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삼기의 시사펀치> 장영실, 바다가 아닌 우주에 있어야

2025.10.09 09:56:03 호수 0호

추석 명절이면 필자는 “추석은 조선 초기 천문과학기술자 장영실이 만들었다”며 “추석날 하늘의 보름달을 볼 때 장영실을 생각해야 한다“고 열변을 토했던 중학교 과학 선생님을 잊지 못한다.



과학 선생님의 주장은 “추석은 달의 주기와 낮밤의 길이가 바뀌는 자연의 시간과 농경 문화가 합쳐져 생긴 절기인데, 장영실이 혼천의와 간의대를 만들어 달의 주기를 예측했고, 앙부일구(해시계), 자격루(물시계)를 만들어 자연의 시간을 측정했고 측우기를 만들어 비의 양를 측정해 농경문화에 적용했기 때문에 후손들이 추석을 풍요롭게 누릴 수 있다”는 것이었다.

추석에 뜨는 보름달이 민속 신앙이자 농경 문화의 상징이었지만, 장영실에겐 우주를 연구하는 천문학적 계산의 대상이었다. 그래서 지금도 장영실의 이름은 우주에서 빛나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최근 해군이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회의가 열리는 10월 말을 전후해 우리 독자기술로 처음 개발한 3600톤급 중형 잠수함 ‘장영실함' 진수식을 갖는다고 밝혀, 필자는 의아해하지 않을 수 없었다.

그동안 해군은 장보고, 홍범도 등 역사 속 호국 영웅들의 이름을 잠수함 명칭으로 사용해 왔지만, 이번부터 과학자의 이름도 사용하는 것으로 지침을 바꿨다고 한다. 이는 군인뿐만 아니라 과학자 역시 국방력의 근간을 이루는 핵심 역할을 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한 조치로 풀이된다.

그러나 장영실은 천문학과 기기 제작에서 혁혁한 업적을 남긴 천문과학기술자다. 하늘의 별을 헤아리던 천문과학기술자의 이름을 인공위성이 아닌 잠수함 명칭에 붙이는 우리의 현실을 필자는 도저히 이해할 수 없다.


인류는 과학자의 이름을 그 업적과 상징에 맞게 사용해 왔다. 유럽의 위성항법체계는 ‘갈릴레오’, 미국의 대표적 우주망원경은 ‘허블’, 심지어 화성 탐사 로버에도 ‘스피릿’ ‘큐리오시티’ 같은 과학정신을 담은 이름이 붙여졌다.

인공위성이나 잠수함에 붙여지는 이름은 단순한 명칭이 아니라 그 이름의 정신과 업적을 기념하는 상징적인 기호다. 그런데 하늘의 움직임을 관찰하고, 시간을 재고, 우주를 탐구했던 장영실의 이름이 잠수함에 붙여졌다는 건 모순이자 시대정신의 왜곡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이는 한국 사회가 과학자를 기리는 방식, 그리고 과학정신을 어디에 두는가의 문제이기도 하다. 만약 우리가 장영실을 잠수함으로 기억하게 된다면, 과학사의 왜곡이자 후대에 부끄러운 선택으로 기억될 것이다.

한국의 인공위성 이름은 1992년 첫 위성 ‘우리별 1호’ 이후 ‘아리랑’ ‘천리안’ ‘과학기술위성’ ‘아나시스’까지 이어져왔다. 그러나 조선시대 천문과학기술자로서 인공위성 이름 제1호 자격을 가진 장영실은 없었다.

장영실이 측우기, 자격루, 혼천의 등 천문기기 제작에 혁신을 남긴 과학기술자지만, 인공위성에 그의 이름이 붙지 않았던 데는 그 이유가 있다. 인공위성은 외교, 군사, 경제 등 다층적 맥락에서 쓰이기에 특정 인물명은 정치적 해석을 낳을 수 있기 때문이다. 또 국제적 호소력과 대중적 친근성을 따지자면 ‘아리랑’이 훨씬 유리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제 우리나라가 우주 강국의 반열에 들어섰고, 달 탐사를 준비하고 있는 마당에 우주 탐사, 우주과학 연구까지, 순수 우주과학 정신을 담아낼 그릇이 필요할 때가 돼, 장영실 이름이 하늘에서 당당하게 등장해야 한다. 특히 우리나라가 처음으로 달나라에 쏘아올리는 인공위성 이름은 ‘장영실 1호’여야 한다.

장영실 이름이 인공위성에 등장하면, 그 이름은 전 세계에 우리나라 과학의 뿌리를 알리고, 우리 국민에게는 자긍심과 영감을 주는 아이콘이 될 것이고, 과거와 미래, 땅과 우주를 잇는 매체가 될 것이다.

장영실함 진수식에 장영실기념사업회 임원진이 해군의 초대를 받아 참석한다는 소식을 듣고, 필자는 “진수식에 참석할 것이 아니라 잠수함에 장영실 이름을 사용하지 못하도록 막아야 한다”는 의사를 전했다.

그러자 김규석 이사장은 “장영실의 업적은 하늘에 있지만, 그 정신은 바다 속 은밀한 무기에도 살아 숨 쉰다”며 “인공위성이 ‘하늘의 장영실’을 상징한다면, 잠수함은 ‘바다의 장영실’을 상징한다”고 필자에게 말해줬다. 그래도 필자는 장영실은 바다가 아닌 우주에 있어야 한다는 생각엔 변함이 없다.

우리나라에는 2023년 11월 기준 기념일 규정에 따른 기념일은 54개, 개별 법률에 따른 기념일은 103개나 있다. 그런데 역사상 가장 위대한 과학기술자 중 한 사람인 장영실을 기리는 ‘장영실의 날’은 없다. (사)과학선현장영실선생기념사업회가 10월26일을 장영실의 날로 지정해 매년 아산시와 관련 단체가 기념행사를 하고 있지만, 정부가 지정한 법정기념일은 아니다.


4차 산업혁명 시대, 그리고 인공지능(AI) 시대는 과학기술이 곧 국가 경쟁력이다. 한글날이 언어적 정체성을 다지는 날이라면, 장영실의 날은 대한민국 과학기술 정체성을, 특히 우주과학 정체성을 다지는 날이 된다.

장영실 과학관이 있는 아산시 소재 아산문화재단이 도고아트홀에서 10월 한 달간 장영실을 주제로 한 공연과 전시·체험 행사를 갖는다고 한다. 행사 관계자는 "장영실의 업적을 대중에게 알리기 위해 준비했다"고 말했다. 이번 행사가 장영실의 날이 법정기념일로 지정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

“과학 없는 국가는 미래가 없다”는 사실을 우리 사회 전체가 공유하고 있는 지금, 우주개발진흥 기본계획을 구축하고 있는 정부가 우리나라 우주강국의 비전을 위해서라도 장영실의 날을 법정기념일로 지정하는 방안을 검토해봐야 한다.

장영실의 날이 법정기념일로 지정되면, 장영실은 바다가 아닌 우주에서 우리나라를 세계 최고의 우주 강국으로 견인할 것이다.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