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저트 카페, 여성을 사로잡다

2009.07.21 09:52:16 호수 0호

와플ㆍ컵케익 등 달콤한 음식, 창업시장서 인기
즉석조리 시스템ㆍ맛으로 커피전문점과 차별화



디저트 소비를 두고 창업시장이 달아오르고 있다. 식사 후엔 자판기 커피가 전부였던 시장에 와플, 번, 타르트, 슈, 컵케익, 마카롱, 푸딩 등 이름도 생소한 디저트를 내세운 디저트 카페가 속속 등장하고 있다.
해외여행과 어학연수 등으로 서양의 디저트 문화에 푹 빠진 젊은 층 소비자들이 디저트에 눈을 뜨기 시작한 것이다.

식사는 아니지만 가볍게 식사를 대신할 수 있는 디저트는 커피와의 궁합이 좋은 경우가 많다. 커피 소비가 나날이 성장하는 국내 소비시장에 글로벌 디저트 브랜드가 하나 둘 입성하는 이유다. 관련 업계에 따르면 외식 시장 침체에도 도넛 소비시장은 연간 30%씩 성장하고 있다. 그중 던킨도너츠는 시장의 80%를 점유하는 공룡브랜드다. 또 미스터 도넛, 크리스피 크림, 도넛플랜트 뉴욕시티 등의 글로벌 브랜드들도 던킨도너츠의 뒤를 바짝 쫓고 있다.

하지만 미국, 유럽 등지의 디저트 카페에 가까운 방식의 브랜드들은 최근에나 국내에 들어오고 있다. 바로 공산품과 확연한 신선도, 품질차이를 줄 수 있는 즉석조리 디저트가 나타나고 있는 것.
매장에서 도넛을 직접 만드는 크리스피 크림은 런칭 후 2년 만에 200% 이상 성장하면서 현재 29개 매장에서 500억원의 매출을 올리고 있다. 20대 여성 고객을 겨냥한 커피빵 ‘번’ 전문점은 1~2년 만에 소비규모가 100억원에서 1000억원 가까이 성장해 연간 3000억원에 달하는 도넛 시장을 잠식하는 추세다.

말레이시아 등 동남아시아에서 시작돼 글로벌 브랜드로 성장한 번은 특유의 달콤한 향과 짭짤한 맛을 앞세우고 있다. 로티보이는 160여 개, 파파로티는 100여 개, 로티맘은 50여 개 매장을 개설하며 불황기 창업시장에서 상종가를 올리고 있다.
이처럼 디저트를 앞세운 카페 브랜드들이 인기를 얻고 있지만 사실 커피전문점과 디저트 카페를 명확히 구분하기는 어렵다. 커피전문점들이 다양한 간식메뉴를 보강하면서 겉으로 보기엔 두 업종의 성격이 비슷해 보이기 때문이다.

관련 프랜차이즈 업계에서는 디저트 메뉴의 전문성과 메뉴 운영에서의 비중이 디저트 카페를 결정하는 요소라고 주장한다.
소규모 가내수공업 방식의 디저트 생산공장을 운영중인 요거프레소(www.yogerpresso.co.kr)는 당일 만들어, 주문 즉시 구워내는 와플, 요거트 아이스크림을 활용한 주스 메뉴 등이 인기다.

요거프레소의 박설희 대리는 “핸드메이드 방식으로 즉석조리해 공산품이 따라오지 못하는 품질을 기준으로 볼 때 본격적인 디저트 카페의 시작은 요거트 아이스크림점으로 봐야 한다”며 “특히 유럽과 달리 국내 디저트 카페 브랜드들은 한 가지 대표 메뉴를 내거는 곳이 많은 점도 특징”이라고 말했다.
여러 메뉴를 동시에 내걸 경우 마케팅 면에서도 집중력이 떨어질뿐더러 소비 트렌드의 변화가 심한 국내에서는 대표 메뉴를 바꾸는 것을 통해 브랜드의 수명을 늘릴 수 있어 프랜차이즈들이 대표 메뉴를 선호한다는 것이다.

대기업 커피전문점과의 차별화 역시 중요하다. 즉석조리와 맛에서 뛰어난 경쟁력을 갖추지 못하면 브랜드 인지도, 인테리어 등의 시설경쟁에서 대기업 브랜드에 미치지 못한다는 것이다. 반대로 대기업 브랜드의 경우 가맹점 관리, 원재료 손실분 관리 등이 까다로운 즉석조리를 꺼리는 경향도 있다.
대기업 브랜드이면서도 즉석조리 시스템을 갖춘 곳도 있다. 코오롱이 올해 가맹사업을 시작한 비어드파파(www.beardpapas.co.kr)가 바로 그곳이다. 일본 내 250여 개, 미국, 영국, 이탈리아, 중국, 홍콩, 호주 등 전 세계적으로 400여 개 매장이 운영 중인 비어드파파에서는 바로 구워 신선한 ‘슈 패스트리’에 일본 무기노호 본사에서 제조비법을 전수받은 커스터드 크림을 담는 슈 패스트리 한 가지 메뉴로 디저트 소비시장에 뛰어들었다.

비어드파파 장승진 팀장은 “디저트의 맛과 품질만으로는 손쉽게 벤치마킹될 수 있는 국내 현실을 볼 때 글로벌 디저트 브랜드라 해도 소비자들의 눈높이에 맞춰 현지화하는 작업이 반드시 필요하다”며 “디저트의 품질, 시설, 직원들의 서비스 등이 일체화된 브랜드 가치를 만들어야 디저트 카페가 장수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하지만 디저트 카페의 성장에 가장 큰 걸림돌은 디저트 소비의 성장세다. 꾸준히 성장하고는 있지만 국내에서는 후식의 개념보다 점심식사 대용으로 소비될 때가 많다. 따라서 식사를 해결할 수 있는 메뉴를 운영하다 보니 유럽 등의 디저트 카페와는 성격이 달라지기 쉽고, 본사의 메뉴개발 역량도 창업자의 성패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주의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