건 시효를 없애야 한다는 여론과 함께 다시 한 번 안타까운 범죄를 환기시켰다.
이들 영화의 특징은 미제 사건인 탓도 있지만 범인에 대한 일말의 동정도 담고 있지 않다는 점이다. 실화라는 점도 있지만 무엇보다 제작진이 사건을 통해 범인에 대한 단죄, 그리고 사회적인 환기를 목적으로 한 탓이다.

<그놈 목소리> 제작사의 한 관계자는 “아동범죄에 대한 공소시효 연장 청원을 해서 결과를 냈다”면서 “영화가 할 수 있는 몫을 하려했다”고 말했다.
범인을 잡은 사건도 냉철한 시각을 유지하고 있다. 지난해 큰 화제를 모은 <추격자>는 21명을 살해한 유영철 사건을 스크린으로 옮겼다. 영화는 범인의 살해 동기나 범인에 대한 연민을 전혀 담지 않았다. 당시 나홍진 감독은 “범인을 미화하고 싶지 않았다”고 토로했다.
아직도 해결되지 않은 미제사건과 날로 늘어나고 있는 연쇄살인사건은 지금도 조심스럽게 스크린에 옮겨지고 있다. 문성근, 추자현이 주연을 맡은 <실종>은 2007년 전남 보성 어부 연쇄살인사건을 그린 영화다. 91년 전국을 안타깝게 만든 개구리소년 실종 사건도 이규만 감독이 현재 영화화를 추진 중이다.
현재 한국영화계는 각종 스릴러물 제작 바람이 일고 있어 모방 범죄 염려가 끊이지 않고 있다. 대형 폭력 사건이 일어날 때마다 거론되는 것이 사건과 영화간 모방 범죄 상관 가능성이다.

영화 <친구> 지나친 폭력성 묘사로
당시 청소년들 폭력범죄 흉내내기도

전국 관객 800만명을 넘기며 큰 성공을 거둔 영화 <친구>는 개봉 당시 지나친 폭력성에 대한 묘사로 청소년들이 이 영화를 보고 폭력범죄를 흉내내고 있다는 보도가 나왔다.
2008년 10월에 일어난 논현동 고시원 사건은 영화 <달콤한 인생>을 모방한 사건이었다. 당시 강남경찰서의 한 관계자는 “피의자 J씨가 <달콤한 인생>이라는 액션영화를 보고 주인공이 멋있다는 생각을 해 이와 관련된 범행을 저질렀다”고 밝혔다.

영화뿐 아니라 범죄를 다루는 프로그램들의 모방 범죄도 만만찮다.
최근 서울 강남에서 붙잡힌 ‘퍽치기’ 용의자는 “혼자 걸어가는 여자의 뒤를 따라가 머리를 때리고 돈을 뺏는 수법이 수차례 TV에서 나왔다”며 “모 프로그램을 보고 배웠다”고 진술했다. 대낮에 범행을 저지른 대담성에 미리 도망갈 길을 파악하는 치밀한 수법은 모두 TV 프로그램이 전수한 방법들이었다.
케이블 채널을 통해 방송되는 대부분의 범죄 재연 프로그램은 범인을 잡는 범죄 예방 및 해결 프로그램을 자처했지만 모방 범죄로 이어지는 경우가 일어나고 있다.

리얼리티 전문채널을 표방한 리얼TV는 사회에서 벌어지는 각종 사건과 사고를 다룬 <리얼폴리스>를 방송 중이다. 경찰들의 수사 시선을 쫓으면서 검거 현장까지 다루는 다큐 프로그램이다.
다큐멘터리지만 시청자들의 눈길을 끌려다 보니 폭력적이고 선정적인 내용이 그대로 방송된다. 또 수사 방법이 지나치게 공개되면서 범죄 예방보다는 오히려 범죄자들의 도피망을 마련해 주는 게 아니냐는 지적도 있다.

시청자들 눈길 끌려다 보니
폭력적인 내용 그대로 방송

다른 케이블 채널 YTN스타도 살인자들의 범죄심리를 분석한 <살인자는 말한다>와 <범죄인간>을 방송 중이다. 전편과 속편 격인 두 프로그램은 경찰대학교 표창원 교수를 내세워 살인자들의 범죄심리를 심층 분석하겠다는 취지다.
제작진은 실제로 일어났던 범죄사건을 범인의 시점에서 설명해 범죄를 예방할 수 있는 길도 모색할 수 있다고 설명하고 있다. 하지만 현대 사회의 각종 범죄들을 쫓는 과정에서 선정적인 편집은 피할 수가 없다.

지난 1월31일 방송된 MBC <뉴스 후>는 총 7명의 부녀자를 납치 살해한 군포 여대생 살해 사건의 범인 행적을 쫓았다. 21명을 살해한 희대의 살인마 유영철과 13명을 죽이고 20명을 중태에 빠뜨린 연쇄살인범 정남규와 함께 사이코 패스로 규정하고 범행 과정을 되짚었다.
이 과정에서 화재 사건과 증거 인멸 과정을 자세하게 설명했고 범죄 예방보다는 또 한 명의 살인마를 흥미 위주로 쫓았다.
한 케이블 프로그램 연출자는 “요즘 범죄 재연물은 픽션이 아닌 다큐 형식이나 페이크 다큐로 리얼리티에 접근하는 추세”라며 “실제와 혼동될 정도로 사실성에 주력하다 보니 모방 범죄 가능성이 없지 않다”고 털어놨다.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