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트&아트인> ‘조각과 회화의 만남’ 피터 부겐후트와 마리 클로케

2018.11.19 07:26:55 호수 1194호

시공간을 재조합하다

[일요시사 취재1팀] 장지선 기자 = 서울 성북구 소재의 갤러리 제이슨함 주변은 한적했다. 갤러리를 스쳐가는 차들은 많았지만 머무르는 사람은 없었다. 마치 시간이 차분하게 멈춰있는 듯했다. 하지만 갤러리 내부는 피터 부겐후트와 마리 클로케가 창조한 작품으로 시공간이 어지럽게 얽혀 있었다.

▲ Marie Cloquet, Scorched earth XI,  2018, photographic emulsion & watercolour on paper on canvas,  150x200cm

 



지난 9일 오후 갤러리 제이슨함을 찾았다. 피터 부겐후트와 마리 클로케의 2인전 ‘Temporalizing Temporality’의 오픈 이틀째였다. 편한 복장으로 등장한 피터 부겐후트와 마리 클로케는 기자의 질문에 시종일관 진지한 태도로 답했다. 두 작가는 한국서의 첫 전시에 대한 기대감을 감추지 못했다.

묘한 앙상블

피터 부겐후트는 벨기에 겐트에서 활동하는 조각가로, 다양한 크기의 작품을 만든다. 이번 전시에선 소의 위장이나 먼지 등의 재료를 사용해 비교적 작은 크기의 작품을 선보였다. 마리 클로케는 파괴, 손상된 것에 주목해 회화로 표현한다. 인상적인 공간을 촬영한 후 스튜디오에서 재조작하는 단계를 거친다.

이번 전시는 시간성이 두드러지는 두 작가의 작품을 한데 모아 보려는 제이슨함의 기획서 시작됐다. 이지러진 시공간처럼 두 작가의 작품서 공통적으로 발견할 수 있는 비선형적 시간성에 착안했다. 전시 제목인 Temporalizing Temporality도 마르틴 하이데거의 <존재와 시간>에 등장하는 시간성이라는 개념서 따왔다.

제이슨함 관계자는 과거-현재-미래처럼 우리에게 익숙한, 선형적이고 연속적인 시간 개념이 아니라 도래-기재-현전의 근원적 시간 속에 우리 존재가 놓여있음을 이야기하고 있다이번 전시서 시간과 공간을 직조하는 두 작가의 작품 세계를 오롯이 조망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벨기에 출신 두 작가
한국서 첫 전시

제이슨함은 피터 부겐후트의 조각을 갤러리 중앙에, 마리 클로케의 회화를 벽면에 배치했다. 실체가 분명한 네모난 방은 시간과 공간을 해체하고 재조합해 완성된 작품을 품었다. 정형화된 공간과 분해융합을 거친 작품의 조화는 묘한 앙상블을 이룬다.
 

▲ Marie Cloquet, Obstacles VIII, 2018, photographic emulsion & watercolour on paper on canvas,  150x120cm

피터 부겐후트의 조각은 재현이라고 보기에는 추상적이고, 추상적이라기에는 실체가 존재한다. 개별적인가 싶으면 서로 닮아 있고 그러면서도 통일적이지 않은 서로 다른 개체로 구성돼있다. 상징주의나 보편적 시간 개념과는 동떨어졌다. 그는 작품을 통해 결여의 미학을 표현하려 했다.

피터 부겐후트의 작업은 재료를 모으는 것에서부터 시작된다. 그는 특별한 기준을 갖고 재료를 선택하는 것은 아니다. 자동차를 타고 가다가 길가에 마음에 드는 재료가 있으면 트렁크에 넣어두는 식이라며 기존의 조각서 일부분을 가져와 다른 작품에 붙이기도 한다. 어떤 특별한 틀에 얽매이지 않는 편이라고 말했다.

그는 재료를 융합하고 구축하는 한편, 해체하고 다시 축적해 새로운 시공간의 맥락에 가져다둔다. 이 과정서 선형적 시간의 구조를 뛰어넘는 독자적인 개체로서 작업의 의미와 정체성이 지속적으로 생성된다. 새로운 시공간과 조형 언어를 통해 개념과 사상을 눈앞으로 끌고 오는 식이다.

