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허깨비를 좇는 정치

2009.10.06 10:59:52 호수 0호

언론과 정치의 상관관계를 밝히다!


정치권력은 어떻게 뉴스를 만들고
언론권력은 누구를 위해 보도하는가?



W. 랜스 베넷 저, 유나영 역 / 책보세 펴냄 / 2만7000원

뉴스가 민주주의의 요구에 얼마나 잘 부응하는가라는 질문으로부터 시작된 탐색은 이 책이 지난 25년간 여덟 차례나 개정할 수밖에 없었던 이유가 되었다.
베넷은 어떤 뉴스를 선택하고 무시하는지 그 정치적 역학관계를 들여다보았고, 뉴스 선택이 풀뿌리와 엘리트의 정치 담론의 질을 향상시키는지, 혹은 떨어뜨리는지를 질문했다.

그리고 뉴스의 선택과 누락이 누구의 이익에 봉사하는지, 누구의 이익에 해를 입히는지 알아내기 위해 방대한 데이터를 모았고, 또 이를 샅샅이 분석했다. 이 책은 그러한 사례들로 넘쳐나고, 게다가 철저하게 공중의 이익이 아닌 기업 이익의 논리에 따르는 거대 미디어 기업의 폐해를 파헤쳤다. ‘미디어 악법’으로 상징되는 우리나라의 미디어법이 곧 닥칠 정치적 재앙의 서곡이 되리라는 것을 이 책은 미국의 사례들을 통해 생생히 증언하고 있다.

2009년 7월 22일 지상파 방송의 대기업 지분 허용과 신문의 방송사 소유가 핵심인 ‘미디어법’이 국회에서 날치기로 통과돼 우리 사회에 엄청난 파장을 가져왔다. 우선 민주당은 국회 통과가 법적으로 문제가 없는지 헌법 소원을 냈고, 의원직 사퇴를 결의했다. 또 언론단체와 학자, 시민단체들까지 나서서 원천 무효를 선언하고 대국민 폐지 서명 운동에 들어갔다.

진보와 보수의 대결로 압축된 이번 미디어법이 왜 이토록 한국 사회를 뒤흔들고 있을까? 이보다 앞서 1996년 미국은 여러 개의 미디어를 소유하거나 서로 다른 미디어 부문을 동시에 소유할 수 있도록 장벽을 낮춘 ‘통신법’을 의회에서 가결했다. 이후 미국의 미디어 산업은 5개의 미디어 재벌로 재편되고 수많은 언론사들이 통폐합되거나 사라졌다.

이 통신법을 통과시키기 위해 미디어 기업들은 “기업 간 경쟁으로 수용자들을 위한 다양한 콘텐츠 생산과, 지역 사회의 가치를 반영하는 쪽으로 움직일 것”이라는 논리를 펼쳤다. 한국의 보수권력과 보수언론들이 집요하게 ‘미디어법’을 관철시킨 이유를 이 책은 전반에 걸쳐 무수한 사례를 들며 조목조목 밝히고 있다. 어려운 학술용어가 배제된 채 유려한 산문으로 쓰여진 이 책이 언론의 참모습을 찾아가도록 돕는 유용한 참고서가 되길 바란다.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