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초대석> ‘유명인 이름풀이’ 본지 연재 정도은 소장

2015.04.27 10:13:34 호수 0호

“사주 좋은 거지 있어도 이름 좋은 거지 없지요”

[일요시사 사회팀] 이광호 기자 = 지난 2005년 대법원이 개인의 성명권을 헌법상 행복추구권과 인격권의 내용으로 인정한 이래 국내 개명신청건수는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법원의 개명 허가율도 높아져 마음만 먹으면 이름을 바꾸는 시대가 됐다. 이에 따라 작명소를 찾는 발걸음이 끊이지 않고 있다. 정도은 소장을 통해 가깝고도 낯선 ‘성명학’에 대해 알아봤다.

 


정도은 정도은작명연구소장은 대학에서 경영학 인사관리를 전공했다. 그는 조선실학의 인사관리에 관심을 뒀다. 그런데 어느 날 주임교수가 정 소장 책상 앞에 책 몇 권을 던졌다. 그중 조선실학자 최한기의 ‘인정(人政)’을 펼쳤다. ‘성명학’을 연구하게 된 결정적인 순간이었다.

2000여명 후학 양성
 
“인정에는 만물의 이치를 비롯해 관리 채용 시 골격 등 꼴을 보는 기준이 매우 상세하게 나열되어 있습니다. 그 논지와 논리가 매우 매력적이었어요. 그리하여 동양학 탐독을 시작했죠. 당시에는 지금의 길을 걷게 될 줄은 꿈에도 몰랐습니다.”
 
정 소장은 언어에도 깊은 관심을 보였다. 그는 영어강사 생활을 하면서 각국 언어의 특징 및 소리철학과 수리철학을 공부했다. 언어와 수리학 간에는 밀접관계가 있었다. 각국의 언어는 달라도 소리만큼은 만국공통이었다. 정 소장은 “성명은 소리와 수의 설계도로서 이름의 소리오행과 수리를 들여다 보면 그 사람의 인생특징이 나오고 상호브랜드를 분석해 보면 그 회사의 흥망성쇠가 나온다”고 말했다.
 
1998년 국내 최초로 실용동양학이 국립대에 개설됐다. 지금이야 인문학이 어느 정도 자리를 잡은 상태지만 당시에는 대학당국의 획기적인 결단이었다. 정 소장은 당시 전북대 평생교육원 지도교수로 실용동양학을 음지에서 양지로 끌어내겠다는 의지를 갖고 있었다. 기대 반 우려 반이었지만 첫 학기 수업은 성공적이었다. 강의실은 수강생으로 가득 메워졌다. 수강인원은 초과됐고 이런 현상이 10년간 이어졌다. 학교의 우려와 달리 동양실용학의 논리적 학문성이 큰 호평을 받으면서 학교의 모범과목이 됐다.
 

“언젠가 역학 공교육 시대가 열릴 것이라는 신호탄, 첫 물꼬가 터졌어요. 무엇이든 처음이 어렵죠. 마치 콜럼버스의 달걀처럼요.”
 
이를 바탕으로 전국 국공립대 총장의 동의를 받아 전국국공립대학평생교육협의회 ‘역리상담사’라는 민간자격증이 만들어졌다. 정 소장은 역리상담사 시험문제 출제위원을 5회까지 역임했다. 그는 10년이 넘도록 2000여명의 후학을 양성했다. 동양실용학을 음지에서 양지의 학문으로 드러나게 하는데 한 역할을 해냈다.
 
가깝고도 낯선 ‘성명학’ 쉽게 설명
“소리오행·수리 보면 인생특징 나와”
 
그렇다면 성명학은 무엇일까. 정 소장에 따르면 성명은 제2의 자기이다. 개별성이 핵심이고 독특한 정체성을 형성시킨다. 이를 후천성이라고 하는데, 이것을 해석하는 것이 바로 성명학이다. 정 소장은 “사주명리학만으로는 내향, 외향, 감성, 논리 등 성격이 분석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후천성을 고려하지 않고 사주명리학만으로 무엇을 단언한다면 동일한 사주는 모두 같은 성격, 같은 삶을 산다는 가정 하에 획일적 해석을 하게 된다는 것이다.
 
정 소장은 오랜 임상연구 끝에 수리해석을 세계최초로 체계화했다. 앞으로 정 소장은 세계공통성명학의 체계화에 앞장설 계획이다. 그는 한글이 성명학의 표준이라고 정의한다. 각국의 언어는 달라도 소리는 세계공통이므로 체계적인 표음문자인 한글이 성명학의 표준이라는 것이다.
 
“한글은 인체 발음기관의 모양과 움직임을 형상화한 것으로 ‘ㄱ’은 혀뿌리가 목구멍을 막는 모양, ‘ㅇ’은 목구멍 모양, ‘ㅁ’은 입술 모양, ‘ㄴ’은 혀가 윗잇몸에 닿는 모양, ‘ㅅ’은 이의 모양을 본떴는데 글자를 보고 그 소릿값을 알 수 있는 세계 유일한 문자예요.”
 
정 소장은 우리 몸은 하나의 소리울림통 악기이므로 글자의 뜻보다는 소리가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소리의 오행이 성격과 건강은 물론 부귀에 영향을 끼친다는 것이다.
 
 
이 세상에 이름 없는 존재는 드물다. 사람은 원하든 원하지 않든 사회 속에서 타인과 상호작용을 하면서 살아간다. 성명학의 사회적 의미는 이름을 통해 생명력을 불어 넣는다는 데 있다. 이름에는 소리의 오행과 한정적인 범위의 수가 있기 때문이다.
 
정 소장은 지금까지 어림잡아 최소 1만여개의 이름을 임상해봤지만 사주 좋은 거지는 있어도 이름 좋은 거지는 없었다고 한다. 회사의 상호도 마찬가지. 정 소장이 성명학으로 국내 유수기업들을 해석해 보니 브랜드가 회사를 만든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대표적으로 삼성을 들 수 있다. 삼성이 세계적 기업이 될 수 있었던 것은 삼성이라는 상호가 주요했다고 한다. 기업주가 아무리 노력해도 상호가 엉망이면 말짱 도루묵이라는 것이다.
 

현재 정 소장은 정도은작명연구소에 몸 담고 있다. 연구소에서는 과거 인물, 위인들의 삶을 통해 드러난 성명의 사례연구가 이뤄진다. 여기에 신생아, 개명 작명, 기업브랜드 작명 등의 작업도 진행한다.

세계공통성명학 정립
 
정 소장은 “이제 중국의 한자 획수록에서 벗어나야 한다. 한글은 소리와 수리의 작용성이 숨겨져 있는 인류문화유산이다. 혹시 전문가의 도움 없이 가정에서 작명을 직접 해야 할 경우에는 어려운 한자사전을 뒤지지 말고 발음하기 쉬운 우리말의 이름자를 선택해 작명하시길 바란다”고 조언했다.
 
<khlee@ilyosisa.co.kr>

 
[정도은은?]
 
▲조선대 경상대 회계학과
▲전남대 대학원 경영학석사
▲전 전북대 평생교육원 성명학 전담교수
▲역리상담사 자격증 1∼5회 출제위원

▲정도은작명연구소 소장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