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여정의 존중과 두 기자의 무례함

2021.04.27 16:37:21 호수 1320호

전 남편을 왜 물어?

[일요시사 취재2팀] 함상범 기자 = 제93회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여우 조연상을 받은 배우 윤여정에 대한 관심이 세계적으로 뜨겁다. 영화 <미나리>에서 보여준 연기력은 물론 수상 소감조차 훌륭했던 덕분이다. 위트와 유머가 깃들어있으면서 타인을 존중하는 삶의 태도가 묻어있는 소감이 전 세계의 사람들에게 좋은 자극이 된 듯하다. 윤여정과는 반대로 기념비적인 업적에 생채기를 내는 사람들도 보인다. 마치 흑과 백처럼 악과 선이 분명하다. 
 



어느 직종이든 인성이 좋은 사람이 있고 그렇지 않은 사람들이 있다. 앞에서도 뒤에서도 선한 사람이 있고, 사람들이 볼 때와 안 볼 때가 너무 다른 사람도 있다. 같은 직업군 중에는 이타적인 사람도 있고, 이기적인 사람도 있다. 

기레기+력

이는 기자 직종에도 적용된다. 타인을 존중하고 배려하는 기자들이 있는가 하면 “기자는 무엇이든 질문해도 된다”는 직업적 특성을 무기로 무례한 행동을 저지르는 사람들이 많다. 그것도 모자라 매우 편향적이고 악의적인 기사도 보게 된다.

자신의 업무에 충실한 선한 기자들이 적지 않음에도, ‘기레기’라는 신조어에 적극적으로 반항하지 못하겠는 건, 악의적인 기사를 쓰는 기자가 득실하기 때문이다.

한국인으로서는 최초로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여우 조연상을 수상한 윤여정의 업적에 기쁨이 가시기도 전에 ‘기레기력’을 발휘한 사람들이 있다. 서양이 먼저 시작했고, 동양이 뒤따랐다.


윤여정이 여우 조연상을 받은 뒤 백스테이지에서 진행된 인터뷰에서 한 외국 기자는 이렇게 질문했다. “브래드 피트와 어떤 대화를 나눴고, 그에게서 무슨 냄새가 났나요?”

이는 의도가 뻔히 보이는 질문이다. 백인 우월주의가 기저에 깔려있다. 황인이라면 당연히 백인의 향기까지도 좋게 느낄 것이라는 전제를 놓고 던진 질문이다. 

윤여정은 “나는 냄새를 맡지 않았다. 나는 개가 아니다”라고 유려하게 받아쳤다.

그러면서 인종, 젠더, 성 정체성 등으로 사람을 구분하고 싶지 않다고도 했다. 또 “우리는 따뜻하고 같은 마음을 가진 평등한 사람입니다”라는 말로 품격의 차이를 드러냈다. 

비열한 질문에도 진심을 담아 소신을 전달한 윤여정이 자랑스럽지만, 동양인의 수상을 아니꼽게 바라본 기자에 대한 불편함은 쉽게 가시지 않는다. 해당 매체도 그 질문이 부끄러웠는지 유튜브 영상에서 질문 장면을 삭제했다. 

이에 질세라, 한국 기자도 매우 무례한 짓을 저질렀다. 윤여정의 가수였던 전 남편에게 전화를 걸어 윤여정의 수상에 대한 소감을 묻고 이를 기사화한 것. 

윤여정이 이슈인 현 상황에 숟가락을 올려보고자 전화기를 돌려본 노력은 가상하다 볼 수도 있으나, 그 방식이 너무 게으르고 치졸하다.

과연 한국 영화사에 남을 기념비적인 업적을 남긴 주인공의 인생을 망칠 뻔했고, 오랫동안 남남으로 살아온 전 남편의 의견이 필요한 것일까.

엄청난 자산가로 알려진 전 남편은 얼마 전까지만 해도 자신의 경제력을 활용해 젊고 예쁜 여인을 만나고자 하는 모습을 노골적으로 드러낸 바 있다. 과거 자신의 잘못에 대해 깊은 반성이나 사과는 없었다. 

동서양 막론한 두 기자의 무례함
“벌레만도 못한 존재”라는 비난도


윤여정의 수많은 어록 중 하나가 “돈이 필요할 때 가장 좋은 연기가 나온다”이다. 두 아들을 키우기 위해 드라마와 방송은 물론, 쉰 살이 넘은 나이에 노출이 있는 작품도 마다하지 않았다.

이혼 후 한국으로 돌아온 그는 열심히 일하면 안 되는 상황에 놓여있었다. 두 아들을 키우기에는 경제적으로 너무 열악했기 때문이다. <화녀>와 <충녀>를 통해 한국 영화계의 신성이었던 윤여정의 배우 서열은 단역까지 내려갔다. 봉준호·박찬욱 감독의 스승으로 평가되는 김기영 감독의 페르조나였던 그가 대사 몇 줄도 안 되는 인물을 연기해야만 했다. 

김수현, 인정옥, 노희경 등 당시 유명 작가의 도움과 13년의 공백을 무색게 하는 특별한 연기력 덕에 연기자로서 재도약할 수 있었지만, 그 과정까진 매우 힘겨웠었다고 한다. 오죽하면 “너무 힘들게 살았는지, 젊었을 때로 돌아가고 싶지 않다”고 할 정도이니 그 고생의 강도는 짐작하기 어렵다.

임상수 감독의 <바람난 가족>이 노출이 많은 작품이라 출연하고 싶지 않았지만, 집 수리비를 메우기 위해 어쩔 수 없이 출연했다는 일화는 유명하다.

현재 윤여정의 대표작으로 불리는 등 결과적으로 그 선택이 유의미하게 작용했지만, 돈이 없어 원치 않은 작품을 선택해야 했던 배우의 심경을 어찌 헤아릴 수 있을까.

혼인 중에 다른 여인을 만나다 이혼한 것도 모자라, 헤어진 사람에 대한 최소한의 책임 조차지지 않았던 ‘배드 파더’(Bad Father)의 발언이 이 순간에 꼭 필요했을까. 

윤여정에 대한 존중은 없이, 오롯이 기사를 쓰기 위한 상품으로밖에 보지 않은 기자의 노골적인 태도가 엿보인다.

묻는 사람도 문제지만, 그 질문에 냉큼 자신의 의견을 얹는 사람의 수준도 비상식적이다. “바람 피운 사람에 대한 통쾌한 복수”라느니, “외도를 하지 않아서 고맙다”라는 말은 정신병적 나르스시즘으로 밖에 해석되지 않는다.

그를 두고 “해로운 벌레만도 못한 존재”라는 혹자의 가혹한 표현에 오히려 동의하는 의견이 많다는 건 그 기사가 얼마나 악의적인지를 드러내는 방증이다.


두 존재와는 달리 윤여정은 여우 조연상을 받은 뒤 글렌 클로스를 언급하면서, 상을 받지 못한 배우들을 위로했다. “배우들은 경쟁의 대상이 아니며, 우리 모두 각 영화의 수상자”라고 했다.

이를 들은 아만다 사이프리드가 “아이 러브 허”(I Love her)라고 말한 건 타인을 존중하는 윤여정의 인간적인 태도가 전달돼서다.

나르스시즘

진심으로 사람을 대하는 윤여정은 전 세계가 우러러보고 있고, 그와 반대편에 선 두 기자는 비난을 받고 있다. 어떻게 사는 것이 올바른지, 답이 보인다.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