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일속 ‘모피아 아지트’ 실체 해부

2015.05.04 11:44:10 호수 0호

금융 거물들 재충전 ‘힐링캠프’

[일요시사 사회팀] 이광호 기자 = 한국금융연구원(이하 금융연) ‘특임연구실’을 바라보는 시선이 곱지 않다. ‘모피아(재무부 영문 약자 MOF와 마피아의 합성어)’ 기착지라는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베일에 가려진 특임연구실의 실체를 알아봤다.

 


서울시 중구 명동 은행회관에 위치한 한국금융연구원(이하 금융연)은 지난 1991년 사단법인으로 국내 최초 금융 전문 연구기관으로 설립됐다. 성격상 국책 연구기관으로 분류된다. 금융연의 모태는 김준성 전 부총리가 지원했던 금융연구회다. 초기 인력은 연구원 6명, 행정원 3명이 전부였지만 금융권 싱크탱크라는 인식이 강했다.

갑자기 사라진 직제
 
금융연은 국내외 금융제도, 금융정책 및 금융회사 경영 등 금융전반에 걸친 과제를 체계적으로 연구, 분석함으로써 금융산업 발전과 금융정책 수립 기여에 목적을 두고 있다. 금융연의 예산은 다양한 시중은행들이 각출하고 있다. 2011년의 경우 은행으로부터 160억 분담금을 받았다. 이 중 106억원을 인건비로 썼다. 전체 직원이 100여 명이므로, 1인당 평균 인건비가 1억원에 이른다. 박사급 연구원의 경우 2억원에 가까운 인건비가 드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금융연 홈페이지에 따르면 연구원의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연구실은 ▲은행·보험연구실 ▲자본시장연구실 ▲중소서민금융·소비자보호연구실 ▲거시경제연구실 ▲국제금융연구실 등 총 5개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6개의 연구실이 안내돼 있었다. 그런데 최근 연구실 직제에서 특임연구실이 삭제됐다.
 
특임연구실의 업무는 주요 현안이나 연구과제 중 연구 가치가 있는 이슈를 뽑아내는 일이다. 이 부분에서는 다른 연구실과 기능 면에서 큰 차이가 없다. 특임연구실의 고유 업무를 꼽자면 연구원의 주요 과제나 연구 내용 자문을 받고 내용을 검토하는 것이다. 연구실 자체 보고서나 정기 발행물은 나오지 않는다.
 

금융연 관계자에 따르면 특임연구실 초빙연구위원의 임기는 일정 기간으로 정해져있지만 연구실 모집인원은 유동적이다. 지금보다 늘어날 수도 있고 줄어들 수도 있단 얘기다. 특임연구실에는 초빙연구위원 외에도 금융위원회, 한국은행 등 외부에서 파견 나온 직원 4명이 함께 근무 중이다.
 
그런데 홈페이지 직제에서 특임연구실이 사라진 이유는 무엇일까. 금융연 관계자는 “정확한 내용을 알지 못한다”며 구체적인 답변을 피했지만 외부의 시선에서 자유롭지 못하다는 늬앙스를 풍겼다.
 
 
현재 특임연구실 초빙연구위원은 임승태 전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위원, 이건호 전 국민은행장, 김영욱 중앙일보 논설위원 등 총 3명이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5명이었다. 특임연구실에 몸담고 있었던 김용환 전 수출입은행장은 29일 NH농협금융지주 회장으로 취임했고 김석동 전 금융위원장은 로펌으로 옮겼다.
 
한국금융연구원 특임연구실 주목
유명 인사들 연구위원으로 활동
잠시 쉬다가 재도약 돕는 기착지?
 
이외에도 유명한 금융권 인사들이 특임연구실을 거쳤다. 경제수석, 재정경제부 1차관, 은행연합회장 등을 지낸 박병원 한국경영자총협회장(행정고시 17회), 재정경제부 2차관을 지낸 임영록 전 KB금융지주 사장(행정고시 20회), 예금보험공사 사장을 역임한 이승우 삼성증권 사외이사(행정고시 22회), 기업은행·외환은행장을 지낸 윤용로 삼성생명 사외이사, 현 군산대 석좌교수인 강봉균 전 재정경제부 장관(행정고시 6회), 현 단국대 교수인 이철환 전 재정경제부 국고국장(행정고시 20회), 현 인천시 정무부시장인 배국환 전 기획재정부 제2차관(행정고시 22회), 현 YTN 사장인 조준희 전 기업은행장 등이다.
 
이 같은 사실이 금융연 특임연구실이 전직 고위인사들의 제2의 도약을 돕는 기착지 역할을 하고 있다는 비판을 샀다. 이러한 이유로 금융연 특임연구실은 ‘모피아(재무부 영문 약자 MOF와 마피아의 합성어)’ 꼬리표를 달고 있다. 홈페이지 직제에서 특임연구실을 삭제한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논란의 뿌리는 금융연 설립연도인 1991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초대 원장으로 취임한 박재윤 서울대 교수는 부산고 출신으로 김영삼 전 대통령의 대선캠프에서 경제정책 자문을 하면서 실세로 떠올랐다. 1년 뒤 박 원장은 직을 내려놓고 전적으로 선거를 도와 1993년 경제수석으로 청와대에 입성했다. 김영삼정부 최대 과제였던 신경제 5개년 계획을 주도하면서 금융연의 위상을 높였다. 

박영철 2대 원장 때부터 금융연의 본격적인 성장이 시작됐다. 금융연에는 30∼40대 미국 박사학위를 받은 젊은 인재들이 대거 영입됐다. 금융연 보고서는 당국의 정책에 직접적으로 반영되면서 그 영향력을 민간으로 넓혀 나갔다. 당시 연구원들의 위상은 KDI(한국개발연구원)를 뛰어넘는 수준이었다.

은행들 예산 각출
 
지난 20년간 박사급 인력 70여명이 금융연구원을 거쳐 사회 각지로 나갔다. 50명 이상이 대학교수로 갔다. 다수는 금융계 현업으로도 이동했다. 기획재정부, 한국은행, 국세청, 금융감독원, 감사원 등 주요 기관에서 파견근무를 했던 인력은 50여명에 이른다. 금융연의 위상은 이처럼 대단했다.
 
그런데 언제부턴가 금융연은 전직 고위관료들이 한 번쯤 거쳐 가는 정거장이라는 불편한 인식이 확대됐다. 특히 특임연구실을 두고 뒷말이 무성하다. 이를 의식한 탓인지, 최근 금융연은 홈페이지 직제에서 특임연구실을 삭제했다. 일각에서는 금융연이 홈페이지 직제에서 특임연구실을 삭제한 것을 두고 앞으로는 대놓고 초빙연구위원들을 받겠다는 의도로 풀이하기도 한다.
 
 

<khlee@ilyosisa.co.kr>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