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트&아트인> 아리랑 전문작가 두시영

2013.08.16 08:52:32 호수 0호

"민족의 혼과 얼 작품에 녹이죠"

[일요시사=사회팀] 가장 한국적이면서도 가장 세계적인 명사 '아리랑'. 그러나 옛것으로 치부돼 어느 틈엔가 우리 삶에서 멀어진 이름 '아리랑'. 두시영 화백은 오직 아리랑을 소재로만 그림을 그려 온 '아리랑 전문 작가'다. <일요시사>는 오는 광복절을 맞아 서울 인근 작업실에서 두 화백을 만났다. 그에게 아리랑은 자신의 삶이자 우리를 지탱하고 있는 뿌리다.





두시영 화백은 자신의 반평생을 '아리랑'과 살았다. "인생의 가장 큰 축복은 아리랑을 만난 것"이라고 말한 그는 세계인에게 아리랑의 미학을 알리기 위한 작업에 몰두하고 있다.

현대적 언어로 재해석

"아리랑에는 민족의 정서와 애환이 담겨 있어요. 굴곡진 우리 역사와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에 있는 게 아리랑입니다. 어떤 면에선 한국인이 살아온 삶을 대변한다고도 볼 수 있어요. 그런데 재밌는 게 전국에 있는 아리랑이 모두 얼마인지 아십니까? 대략 4800수 정도인데 들춰낼수록 새로워요. 알고 들어야 더 재밌고요."

아리랑이 전 세계로 알려진 시기는 한국전쟁 전후로 알려져 있다. 당시 한국전쟁에 참전했던 각 나라의 군인들은 전쟁터에서 들은 아리랑을 자국에 전파했다. 우리 역사의 비극, 한복판에 아리랑이 있던 셈이다.

"아리랑을 공부하면서 '우리 아리랑을 어디서 찾을 수 있느냐' 생각해보니 이 나라의 산천 곳곳에 아리랑이 없는 곳이 없어요. 우리 민족의 혼과 얼이 아리랑에 담겨 있고, 걸어온 역사 속에 아리랑이 있는 거죠. 식민지의 아픔, 전쟁의 상처로 고통 받던 민족이 부른 노래, 글, 춤, 모든 것의 바탕이 아리랑이란 얘기입니다."


그는 1987년 한 자선 전시회에 작품을 내걸면서 아리랑과 인연을 맺게 됐다. 당시 두 화백은 작품 희망 판매가에 '소장가의 마음'이라는 글귀를 써 붙였다. 그러자 한 컬렉터는 작품을 구입하며 그에게 책을 선물로 보냈는데 그때 받은 책이 김연갑 선생의 <아리랑>이다.

"충격이었어요. 저도 한국적인 소재로 작품 활동을 하고 있다고 자부했는데…. 정말 한국적인 그림을 그리려면 결국 '아리랑을 피해갈 수 없겠구나'라고 생각했죠."

두 화백은 아리랑을 그리기로 마음먹으면서 오동색을 자신의 작품 안에 녹였다. 오동색이 갖고 있는 희망, 사랑, 행복 등의 의미를 아리랑에 입힘으로써 본질에 더 충실할 수 있었다는 설명이다.

"슬픔과 애환만이 아리랑은 아닙니다. 궁극적으로 민족의 '한'을 '신명'으로 풀어내는 원동력이 아리랑이거든요. 그래서 현대적인 언어로 재해석하면서 자연스레 고유의 정신을 알릴 수 있도록 했습니다. 아리랑의 어머니는 '아라리'라고 하는데 아라리의 어원을 놓고, 굉장히 많은 학설이 있어요. 저는 '전부 맞다'고 봅니다. 그중 한 가지를 소개해드리면 '아(라)'가 '나'라는 뜻이고요. '리'는 깨닫는다는 뜻이거든요. 그래서 아(라)리는 '나를 깨닫는다'는 의미고. 여기에 기쁨을 뜻하는 '랑'이 더해져 ‘나를 깨달아서 기쁨을 얻는다’는 해석으로 이어져요. 이게 바로 '신명의 미학'입니다."

'26년째 외길' 아리랑 소재로 작업
오동색 입혀 '신명의 미학' 표현

두 화백은 '신명의 미학'을 부연하기 위해 브라질 '리우 카니발'이나 스페인 '토마토 축제' 등을 언급했다. 현재는 모두 세계적인 축제가 됐지만 당시에는 억압된 현실을 잊고자 행한 일종의 '씻김굿'이었다는 해석이다.

"제가 전국의 아리랑 축제를 다 다녀봤는데요. 우리 아리랑 축제도 세계 유수 축제처럼 국제적인 행사로 자리매김할 필요가 있어요. 그래서 저는 정부가 아예 '한글날'처럼 '아리랑의 날'을 제정하자. 이렇게 주장하고 있어요. 또 아리랑 축제를 계승-발전시키기 위해 정부 산하의 '아리랑청'을 도입하는 건 어떠냐고 제안해요. 지난해 아리랑이 유네스코가 인정한 '인류 무형문화 유산'으로 등재됐잖아요. 그런데 관리를 소홀히 하다보면 힘들게 등재해 놓고, 중국 등에 우리 것을 뺏길 수가 있어요. 아리랑은 현재진행형이자 미래형이 돼야합니다."

고유의 정신 알려

두 화백은 "멕시코와 우리나라가 비슷한 역사 경로를 거쳐왔다"면서 세계적인 화가 디에고 리베라를 예로 들었다. 우리나라에도 민중화가는 많지만 디에고가 남긴 벽화처럼 한국을 찾아온 외국인에게 자신 있게 내놓을 수 있는 역사화가 없다는 게 그가 느낀 아쉬움이다.

"디에고가 우리식으로 말하면 큐비즘을 거쳐 '아리랑'을 그린 겁니다. 민족의 역사를 후손에게 남긴 거죠. 우리도 민족화를 많이 그렸으면 좋겠어요. 그림 앞에서 공연을 해도 좋고, 창작 연극을 해도 좋고요. 전 아리랑을 다양한 방식의 예술로 승화했으면 합니다. 그러려면 아무래도 정부의 지원이 필수적이겠죠? 참 디에고는 멕시코 화폐에 얼굴이 새겨져 있습니다. 이처럼 우리도 아리랑의 대표적인 '형상'을 화폐에 새기는 건 어떨까요? 아리랑을 널리 알릴 수 있는 좋은 방법이 될 겁니다."



강현석 기자 <angeli@ilyosisa.co.kr>
 

[두시영 작가는?]

▲건국대 교육대학원 미술교육과 졸업
▲예술의전당 한가람미술관(서울·2004) 외 개인전 14회
▲남북작가 통일 미술대축전(세종문화회관·2001) 외 그룹전 다수
▲대한민국미술대전(2009)·경기미술대전(2009) 심사위원
▲서울 민족미술인협회·한국미술협회 관악지부장
▲아리랑미술연구소 대표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