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꽈당’ 골절 주의보

2021.02.22 09:26:05 호수 1311호

겨울철 빙판길 조심하세요

골절이란 단일 혹은 반복적인 과부하로 인해 골의 연속성이 완전 혹은 불완전하게 소실된 상태를 말한다.



최근 5년 동안 건강보험가입자 중 골절 질환으로 진료받은 인원은 2015년 217만명에서 2019년 243만명으로 25만명이 증가했고(11.6%), 연평균 증가율은 2.8%로 나타났다. 남자에 비해 여성 골절 진료인원의 증가 추세가 월등히 높았고, 특히 2018년부터 여성골절 진료인원이 남성보다 더 많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낙상

2019년 기준 골절 질환으로 진료받은 인원을 연령별로 살펴보면, 전체 진료인원(243만명) 중 50대가 17.6%(42만8000명)로 가장 많았고, 60대가 17.0%(41만3000명), 70대가 13%(31만6000명)의 순으로 나타났다. 남성의 경우 50대 17%, 10대 15.1%, 60대 및 40대가 각각 14.7%, 13.9%를 차지했다. 여성의 경우는 60대가 차지하는 비율이 19.3%로 가장 높았고, 50대 및 70대가 각각 18.2%, 16.7%를 차지했다.
김성훈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정형외과 교수는 50~60대 환자가 가장 많은 이유에 대해 “골밀도의 감소의 영향도 있지만 골밀도의 감소는 연령이 높을수록 더 뚜렷하고, 아마도 50~60대 연령층의 활동량은 많으나 근력과 유연성의 감소 등으로 인해 낙상이나 스포츠 손상의 위험이 높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환자수가 많은 50~60대의 입원 진료인원을 5년간 월별로 살펴보면, 1월에 입원환자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10월 및 12월에 상대적으로 입원환자가 많았다. 인구 1000명당 골절 진료인원을 연도별로 살펴보면, 2019년 47.2명으로 2015년 43.1명 대비 9.5% 증가했으며, 특히 여성(48명)은 2015년 대비 16.2%로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인구 1000명당 골절 진료인원을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전체적으로 연령 증가에 따라 증가해 80대 이상이 인구 1000명당 129.4명으로 가장 높았다. 이는 가장 낮은 20대(24.6명) 보다 5.3배 높은 수치다.
40대까지는 남성 비율이 여성보다 높으나, 50대 이후는 여성이 남성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10대의 경우 남성이 여성에 비해 2.3배로 월등히 높았다. 
최근 5년간 총진료비는 2015년 1조4755억원에서 2019년 2조1388억원으로 5년간 6633억원이 증가했고(45%), 연평균 증가율은 9.7%로 나타났다. 남성에 비해 여성 골절 총진료비 증가 추세가 월등히 높았고, 특히 여성골절 총진료비가 남성보다 더 많았다.  
2019년 기준 골절 총진료비를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전체적으로 연령 증가에 따라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져 80대 이상이 24.9%인 5324억원을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의 경우는 50대가 가장 높아 16.2%인 1373억원을 사용했다.
진료인원 1인당 진료비를 5년간 성별로 살펴보면, 2015년 67만9000원에서 2019년 88만1000원으로 29.9% 증가했으며, 남성은 27.4%, 여성은 29.1%가 증가했다. 2019년 기준, 여성이 남성에 비해 1.5배 높은 105만3000원으로 나타났다.
2019년 기준 진료인원 1인당 진료비를 연령대별로 보면, 전체적으로 연령 증가에 따라 증가했다. 9세 이하는 1인당 32만3000원으로 가장 낮았고, 80대 이상은 246만9000원으로 9세 이하의 7.6배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이한 점은 20대 남성의 경우 1000명당 진료인원(29명)은 가장 낮았으나, 1인당 진료비는 69만5000원으로 다소 높았다.

최근 5년 환자 11.6% 증가…연평균 2.8%↑
50~60대 진료 1월에 최다…여성이 더 많아

김용익 건강보험공단 이사장은 “2019년 골절로 인해 발생한 환자수는 243만명에 총진료비는 약 2조원을 돌파한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고령층의 골절은 의료비 부담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 많은 제약을 가져오므로 예방 등 세심한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이번 빅데이터 활용을 통해 국민생활에 밀접한 보건의료에 대한 올바른 정보를 제공하고, 골절 예방을 위해 보건의료 정책적 전략을 수립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골절 질환의 발생 원인 중 가장 흔한 것은 뼈에 직접적인 외상이 가해지는 경우로 타박골절, 압좌골절, 관통골절 등이 해당된다. 인대나 힘줄의 갑작스런 견인에 의해 발생하는 건열골절, 척추에 흔히 발생하는 장축으로 압력이 가해져 발생하는 압박골절, 팔씨름 도중 강한 회전력에 의해 상완골에 흔히 발생하는 회전골절 등의 간접적인 외상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교통사고, 추락, 낙상 등에서는 여러 종류의 힘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다양한 형태의 골절이 나타날 수 있다. 
골절이 발생하면 뼈의 지지 기능이 소실되고 보통 연부조직의 손상이 동반된다. 대표적인 증상은 통증이나 척추의 경미한 압박골절에서는 통증이 미미해 병원을 찾지 않는 경우도 있다. 골절 시 뼈의 지지 기능이 소실되고 골절 부위의 출혈로 인해 종창이 발생해 골절 부위의 변형을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다. 골절 시 발생하는 통증과 뼈의 지렛대 기능의 소실로 인한 기능장애도 생길 수 있다. 강한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신경 및 혈관의 손상이 동반돼 나타날 수 있다.  
골절 예방의 가장 중요한 방법은 사고를 예방하는 것이다. 고령에서 골절의 가장 흔한 원인이 되는 낙상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근력을 유지하고 유연성을 기르기 위해 꾸준히 근력 운동과 스트레칭을 해야 한다. 
남성의 경우 70세 이상, 여성의 경우 폐경 후에는 골밀도 검사를 반드시 시행해 골다공증, 골감소증 정도를 확인해야 하며 골다공증이 있을 시 적절한 약물치료를 시행해 골밀도를 증가시키는 것이 골절 예방에 가장 중요하다. 또한 칼슘과 비타민 D의 적절한 섭취 또한 골다공증 예방에 중요하다.
골절의 치료 방법은 부위와 정도에 따라 다양하다. 크게 비수술적 치료와 수술적 치료로 구분해 볼 수 있다. 비수술적인 치료의 경우 골절 부위가 안정적이고 전위가 작거나, 고령, 동반 질환이 많은 경우 시행할 수 있으며 대표적으로 골절 부위의 견인, 도수 정복, 석고부목 또는 보조기를 이용한 고정으로 이뤄진다. 
겨울철 빙판길에 넘어지면서 발생하는 원위 요골골절의 경우 골절부위가 안정적일 경우 도수 정복과 석고 부목 치료를 시행한다. 흔히 발생하는 골절 중 석고 부목을 시행하기 힘든 상완골 근위부 골절, 쇄골 골절, 척추의 압박골절에서 보조기만 착용하고 비수술적 치료를 시행하는 경우도 있다. 


고정

수술적 치료는 골절부위가 불안정하거나 전위가 큰 경우, 신경및 혈관 손상이 동반된 경우 또는 비수술적인 치료가 실패했을 경우 시행할 수 있다. 대표적인 방법으로 관혈적 또는 비관혈적정복술 후 핀 또는 나사를 이용한 고정, 금속판 고정술, 골수내금속정, 외고정 장치 사용 등의 방법이 있다.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