마리 클로케는 작품을 완성하기까지 여러 단계를 거친다. 먼저 세상의 주변부와 같은 장소를 탐색하고 촬영한다. 스튜디오에 돌아와서는 촬영한 사진의 일부를 선택해 어떻게 조합할지 고민한다. 이후 재조작된 이미지를 암실서 출력한다.

사진의 형태로 담긴 실제의 공간은 왜곡된 인쇄와 찢기, 파편화 등 물리적 해체 과정을 거쳐 콜라주로 재배열되면서 완전히 새로운 시공간, 존재하지 않는 장소로 재탄생된다. 마리 클로케는 존재하지 않는 장소에 대해 내가 보고 느낀 것들이 반영된 이미지라고 말했다.
 

마리 클로케가 만들어낸 왜곡되고 조작된 화면은 하나의 자연스러운 풍경처럼 보이지만 세계화의 명암에 대한 염려를 효과적으로 드러낸다. 이 과정서 그녀는 실제와 가상 사이, 개발과 소외 사이 그리고 역사의 틈 사이 어딘가에 놓인 경계의 균열 같은 영리한 공간을 창조한다.

비선형적 시간성에 주목
“관람객들 반응 기대돼”

처음 2인전을 가진 두 작가는 작품의 어우러짐에 주안점을 뒀다고 밝혔다. 특히 마리 클로케는 조각과의 조화를 위해 새로운 작품을 많이 제작했다고 했다. 그녀는 피터와 나는 조각과 회화가 서로 잘 어울릴 수 있도록 작품 선정에 신경을 많이 썼다다양성을 추구하면서도 조화를 중점적으로 생각했다고 강조했다.


작가들은 한국 관람객들이 이번 전시에 많이 참여해줬으면 한다는 바람을 드러냈다. 피터 부겐후트는 미술에 대한 반응은 나라와 문화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인도에서는 내 작품에 대해 이해할 수 없는 것들을 전시장에 놓고 장난을 치는 것 같다 했고 핀란드에서는 작품이 죽음에 관한 것인지 묻곤 했다한국에서의 반응도 분명 다를 것이라 생각하기 때문에 어떤 반응이 나올지 매우 궁금하다고 전했다.
 

마리 클로케는 새로운 대중을 만나는 것은 늘 흥미롭다. 벨기에서 만들어진 작품이 한국서 어떻게 받아들여질지 매우 궁금하다한국서 우리의 전시가 어떻게 느껴질지 기대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두 작가들은 작품에 대한 자신감을 피력했다.

해체와 융합

제이슨함 갤러리 관계자는 두 작가는 공통적으로 구축-해체-재구축으로 이어지는 일련의 작업 과정을 통해 작품을 만들어낸다기존의 시공간에 대한 관념을 자유롭게 모색하며 그 안에서 우리 존재의 본질에 대한 질문을 던지는 흥미로운 유영의 경험이 될 것이라고 관심을 당부했다.

 

<jsjang@ilyosisa.co.kr>

 

[피터 부겐후트는?]

학력

Sint-Lucas, Installation art-Gent, Belgium(1982-1986)

개인전 및 2인전


Museo de la Ciudad de Queretaro, Querétaro, Mexico(2018)
Jason Haam, Seoul, South Korea(2018)
Galeria Hilario Galguera, San Rafael, Mexico City, Mexico(2017)
Galerie Laurent Godin, Paris, France(2017)
The Box, Los Angeles, USA(2017)
Neues Museum, Berlin, Germany(2017)

 

[마리 클로케는?]

학력

LUCA School of Arts-Gent, Belgium(1994-1998)

개인전

Jason Haam, Seoul, South Korea(2018)
Annie Gentils Gallery, Antwerp, Belgium(2017)
Annie Gentils Gallery BOZAR, Brussel, Belgium(2016)
Secondroom curated by Elke Andras Boon, Gent, Belgium(2015)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