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개 없는 '새정치' 추락 속사정

2014.08.25 12:07:42 호수 0호

"친노 부활 위한 시나리오대로 착착?"

[일요시사=정치팀] 김명일 기자 = 새정치민주연합(이하 새정치연합)의 추락이 끝도 없이 이어지고 있다. 7·30재보선 참패로 궁지에 몰린 새정치연합은 위기에서 벗어나기 위해 발버둥을 치고 있지만 정당 지지도는 오히려 더 폭락했다. 무려 130석을 가진 제1야당 새정치연합이 추락하고 있는 속사정은 무엇일까?



새정치연합은 무려 130석을 가진 명실상부한 국회 제1야당이다. 역대 진보야당 중 의석수로만 따지면 최대다. 그러나 새로운 정책을 만들고 이슈를 주도하는 힘은 과거 소수 야당 시절보다 오히려 못하다는 평가다.

쇼라도 해야

세월호 하나로 지방선거와 재보선을 치렀다는 비판이 대표적인 예다. 세월호 참사 직후인 지난 6·4지방선거에서는 새정치연합 후보들이 어느 정도 선전했으나, 석달 뒤 치러진 7·30재보선에서는 여지없이 참패했다. 더 이상 정권심판과 같은 상투적이고 추상적인 구호로는 유권자들의 표심을 사로잡을 수 없다는 비판이 팽배하지만 새정치연합은 여전히 세월호 사태에 얽매여 한 발자국도 나가지 못하고 있다.

정치권의 한 관계자는 “지난 재보선을 지켜보면서 보수와 진보, 여당과 야당이 바뀐 것 같다는 생각을 했다. 보수여당인 새누리당은 반바지 입고 춤추면서 분위기를 띄우는데 진보야당이 정권심판만 외치면서 유권자들을 피곤하게 했다. 정치쇼라고 욕하지만 지금 새정치연합은 쇼라도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정치권에선 이 같은 전략의 부재는 각 정당의 싱크탱크의 차이에서 온다고 지적한다. 새누리당이 운영하고 있는 여의도연구소는 우리나라 최고 정치연구소로 평가된다. 야권 정치인들조차 자신들이 생산한 데이터보다 여의도연구소가 만든 데이터를 더 신뢰한다는 말이 공공연히 나돌 정도다.

야권 인사로 분류되는 조국 서울대 교수는 한 토론회에서 “(새정치연합의) 민주정책연구원이 여의도연구소보다 훨씬 못하다고 생각한다”며 “여의도연구소는 공채를 통해 인원을 선발하고 당권이 바뀌어도 정책의 안정성이 유지되지만 민주정책연구원은 내가 아는 바로는 당권이 바뀌면 멤버들이 계속 바뀐다.

구성원 자체의 안정성이 보장되지 못해 제대로 된 정책개발이 힘들다”고 꼬집기도 했다. 당의 정책과 전략을 결정해야 할 가장 중요한 싱크탱크를 당 대표의 측근 챙기기용 낙하산 투하지로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이 같은 지적은 과거부터 여러 차례 반복됐지만 좀처럼 개선이 되지 못하고 있다. 전략이 없는 정당의 위기는 어쩌면 당연하다.

새정치연합이 재보선 참패 이후 부르짖던 개혁도 어느새 자취를 감췄다. 당명에까지 박아 넣은 ‘새정치’는 어디에도 보이지 않는다. 지난 대선을 앞두고 새정치연합 의원 전부가 참여해 발의한 세비삭감 법안은 현재까지 방치 중이다.

뚜렷한 리더 없이 '사공 많은 배'
전략도 없고, 개혁 의지도 없어


김한길 전 대표는 올해 초 불법의 온상으로 지목된 출판기념회를 금지하고 비용과 수익 신고를 의무화하겠다고 밝혔지만 말뿐이었다. 또 새정치연합 내부에서는 정치자금법 등 부패 관련 사안으로 단 한 번이라도 유죄를 받으면 공직선거 후보로 공천하지 않는 ‘원스트라이크 아웃제’ 도입, 소속 의원이나 단체장의 귀책사유로 치르게 되는 재선거에는 공천을 하지 않는 방안 등이 논의됐으나 관철되지 못했다.

