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트&아트인> ‘송은미술대상전 수상자’ 권아람

2025.07.17 00:00:00 호수 1540호

스크린 그 자체를 탐구하다

[일요시사 취재1팀] 장지선 기자 = 서울 강남구 소재의 갤러리 ‘송은’에서 권아람의 개인전 ‘피버 아이’를 준비했다. 권아람은 제21회 송은미술대상전(2021~2022) 대상 수상자다. 수상 이후 3년 만의 신작이다.



송은미술대상은 2001년 재단법인 송은문화재단에서 제정한 미술상으로 전도유망한 국내 미술작가를 지원한다는 취지로 시상하고 있다. 대상 수상자는 상금과 함께 향후 송은에서 개인전 개최를 지원받는다. 권아람은 제21회 송은미술대상전에서 수상했다.

‘월스’에서

권아람은 빠르게 변화하는 미디어에 관한 비판적 고찰을 바탕으로 스크린 속 이미지에 집중하는 일상적인 시선에서 벗어나 스크린 자체를 탐구해 왔다. LED, 스크린, 영상 및 사운드를 활용한 미디어 설치 작업을 통해 감각의 혼란과 인식의 전복을 유도하는 작업을 선보였다.

이번 전시에서 권아람은 기계의 눈은 밝아지고 인간의 눈은 어두워진 실상 아래 기술에 이끌린 미래가 현재의 시스템을 과열시키는 양상, 그로 인해 발생하는 사회 전반의 부작용을 감각의 지형으로 살폈다. 도시 곳곳을 검열하는 CCTV, 자율주행의 눈이 되는 LiDAR 센서, 이미지 학습을 위한 데이터셋 훈련 등 물리적 현실을 이미지 데이터화해 기술의 토대로 삼는 현재의 과잉된 시·지각 현상이 미래를 어떤 모습으로 추동하는지 질문하고자 했다.

전시 제목과 같은 이름의 신작인 ‘피버 아이’는 개인전 전반을 관통하는 작업이다. 정보와 상품, 기술과 자본의 결탁으로 경계가 모호해진 생태계에서 출구 없는 플랫폼과 채널 안을 유영하는 인간을 포착한 데서 출발한다.


층 전시장을 둘러싼 LED 패널은 스크린상 오류의 기호이자 전시 전체를 아우르는 강렬한 붉은색을 내세워 과열된 현재를 함의적으로 제시한다. 연극 연출 기법인 ‘생소화 효과’를 차용해 깜빡거리기를 반복하고 사운드를 배제했다.

오로지 시각적인 소격 효과만을 강조해, 관람객의 몰입력을 차단했다. 작품과의 비판적 거리를 유도하기 위한 장치다. 영상, 설치, 사운드를 아우르는 작업은 은유적이고도 명료한 시각 언어로 전시장을 가득 메우며 기술 지상주의에 대한 다면적 검토와 새로운 시·지각적 통찰을 제안한다.

전시 제목과 동명인 작품 ‘피버 아이’
시각적 소격 효과만 강조해 몰입 차단

권아람이 제21회 송은미술대상전에서 선보인 ‘월스’는 작가가 처음으로 LED 패널을 도입한 작업이다. 조각난 스크린에 거울을 결합해 자본주의 사회에서 욕망의 과녁이 된 스크린을 상징적으로 시각화했다.

당시 작품은 높고 어두운 송은의 지하 2층 천장에 매달린 형태로 제시됐다. 공허하게 부유하는 욕망의 이미지를 함축적으로 드러냈다는 평을 받았다. 블루 스크린과 레드 스크린의 오류 화면이 반복 점별하고, 불규칙한 사운드가 뒤엉키며 디지털 사회 속 불안과 혼란을 형상화한 이 설치 작업은 이후 권아람의 조형 언어 발전에 기점이 됐다.

이번 전시에서 선보이는 ‘백룸스’는 전작 ‘월스’의 연장선상에서 전개되는 작업이다. 현실과 가상의 경계에서 발생하는 불안과 감각의 혼란을 구현했다. 인터넷상에서 생성된 도시 괴담인 ‘백룸’은 현실과 가상이 뒤섞인 무한하고 비좁은 공간을 일컫는다.

권아람은 백룸에 착안해 익숙한 공간의 반복과 왜곡, 출처 없는 이미지의 누적이 만들어내는 리미널 스페이스의 정서를 송은 지하 전시장에서 형상화했다. 마치 그물처럼 뒷면이 투과되는 메시 LED는 공중에 부유하듯 설치됐다. 어긋나고 구멍 난 이미지와 서로 중첩되고 투명하게 새어 나가 공간 전체를 유영한다.

LiDAR 센싱 이미지로 복제된 물리적 공간이 스크린에서 무한히 이어지며 사운드 스케이프의 환각적인 공간감을 형성한다.

현실의 모든 것이 디지털로 전환되고 인공지능과 알고리즘이 인간의 감각과 판단을 대체하는 시대에 비플레이어가 된 관람객은 오류 가능성을 내포한 이미지 속을 배회하며 영상과 공간, 감각과 인식의 경계에서 유예된 상태로 머무르게 된다. 이런 환경은 소셜 미디어가 유도하는 자발적 정보 기여와 자율성을 표방하면서도 폐쇄젹으로 설계된 플랫폼 자본주의 시스템을 암시적으로 드러낸다.

‘백룸스’로


송은 관계자는 “권아람은 영혼 없는 미디어가 감각과 인지, 이성과 정서를 통제하는 세계의 구조를 시각화하고 언제든 오작동할 수 있는 시스템에 대한 심리적 의심을 조형적으로 빚어낸다. 작가에게 스크린은 단순한 이미지 투사 장치가 아닌 감각의 충동과 의미의 해체가 발생하는 복합적이고 구조적인 장소로 사유된다. 스크린은 납작한 화면 안에서 쉼 없이 수동적으로 이미지를 실어 나르는 운반구에 한정되지 않고 서로 다른 욕망이 매개되는 격동의 현장으로 존재한다”고 설명했다. (자료·사진 ⓒ송은) 

<jsjang@ilyosisa.co.kr>
 

[권아람은?]

▲학력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디자인전공 박사 졸업(2020)
UCL 런던대학교 슬레이드 미술대학 파인아트-미디어 석사 졸업(2012)
건국대학교 디자인조형대학 광고영상디자인전공 학사 졸업(2009)

▲개인전
‘트레일러’ 갤러리 퍼플(2025)
‘프리즈’ 더 그레잇 컬렉션(2021)
‘납작한 세계’ 원앤제이 플러스원(2018)
‘부유하는 좌표’ 갤러리 도스(2016)
‘불화하는 말들’ 세움 아트 스페이스(2015)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