이외에도 새정치연합이 국민들에게 약속한 수많은 정치쇄신안들은 말잔치로 끝났다. 정치권의 한 관계자는 “야당이 여당에게 도덕성마저 밀린다면 더 이상 희망이 없다. 그런데 최근 검찰의 수사에 대해 새누리당이 ‘반성’을 말할 때 새정치연합은 방탄국회를 소집하려 하고 ‘야당탄압’을 외쳤다. 더 이상 무슨 말이 필요한가?”라며 일갈했다.

고질적인 병폐인 계파갈등도 새정치연합의 발목을 잡고 있다. 선거에서 패배할 때마다 새정치연합은 계파갈등 청산을 최우선 과제로 선정해왔다. 그만큼 새정치연합 내부의 계파갈등이 심각한 수준이라는 뜻이다.

재보선 참패 후 사실상 전권을 쥐게 된 박영선 국민공감혁신위원장이 최우선 과제로 설정한 것도 역시 계파갈등 청산이었다. 박 위원장은 당을 혁신하고 재건할 비상대책위원회의 명칭을 ‘국민공감혁신위원회’로 정하고 본격적인 혁신 작업에 착수하면서 재차 “계파갈등을 초월하지 못한다면 새정치연합의 미래는 없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새정치연합 내부에서조차 계파갈등 청산은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비관론이 힘을 얻고 있다. 특히 무리하게 계파 청산을 시도할 경우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는 지적도 있다.

새정치연합의 한 관계자는 “지금까지 매번 계파갈등을 해소하자고 했지만 당 대표나 비상대책위원장이 손을 댈수록 문제는 더욱 꼬여갔다. 사실 모든 계파가 만족할 만한 방법을 찾아낸다는 건 불가능에 가깝다. 차라리 다른 방법을 찾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 관계자는 새누리당의 예를 들었다. “사실 계파가 없는 정당은 없다. 그런데 새누리당은 계파가 있어도 서열정리가 확실해 탈이 없다. 일례로 서청원 의원과 김무성 대표가 전당대회에서 얼마나 서로 부딪쳤나? 그런데 선거가 끝나자마자 서 의원이 패배를 인정하고 김 대표를 적극 돕고 있다. 친박계도 조용하다. 그런데 새정치연합은 다르다. 누가 당대표가 되든 당권을 잡지 못한 계파에서 자꾸 딴죽을 건다. 리더가 확실치 않고 각 계파수장들이 수평적 구조에서 당을 운영하는 모양새다. 더 민주적이라고 할 수도 있겠지만 좀처럼 화력을 모으기가 힘든 구조다”라고 지적했다.

미지근 정당

세월호 사태가 대표적이다. 박영선 위원장은 투쟁정당 이미지를 벗어야 한다며 새누리당과 세월호특별법을 합의했지만 당내 강경파가 유가족의 동의를 얻어야 한다며 박 위원장을 흔들었다. 결국 갈팡질팡하다 사실상 전권을 쥐게 된 박 위원장이 재협상을 하고 재협상안마저 거부당하는 굴욕을 맛봤다.

그래도 현재 당대표격인 박 위원장이 결정했으면 믿고 따라줘야 하는데 가만히 두질 않는다. 새정치연합에선 누가 당대표가 되든 오래 버티기 힘들다는 이야기가 나오는 이유다.

당대표가 돼도 강력한 리더십을 발휘하기 힘든 구조이다 보니 개혁안도 미지근할 수밖에 없다. 일각에선 당내 최대 계파인 친노가 다시 당권을 잡기 전까진 새정치연합이 정상화되기는 힘들 것이란 지적도 있다.

새정치연합의 위기가 결국 친노 부활을 위한 시나리오의 일부분이란 음모론까지도 나온다. 끝없이 추락하고 있는 새정치연합이 다시 한 번 날아오를 수 있을까? 정치권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mi737@ilyosisa.co.kr>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